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present, the problem of the elderly in Korea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since the 1970s. As the elderly population grows, various problems and demands have increased, whic... At present, the problem of the elderly in Korea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since the 1970s. As the elderly population grows, various problems and demands have increased, which overloads existing social system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dvanced countries are actively promoting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However, the scope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s limited, and recently the elderly are trying to welfare by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how elderly people ha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during old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This study used the KLOSA data and tried to verify the hypothesis by statistical processing using IBM SPSS 18.0. Before the analysis, the relevant theories were summarized and the two hypotheses were set that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ill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establishing the control variabl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travel tourism, cultural consumption, volunteering, and a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In the residential areas, the elderly in urban area had more experience of physical activity, travel tourism, culture consumption, volunteer, social gathering, and ability development than the elderly in the suburbs. And, as the health condition improved, the experience of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In relation to excluding group characteristics, physical activity, travel tourism, cultural consumption, volunteering were rel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hierarchical consciousness, health status, religious activity, constitutional household number and residence area were meaningful. However, when the two characteristic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he variables that exerted the influence are extinguished and the new relationship appear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group affects the leisure activity. Lastly, we try to find out how age, health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groups. As a result, pre - service elderly people were concerned about physical activity, travel tourism, cultural consumption and elderly people. The elderly were more influential when their health condition was good. Also,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in suburbs were differ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used in the survey are not subdivided by age. There is also a nee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factors by further subdivision of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KLOSA' is composed of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o there was a lack of leisure activity items. Finally,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ostly in agreem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may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environment. Therefore,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considering this will be needed in future research.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문제는 산업화 과정으로 인해 급속도로 진행되어 1970년대부터 이미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문제는 산업화 과정으로 인해 급속도로 진행되어 1970년대부터 이미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요구들이 증가했으며, 이는 기존의 사회 시스템에 과부하룰 주기에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의 심리적 안녕과 생활만족, 삶의 만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여가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노인들의 여가활동의 범위는 제한적이며, 최근에 들어서야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노인복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그 정도가 크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들의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며, 노후 생활 동안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이 노년기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원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14년 조사된 ‘제5차 고령화연구패널’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이를 IBM SPSS 18.0을 이요한 통계처리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려 한다. 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이론적 논의들을 정리하여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노인의 집단별 특성에 따라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다’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한 후 검증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우선적으로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 실태, 삶의 만족도 등 각 변수별 특성을 기술통계방법인 빈도분석을 통해 파악했고, 노인의 집단별 형태와 여가활동 경험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분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시행하였다. 이후 여가활동이 노인의 전반적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통제변인을 설정한 후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앞선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노인의 인구 사회적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의 평균차이 검증을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를 통해 확인한 결과 연령에서는 여행관광, 문화소비, 자원봉사, 능력개발에서 노인과 예비노인 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거주 지역별로는 도시지역 노인이 읍면부 노인보다 체육활동, 여행관광, 문화소비, 자원봉사, 사교모임, 능력개발의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건강상태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아질 때 여가활동 경험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노인의 집단별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별 특성을 배제한 여가활동 경험과 삶의 질 만족도 간 관계에서는 체육활동, 여행관광, 문화소비, 자원봉사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별 특성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는 혼인상태, 교육수준, 주관적 계층의식,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 활동, 구성세대수, 거주지역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여가활동 경험과 집단별 특성을 동시에 투입했을 때 기존에 영향을 주던 관계가 소멸되고 새로운 관계가 나타나 집단별 특성이 여가활동 경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주요 집단별 특성으로 설정한 연령, 건강상태, 거주 지역별 차이가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예비노인은 체육활동, 여행관광, 문화소비가 삶의 질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고 있었고, 노인은 체육활동만이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여가활동 경험이 증가하며 삶의 질 만족도가 높아졌고, 도시지역 거주 노인이 읍면부 거주노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조사에 사용된 고령화연구 패널 조사는 50세 이상의 예비노인도 조사되고 있기에 후속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연령별로 세분화하여 그 변화를 자세히 파악해야만 하며, 거주환경이 미치는 옇향을 좀더 면밀히 조사하기 위해서는 거주 지역을 좀더 세분화하여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고령화연구 패널 조사는 노인의 인구 사회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되었기에 여가활동 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대부분 일치했지만 노인의 특성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시대, 환경적 변화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