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 청년문화와 90년대 신세대문화 비교 연구 : 문화주도층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20년의 터울로 세대문화로서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1970년대 청년문화와 1990년대 신세대문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문화를 같은 맥락에서 이해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소...

본 논문은 20년의 터울로 세대문화로서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1970년대 청년문화와 1990년대 신세대문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문화를 같은 맥락에서 이해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소비력을 갖춘 세대들에 의해 주도된 두 문화는 그 결말에 차이점을 보인다. 사회적·정치적 억압이 ‘대마초 파동’으로 표면화되며 그 끝을 맞이한 청년문화는 짧지만 강한 생명력으로 현재까지 수많은 뮤지션들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친다. 1990년대 신세대문화는 90년대 중반에 나타난 아이돌 시스템이 고착화 되어 아이돌 발굴과 제작 시스템이 현재까지 대중음악계에 유지되고 있다.
1960년대 시작한 군사정권의 경제개발계획으로 공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1970년대는 베이비 붐 세대들의 대학 진학률이 증가했고 경제적 안정이 이루어졌으며 대학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문화가 형성되었다. 서울의 중심가에는 음악 감상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고 70년대 청년들은 그 곳을 중심으로 모던포크 음악을 향유하며 기성세대와는 다른 감수성을 형성해 나갔으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최초의 세대혁명이 시작된 것이다. 1990년대 초 탈이념시대의 막이 열리고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상품 구매력이 막강한 세대는 문화적 혜택을 온 몸으로 받으며 신세대론을 촉발 시킨다. 이후 신세대문화는 소비문화와 결합하며 문화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다. 두 문화는 기성세대의 문화에 반하는 하위문화로서 주류 시장의 진입에 성공했으며 새로운 감성과 감각을 지닌 세대는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그 다양한 스타일의 중심에는 70년대의 모던포크와 90년대 힙합문화가 있었는데 모던포크 문화는 청바지와 장발 등 외형적인 모습까지 수용하였고 90년대의 힙합문화는 교복문화에 얽매어 있던 10대들을 중심 스트리트 문화와 함께 급속히 퍼져갔다. 또한 싱어-송라이터의 등장으로 대중들에게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며 정체성을 표현하기도 했고 때로는 그들과 동일시 하며 감수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그들은 70년대 음악감상실과 실얼롱문화라는 공동의 공간과 아이돌문화의 부흥으로 조직화된 팬덤을 중심으로 공동의 감성과 경험을 공유하며 다른 집단과 구별하여 그들만의 공동체 의식을 더욱 돈독히 다져나갔다. 또한 매체를 중심으로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70년대 청년들은 모던 포크의 인기와 함께 증가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그 감수성을 공유했던 팬클럽이 생겨났고 90년대는 인터넷의 발달로 팬덤문화는 또 다른 형태의 팬 소모임인 팬 페이지를 탄생시키는데 이러한 온라인 활동을 통하여 정체성을 형성해갔다.
비록 시대상황과 세대는 다르지만 이처럼 두 문화론은 상당히 닮아 있으며 그 이면에는 서구의 새로운 문화를 온 몸으로 수용한 세대들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세대들이 주도했던 세대문화로서의 청년문화와 신세대문화의 정체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This thesis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wo generation cultures, a gap of 20 years, including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and the new generation culture in 1990s and makes clear that the two generation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coherence. ...

This thesis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wo generation cultures, a gap of 20 years, including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and the new generation culture in 1990s and makes clear that the two generation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coherence. However, the two cultures driven by the generations that have a consuming power showed differences in the conclusion. The youth culture that ended with 'marijuana issue' caused by government suppression of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has influenced the sensitivity of a number of musicians with a strong vitality despite its short period of time. The new generation culture in the 1990s adhered the idol system appearing in the mid-1900s and the finding and producing systems for idols has continuously maintained to the present.
As the industrialization and civilization caused by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driven by a military regime developed, the college entrance rate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in the 1970s increased, economic stability was achieved, and their cultures centering around colleges was established. A bunch of music halls opened downtown in Seoul, they created the sensitivity different from the older generation by appreciating modern folk music around that area, and the revolution of generation was born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for the first time. As an era of post-ideology began in the early 1990s and the consuming culture caused by the growth of economy was expended, the generation with a strong purchasing power triggered a new general trend, experiencing the cultural benefits. After that, the new generation culture dominated cultural hegemony by combining with a consuming culture. The two cultures as subordinate cultures opposite to the older generation succeeded in entering main markets, and the generation with new sensitivity and feeling showed various styles. While modern folk in the 1970s and hip hop in the 1990s existed in the center of the various styles, the culture of modern folk accepted outer appearance such as jeans, long hair and etc. and the hip hop culture rapidly expanded with the street culture by teenagers forced to wear school uniforms. In addition, the advent of singer-song writers express identities, delivering social messages and sensitivity would be established, sharing emotions. They shared the common sensitivity and experience and their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was cultivated by excluding other groups, centering in the fandom organized due to the common spaces such as music halls or a sing alone culture in the 19700s and the revival of idol culture. Furthermore, while cultural community seemed to be established, focusing on media, the youth in 1970s established fan clubs that they shared their sensitivities mainly on radio programs that increased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modern folk and in the 1990s, the fandom culture brought fan pages, another type of a small group meeting. due to the growth of internet, and the identity became established through such on-line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nd generation, the two cultures resemble each other and behind the story, the generation that fully accepted new cultures from the West.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the youth culture as the generation culture that such generations led and the new generation culture.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