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와 한국 15세기 ㅿ의 음가 비교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e study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of Mediaeval times, this has been a controversial part in the field as there is still no unified opinion. This thesis aims to look for the historical rel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of Mediaeval times, this has been a controversial part in the field as there is still no unified opinion. This thesis aims to look for the historical relationship of Korean period semi-dental ㅿ to re-construct its phonetic value.
The Korean Peninsula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 long time ago and changed them according to the Korean phonology during the period and Chinese character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phonology as well. Based on this cultural exchange, the thesis looks for the clue of pronunciation of Mediaeval times Chinese sound by means of the background that‘ㅿ’set as sound in Korean period and its phonetic change. Historic cultural exchange relation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an be known from the data on 15th Century Korean semi-dental ‘ㅿ’ and record on pronunciation of Mediaeval times Chinese sound. Through the change of Korean semi-dental‘ㅿ’by phonology phenomenon etc. after late 16 century, this thesis considers Chinese sound pronunciation of Mediaeval times should not be treated as voiced sound /ㅿ/ and approximant /ㅿ/ but should be treated neither voiced sound nor unvoiced sound just like Korean semi-dental ‘ㅿ’.
ChapterⅠis introduction that describes purpose , method, background of research and advanced research. Final part will introduce the raise of question and research significance briefly.
Chapter Ⅱ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s system of Mediaeval times Chinese and sound system of Korean and it was presumed that phonetic value of Chinese semi-dental sound and Korean semi-dental ‘ㅿ’was similar in 15th Century.
Chapter Ⅲ organizes and concludes the scholars' argument on Chinese and Korean sound at first. Then it will compare and analyze change of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and Korean ‘ㅿ’according to the diachronic period. The final part of this chapter 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nese sound and Korean sound. The conclusion of this chapter is that the greatest similarity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and Korean semi-dental ‘ㅿ’was the period that <Hunminjeongeum> created. And after this period, both changed due to their language environment. And then it will organize the contents of this chapter.
Chapter Ⅳ is the conclusion part of this research which will come up with the opinion of this thesis and will conclude above contents.
This thesis considers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of 15th century should not be treated as voiced sound /ㅿ/ or approximant /ㅿ/ but should be treated neither voiced sound nor unvoiced sound /z/ like Korean semi-dental ‘ㅿ’.
This thesis studies historical evidence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in Mediaeval times by the way of transliteration and through the research of phonetic value on Korean ‘ㅿ’ of Middle Ages. This thesis expect that scholars will amend the deviations generated during phonetic value prediction on Chinese sound of Mediaeval times.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음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많지만 아직 통일된 견해가 없어서 학계에서는 쟁론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반치음 ㅿ과의 통시적 상관성을 찾...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음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많지만 아직 통일된 견해가 없어서 학계에서는 쟁론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반치음 ㅿ과의 통시적 상관성을 찾아 그의 음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반도는 오래 전부터 한자를 차용하여 왔으므로 그 과정에서 중국어가 한국어의 어음체계에 맞추어 변화되어 왔고 또 중국어도 한국어의 어음체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문화교류의 배경에서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일모(日母)를 ‘ㅿ’로 설정한 배경과 그 음의 변천을 통해 중고 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발음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15세기 한국어의 반치음 ‘ㅿ’에 관한 자료와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 발음에 대한 기록을 통해, 중국어와 한국어의 역사적인 문화 교류 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 반치음 ‘ㅿ’이 16세기 후기에 변화된 음운현상 등을 통해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발음은 탁찰음(濁擦音) /z/와 무찰통음(無擦通音) /i/로 처리할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반치음 ‘ㅿ’와 같이 불청불탁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Ⅰ장에서는 서론 부분은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연구 배경과 선행연구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은 본고의 문제제기, 연구의의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할 것이다.
Ⅱ장에서는 중고시기 중국어의 성모체계와 중세기 한국 한자음의 초성체계의 대응을 연구하고 15세기 당시 중국의 반치음 일모의 음가와 조선의 반치음‘ㅿ’의 음가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Ⅲ장에서는 먼저 중한 일모(日母)음에 대한 연구학자의 논의를 정리하고 귀납하다. 그 다음 중국어 일모(日母)의 음가와 한국어 ‘ㅿ’이 역사적 시기의 변화에 따라서 비교하고 분석했다. 본론의 마지막 부분은 중국어 일모(日母)음과 한국어 일모(日母)음 상관성의 분석 내용이다. 이 장의 결론은 중국어 일모와 한국어 반치음 ‘ㅿ’는 <훈민정음>의 창제 시기의 음가 유사성이 제일 크다. 그 후에 양국 각자의 언어 환경의 영향을 받아 각자 변화되어졌다. 그리고 이장의 내용에 대해 정리한다.
Ⅳ장은 본 연구의 결론 부분인데 본고의 관점을 내놓고 위의 내용에 대하여 귀납하였다.
본고는 15세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음가는 탁찰음 /z/이나 무찰통음 /i/으로 처리할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ㅿ’와 같은 불청불탁으로 /z/표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음역 방법으로 한국 중세기 ‘ㅿ’의 음가에 대해 연구를 통해서 중국 중고시기 일모의 음가를 다시 고증한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학자들은 중고 중국어의 음가를 의측할 때 나온 편차를 수정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