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韓流의 정의와 형성배경을 살펴보고 韓流가 중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인의 好韓文化 형성을 시대별로 파악하고 신문기사를 통해 한류의 발생과정과 배경... 본 논문은 韓流의 정의와 형성배경을 살펴보고 韓流가 중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인의 好韓文化 형성을 시대별로 파악하고 신문기사를 통해 한류의 발생과정과 배경, 한류가 중국의 경제와 문화방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韓流는 ʻ외국인들이 한국 대중문화 및 순수문화를 좋아함으로써 나타나는 경제․사회․문화적 현상을 소비하는 것ʼ을 의미한다. 이러한 韓流의 범위는 대중문화와 순수예술, 연예인 등을 포함하고 있다. 韓流에 대한 효과로는 관광․소비․교류․관람 등이 포함된다. 新羅․唐시대, 高麗․宋시대 그리고 朝鮮․明清시대는 모두 朝貢과 回賜를 통해 문화교류를 하였다. 특히 新羅․唐시대와 高麗․宋시대 冊封朝貢은 더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唐나라 중기에 중국에 와서 유학한 학생 수는 최대 100 여명에 이르렀는데 그들 중 가장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이는 최치원이다. 최치원을 비롯한 당시 유학을 갔던 신라 사람들은 당나라에서 열리는 빈공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르기도 하였다. 또한 최치원이 당나라에 머무는 동안 썼던 문장들은 크게 유행하여 당나라 관료들 사이에서도 그 명성이 자자하였다. 高麗․宋 시대에는 고려가 宋에 보낸 물품 중 服飾類와 器皿類, 紡織品類, 文房具類 등 수공예품이 중국 황실과 귀족들로부터 크게 환영받았다. 이 외에도 고려의 부채, 특히 折扇과 狼尾筆, 松煙墨은 宋 文人筆客의 珍寶가 될 정도로 유행하였다. 조선시대로 들어오면서 明은 조선에 사신을 보냈는데 그들 중에는 文學之士가 많았다. 明의 사신이 조선을 소개하기 위해 쓴 글 가운데, 董越의『朝鮮賦』가 가장 유명하고 중국 문학가들로부터 환영과 칭송을 받았다. 이 책에서 董越은 조선의 문화와 풍속, 교육제도 등이 중국에 비하여 결코 뒤떨어지는 것이 없음을 인정하는 글을 썼다. 清(1616년-1912년)은 閉關鎖國政策을 강력하게 실시하였기 때문에, 한중 문화교류의 강도가 朝鮮․明시대보다 약화되고 그 폭이 더욱 축소되었다. 그러나 朝清關係는 朝鮮․明관계의 연장이어서 그 성격과 양상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처럼 한중 양국은 사신들을 통해 많은 문화교류가 활발히 이루진 것을 알 수 있다. 근대로 오면 한국과 중국이 수교가 정상화된 이후 양국 간에는 경제, 문화, 무역, 교육 등 다방면적으로 교역을 통해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1993년 TV드라마〈질투〉가 처음으로 중국에 수출된 이후로 한국 가요 역시 중국진출이 이루어지면서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 내륙에서 큰 열풍을 일으켰다. 시기별로 정리하면 1993년-2005년은 중국에서 韓流 발전기라고 할 수 있고, 2006년–2011년은 反韓流 시대라고 할 수 있다. 2012년 이후에는 또 다시 한국의 음악이나 음식、패션 분야는 물론 휴대폰이나 자동차, 전자, 디지털, 패션, 미용 등 다양한 분야에 이르기까지 한류 열풍이 다시 재현되어 反韓流시대 이후 韓流가 재형성되었다. 따라서 2012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新韓流라고 부른다. 新韓流 열풍으로 인하여 중국인에게는 큰 변화가 생겼고 경제와 문화방면에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류가 중국에 미친 영향은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韓流는 중국인들의 생활 속으로 깊이 들어와서 하나의 현상으로 받아들여졌고 韓流로 인하여 한국으로 유학을 가는 학생들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韓流는 한국과 중국 무역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문화산업 수입 성장세를 지속시켰으며 중국시장에서 한국 상품 판매에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이와 반대로 ʻ反韓流 시대ʼ 측면에서 살펴보면 한류가 중국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한중의 교류가 깊어지면서 문화와 경제의 상호 침투는 불가피하다. 중국의 전통 문화는 한류 문화의 거센 물결에 밀려 겨우 명맥이나 유지하고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