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명사에 따라 선택하는 전치사 결합 능력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한국 고등학교 1학년 EFL 학습자들이 영어 명사에 따라 선택하는 전치사 결합 능력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목적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등학...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교 1학년 EFL 학습자들이 영어 명사에 따라 선택하는 전치사 결합 능력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목적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등학교 1학년 EFL 학습자의 일반 영어능숙도에 따라 결합어휘 선택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 고등학교 1학년 EFL 학습자의 결합하는 어휘 선택에 대한 근거와 결합어휘 선택능력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결합어휘 별로 결합되는 어휘의 선택능력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등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서초구 일반계 여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5명을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2009 교육과정의 기본 필수 어휘와 결합하는 문법적 연어 가운데 서울시 서초구 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중학교 영어 3종 교과서에서 등장하지 않은 ‘명사/전치사’ 결합어휘를 선정하였다. 평가지는 평가 방식에 따라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결합어휘 지식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 13개의 선택형 문항과 단답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반 영어능숙도와 수동적 결합어휘 지식 간에 상관관계가 없고, 능동적 결합어휘 지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낮은 결합어휘 선택능력을 가졌지만 비명시적 지식에 근거하여 결합어휘를 선택하는 능력은 중위, 하위 집단에서 미세한 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결합어휘 별로 두드러지게 정답률이 높은 결합어휘가 존재하였으며 학습자들이 결합어휘를 선택할 때 한국어 의미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동적 결합어휘 지식보다 능동적 결합어휘 지식이 매우 부족하고, 일반 영어능숙도가 우수한 학습자들만이 유의미한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결합어휘 습득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수가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중위, 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추측에 근거한 결합어휘 선택능력이 있기 때문에 결합어휘에 대하여 암기 학습 외에 다양한 언어 활동을 이용한 학습이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학습자들이 결합어휘를 선택할 때 한국어 의미에 의존한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개별 어휘 학습이 아닌 어휘를 하나의 결합된 묶음으로 학습하는 것이 오류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교 1학년 EFL 학습자들의 결합어휘 지식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결합어휘를 하나의 단위로 학습할 것을 촉구하며 문법적 연어의 다양한 지도 방안 개발의 필요성을 재고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L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bilities to combine preposition with a preceding nou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aises specifically thre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 students hav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L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bilities to combine preposition with a preceding nou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aises specifically thre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 students have different knowledge between their combined word abilities focusing on noun-preposition phrases and their general English proficiency? Second,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basis on the choice of combined words and noun-preposition phrases knowledge? Third, do students have different abilities of combined words following noun-preposition phrases respectively? In order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noun-preposition phrases were selected based on English words list in curriculum of 2009 and excluded in three English textbooks that are being used in Middle schools.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short-answer questions have been created and tested by 105 high school students that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a placement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knowledge of noun-preposition phrases and general English proficiency in passive knowledge assessment, while there is a correlation in active knowledge assessment. Second, althoug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have low abilities to combine noun-preposition phrases,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choose right combined words based on implicit knowledge. Third, there is a high-scored noun-preposition phrase and students rely on Korean meaning when choosing the proper preposition matched with noun.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competence is limited, so we should construct an accurate and systemic instruction for collocation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activities for teaching collocations due to the difficulty of acquiring them by implicit knowledge. It is effective to learn the words as a chunk to reduce their errors because Korean students are likely to depend on the meaning of Korean when they guess the combination of noun-preposition phrases. In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need for learning lexical words as a unit and a demand for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materials for grammatical collo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