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과정에서 우리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역사교육은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한국사를 필수과정으로 지정하고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변... 세계화의 과정에서 우리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역사교육은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한국사를 필수과정으로 지정하고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변화에도 학교 현장에서는 역사교육 방법론은 과거 20년 전과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수업 방법이 좀 더 다양해졌지만, 체험과 활동 중심의 역사 수업은 거의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현장 학습 수업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달리 현장에서 역사적 의식을 느낄 수 있는 살아 있는 교육이 될 것이며, 이를 잘 활용한다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역사인식의 전환 등을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현장 학습 수업은 거의 이뤄지고 있지 않다. 이뤄진다 해도 정규수업 시간에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수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수업 시간의 제한, 이동 시간, 지역 내 문화자원에 대한 무관심, 지역 내 문화자원과 교육과정의 연관성 부족 등이 그 이유이다. 여러 가지 제한 요소 중에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현장 학습 수업의 가장 큰 제한 요소는 역사 교과의 시수 부족과 이동 시간이었다. 금번 연구는 현장 수업의 진행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을 제거하여 현장 학습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역사 교과의 수업 시수 부족 문제이다. 현행 교육과정과 2015 개정시기 교육과정은 모두 핵심 성취기준을 설정하였다. 교육과정의 재편성을 통해 수업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역사 기본 수업 시수를 바탕으로 점심 이후 수업 시간을 블록으로 묶어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2학년의 경우 주당 3시간을 하나로 묶어 평일 점심 이후에 블록수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3학년의 경우 주당 2시간을 블록으로 묶거나 연초 교육계획 수립 시 봉사시간을 문화재지킴이 시간으로 1시간 배정하여 수업과 연계하여 현장 학습 수업을 진행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수업 시수의 부족 문제는 해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에는 수업 내용을 간소화하는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에 역사과의 핵심 성취 수준을 잘 활용하여 수업 계획을 작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학습 요소를 지역의 문화자원과 연결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지역의 여러 문화자원을 2015 개정시기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하려 노력했다. 그 가운데 현장 학습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이동 시간과 교육과정 등의 요소 등을 기준으로 파악하여 현장 학습 수업에 최적합 문화자원을 선정하였다. 셋째, 현장 학습 수업의 최적합 문화자원인 ‘백사마을’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실제 현장 학습 수업을 진행하고, 그 교육적 효과와 함께 역사 기본 수업 시수 내에서 현장 학습 수업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백사마을’은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시기 교육과정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수업 자료이다. 교육과정의 해당 단원의 학습 요소와 성취기준을 잘 교육할 수 있는 수업 자료이다. 경제 성장의 과정에서 발생된 사회 양극화 및 이에 대한 해결을 모색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할 소재로 백사마을은 가장 적합하다. 지역 내 문화자원을 잘 활용하여 현장 학습 수업을 진행한다면 학생들은 활동적이고 재미있어 하며, 지역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며 이를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As globalization arises,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gets highlighted even more for our survival and thrive in Korea. Recently, Korean history has been designated as a compulsory course (and emphasizing history education in education curriculum is the best example for that phenomenon.) Despite these changes, methodology in history education classrooms have not changed much compared to twenty years ago. The teaching-learning procedures have been diversified, but experience-centered and activity-oriented history classes are not taking place. Field work method would be helpful in a way to have historical consciousness, unlike existing one way lectures in classes. Taking advantage of it, it will be an effective method to achieve conversion of historical awareness which is required by an education curriculum. Today, there aren't much field work classes using local culture resources in history education in middle school. Even if there is, the curriculum does not apply to every student. There are reasons for this; limit of class time, travel time to a site, indifference toward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lack of connectedness between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educational curriculum. One of the biggest restriction of field work class using local resources is lack of class time of history education and travel time toward a local site. This study eliminates the biggest obstacle above and suggests planning the class including field work. At first, the problem is the lack of history subject class time. Both current and revised curriculums in 2015 set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 By reorganizing the school curriculum, schools can edit contents of class. For second grade students, executing three hour class at once after the lunch time. For third grade students, executing two hour class at once or assigning one hour for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connecting that with class. By this learning method, the lack of classtime can be solved. There's remaining point to consider that simplifying class content, teachers should plan the curriculum with core achievement standards. Secondly, this study tried to connect the course contents and learning components with cultural resources in our region. In accordance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were chosen by consider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ield work class, travel time and course curriculum. Third, this study connected the most appropriate cultural resource "Baeksa village" executed the field work class in reality, and proved not onl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learning method but how feasible the plan is. Baeksa village is great material to utilize in both revised curriculums in 2009 and 2015, and appropriate to teach relevant course and achievement standards. As social polarization results from economic development, Baeksa village is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 to find the solution for local community. By planning field work class using local historical resources, we can expect students to learn actively and have fun in class. Also, it would be a great opportunity for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community. The learning method can change students to be active in class and participate in learning.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