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영재교육 진흥법이 시행된 이후 영재교육이 양적으로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국악분야 영재교육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2008년 이후 국악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공교육 차... 2002년 영재교육 진흥법이 시행된 이후 영재교육이 양적으로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국악분야 영재교육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2008년 이후 국악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공교육 차원의 국악영재교육기관이 생겼지만 양적으로 그 수가 매우 적으며 국악영재교육과정 운영의 면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국악영재의 정의는 물론 국악영재교육의 목적과 방향조차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적절한 국악영재 선발 시기와 기준, 교육과정 및 세부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국악영재교육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국악영재교육은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국악을 제대로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주체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변화해야하는 시대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을 백년지대계인 국악영재교육에서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국악영재교육이 처음 실시되는 초등학교급 국악영재교육기관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국내 국악영재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영재의 정의 및 특성을 통해 국악 영재의 개념을 정립하고 국악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2016년 시·도 교육청 지원으로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생 대상 국악영재교육기관 13곳을 선정하여 영재교육기관의 형태에 따라 영재학교,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으로 구분하고 ‘선발’과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 현황에 대해 논의하고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과 국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와 체계화가 필요하며 조기 국악영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악의 특성을 살리는 국악영재 선발 기준과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하며, 연속성 있고 체계적인 국악영재 교육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선발·교육 전공 분야가 다양화되어야 하며 인원수 또한 조정되어야 한다. 넷째, 다단계 선발 방식을 채택하고 선발 과정을 교육프로그램과 연계시켜야 하며 평가 결과도 교육과정에 환류되어야 한다. 다섯째, 국악영재교육기관의 양적 확충은 물론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도 힘써야 하며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선발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국악적 소양을 지닌 교사를 양성함과 동시에 예술성과 교육전문성을 갖춘 교육 지도교사를 양성해야 한다. 일곱째,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국전통예술영재학교를 설립하여 국악영재교육의 전문성을 갖추고 각 국악영재교육기관은 프로그램의 명확한 교육이념과 비전을 설정해야 한다. 여덟째, 국악영재교육과 관련한 행정업무를 보는 공직자는 국악영재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전문성을 발휘해야 하며 국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