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화자 영어 발음의 명료도, 이해도 및 억양도 : 모국어 배경이 다른 청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해 가능한 발음 습득의 필요성과 함께 명료도(intelligibility)라는 개념이 제 2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비원어민 청자를 대상으로 한국화자의 발화가 얼마나 ...

이해 가능한 발음 습득의 필요성과 함께 명료도(intelligibility)라는 개념이 제 2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비원어민 청자를 대상으로 한국화자의 발화가 얼마나 이해 가능한지에 대한 국내연구가 없었고 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발음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충북 청원군 소재 K대학교 한국인 10명과 원어민 1명의 발화를 한국인 청자, 중국인 청자, 필리핀 청자 및 원어민 청자 각 5명이 듣고 명료도, 이해도 및 억양도를 평가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이때 한국인의 액센트에 익숙한 청자들이 그렇지 않은 청자들보다 더 명료하게 받아들이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개별발화에서 드러난 분절음, 리듬, 억양 및 문법오류가 구체적으로 청자의 단어수준의 명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Jenkins의 공통어발음자질(LFC)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발화를 기준선으로 보고 한국인 발화의 명료도를 청자 집단별로 살핀 결과 한국인 청자는 중국인 청자나 필리핀 청자보다 한국인의 발화에 대해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다. 원어민 발화 명료도가 낮은 중국인 청자, 필리핀 청자는 모두 한국인 발화에 대해 더 명료도가 높았으나 60점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원어민 발화를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다. 원어민 청자는 원어민 발화를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으나 한국인 발화 명료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청자 집단사이에 유의한 이해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억양도의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상관계수를 살핀 결과 이해도와 억양도가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났으나 명료도와 억양도는 유의한 상관이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청자의 한국인의 액센트가 있는 발화에 대해 익숙하면 청자의 명료도에 높아지는지 살펴본 결과 다른 청자 집단 모두에게서 익숙도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청자의 단어와 음철법에 대한 어휘판별검사(LDT) 점수가 원어민 발화 명료도에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발음오류나 변이와 명료도 및 이해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힌 결과 한국인 청자와 원어민청자에게서만 음소적 오류가 있을 때 문장명료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리듬과 억양은 전체 청자의 억양도와 상관이 있음이 드러났다.
넷째, 개별 발화의 발음오류를 분절음, 리듬 및 억양 수준에서 살펴본 결과 한국인의 흔한 발화 오류가 잘 드러났다. Jenkins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 모음의 질을 달리한 몇 몇 경우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적용한 경우에 단어수준 명료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으나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발화에서 빈번한 발음오류가 나타났고 원어민을 제외한 다른 L1을 가진 청자들의 명료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다른 비원어민들은 잘 알아듣지 못하는 발음으로 서로에게 투입(input)되면 결과적으로는 명료도가 떨어지는 발음으로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초·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한 정확성에 기초한 발음 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영어의 변이를 경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telligibility is consider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foreign accented speech is important for both theoretical inquiries and evaluation on the nature of intelligibility. Much of previous re...

Intelligibility is consider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foreign accented speech is important for both theoretical inquiries and evaluation on the nature of intelligibility. Much of previous research, investigating Korean accented speech has been limited to measuring gross intelligibility or accuracy by English speaking listeners. This study examines the assessment of intelligibility, comprehensibility and accentedness of Korean speakers by different L1 background listeners. It also figures out the effect of pronunciation errors on intelligibility and compares the findings with Jenkins' Lingua Franca Core(LFC).
This study elicited speech samples from 10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f varying proficiency and 1 English speaker. These speakers were recorded speaking freely about 4 different easy topics. 44 sentences were extracted and the stimuli were played to 20 listeners from 4 different L1 backgrounds(5 each Korean, Mandarin, Filipino and English listeners). They were asked to transcribe orthographically sentence level stimuli(Intelligibility) and also asked to judge each stimulus on 9 subjective Likert-type rating scales regarding how easy the stimulus was to understand(Comprehensibility) and how heavily foreign accented it was(Accentedness). Additionally participants checked the meanings of some key words which were considered to influence the intelligibility rating scores. They performed the lexical decision test(LDT) to assess each listener's lexical and orthographic knowledge.
The effects of listener, speaker, LDT, and familiarity factors were compared by means of MANOVA and two-way ANOVA analysis. On intelligibility measures, the Korean listeners had significantly les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peakers with Korean accented speech than Mandarin and Filipino listeners. However, English listen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any other groups. All nonnative listeners who found the native speaker's stimuli less intelligible showed higher intelligibility scores on Korean speakers' stimuli. Familarity with Korean accented speech was found not to affect intelligibility sco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on measures of comprehensibility and accentedness among listener groups. Also,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on measures of intelligibility and accentedness, suggesting that heavy foreign accents are not strongly correlated with listeners' intelligibility.
The researcher and an English instructor identified pronunciation and morphosyntactic errors. Rhythm and intonation were rated by two English instructors. Many pronunciation errors, frequent in Korean speakers, were found. The result shows that segmental errors had correlation to intelligibility scores of Korean and American listeners only. 8 out of 40 Korean speakers' stimuli were found to be more intelligible to English listeners than native speaker's stimuli. Good rhythm and intonation scores do not correspond to the intelligibility measures, which corresponds to Jenkins' study. The segmental errors and word-level intelligibility scores were also compar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ch segmental errors. Substitution and deletion had more detrimental effect on intelligibility than addition of a phome. Some vowels differing vowel quality and application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were found to be problematic, which differs from Jenkins' LFC.
In conclusion, Korean speakers' stimuli had many errors and were less intelligible to Mandarin and Filipino listeners than Korean and American listeners. This suggests that in classrooms, pronunciation teaching needs to be enhanced both by focusing on accuracy and by giving students more opportunity to be exposed to various accents of English.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