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14/100569.html">연구는 1931년-1937년에 상하이에서 제작된 영화매체에 나타난 여성 패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근대 상하이의 여성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시기의 ...
본 연구는 1931년-1937년에 상하이에서 제작된 영화매체에 나타난 여성 패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근대 상하이의 여성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시기의 도시 상하이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여성 패션의 상호관계를 밝혔다.
상하이의 1930년대는 민족성의 위기를 의식한 근대화의 전환기라는 시대의식을 배경으로 하였다. 19세기 중반부터 상하이는 조계로 설정되어 구미 열강에 의해 경제 식민화를 겪었다. 도시 상하이의 시공간은 자본논리에 의해 재편되었고, 사회는 점차 양극화 되었다. 중국에서는 1931년 만주사변 이후 국제적 마찰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조성되어 항일투쟁이 격화되었고, 중국인의 민족정신이 강화되었다. 상하이에는 예술 문화 방면에 민족 자본이 집중적으로 흘러들어 상하이에 민족문화를 형성시켰고, 좌익 영화계는 영화 제작에 있어서 반식민적인 어두운 사회현실의 반영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1930년대는 상하이의 여성 패션에 서구패션과 중국 전통 패션이 충돌하여 혼합적 양상을 빚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은 상하이의 대립된 두 사회체제가 추구하였던 상이한 여성상을 포함하고 있었다. 상하이 영화에 나타난 여성 패션분석을 통해 네 가지 여성상을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전통적 여성상, 모순적 여성상, 진보적 여성상, 모던적 여성상으로 여성상별로 패션의 형식과 장식 측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할 수 있었다.
전통적 여성상은 사회계층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도시 주변부에 거주하는 서민 여성은 문명화되지 않은 전통적 패션 요소를 간직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시에 거주하는 유산계급 여성은 근대 교육을 접한 진보적 여성의 유형이지만, 현모양처형 교육에 의해 선택적인 전통의 패션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과거 전근대 사회에서 신분에 의해 구분 지어졌던 패션은 근대로 들어서서 다양해진 여성 사회계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모순적 여성상은 대개 전통적 여성상과 모던적 여성상이 융합된 모습으로 나타났고, 이중적 사회의 정치체제 하에서 여성 정체성의 갈등이 양면적 외관의 패션으로 표출되었다. 이 여성상에서 두 가지 여성상의 구분은 형식 측면에서는 몸에 대한 재현성의 차이로 나타났고, 장식 측면에서는 서구적 패션 장식성 요소의 유무로 확인되었다.
진보적 여성상은 전통적 여성상과 대별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국가가 추구한 남성의존적 여성상으로부터 탈피하여 독립적 여성상을 형성한 것으로 무성별적 패션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이는 당시 좌익 지식인에 의해 전개되었던 여성 해방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성 노동자의 사회적 위치 상승으로 인해 실용적, 비장식적 패션이 추구되었다. 이 여성상의 패션은 중국 해방 이후 약 30여 년 동안 일반 여성의 패션으로 보편화되어 착용되었다.
모던적 여성상은 주체의식 없이 서구 여성을 맹목적으로 좇는 과도하게 장식적인 패션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여성상에 해당하는 이들은 국가 존립이나 민족 문화의 부흥 같은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고, 오로지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해 존재하였다. 화려해 보이는 사교생활과는 달리 이들은 경제적으로 무능력해 남성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성향을 지니고 있었다. 개량 치파오와 서구식 패션 요소의 혼용, 변형된 서구식 패션 의복의 착용으로 새로운 패션문화를 생산하였다.
1930년대 상하이 여성의 패션문화는 당시 사회문화적 변화에 의해 새로운 표현 양식을 생산하였고, 다양한 사회계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근대 이후의 여성 패션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시대 여성 패션이 보여준 서구화와 전통화의 충돌 양상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따라서 1930년대 상하이의 패션과 소비문화에 대한 역사적 탐색은 현재 우리가 지닌 과제인, 전통의 세계화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핵심어>
근대 상하이, 서구화, 국민화, 근대화, 영화 패션, 여성상
This study analyzes women’s fashion in films produced in Shanghai from 1931–1937; the findings are used to reveal comm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among images of women in modern Shanghai. In addition, the study elucidates the sociocultural b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