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미용은 감성적이며 창조적인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아름다움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적 창조의 도구나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즉 다... 현대사회의 미용은 감성적이며 창조적인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아름다움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적 창조의 도구나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즉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접목되고 있는 미용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의 내․외적인 이미지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현대 여성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있어 헤어관리의 편리함으로 인해 짧은머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전문적이고 이지적인 세련된 여성의 이미지를 잘 표현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긴 머리에 비해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결혼식이나 파티에 참석하거나 자신의 분위기를 바꾸고자 할 때 짧은머리로 업스타일을 연출하기에는 모발 길이의 한계점으로 인해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헤어 전문가의 고도로 숙련된 기술과 차원 높은 식견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보문의 종류 및 상징성을 분석하고 조사한 후 이미지를 응용한 헤어피스 및 장신구를 제작하여 짧은머리 업스타일 연출시 응용하였다. 다양한 문양 중에서 전통 보문의 상징성 및 이미지를 활용한 이유는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고전 문화에 대한 관심과 전통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고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보문에는 불교에서 유래한 불교보문, 도교에서 유래한 도교보문 그리고 잡보문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보문의 기원은 다르지만 모두 길상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보문 중에서 불교보문에 연화문 2점, 잡보문에 보문(黼紋) 2점, 보운문 3점, 전보문 2점, 와잠문 1점, 만자문 1점, 보주문 1점으로 총 12점의 헤어피스를 제작하였으며, 위의 문양들을 응용하여 29점의 헤어장신구를 제작하였다. 헤어피스 및 장신구는 균형과 강조, 조화, 진행 등의 디자인 기본 법칙과 C컬, S웨이브, 업스타일 기본 기법인 땋기, 꼬기, 매듭, 고리, 겹치기, 말기 등을 활용하여 제작에 응용하였다. 그리고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로 초산비닐 에멀전, 우드락 본드, 알코올, 머리카락, 진주, 비즈, 액세서리, 핀, 자석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머리카락은 미용실에서 버려지는 것을 재활용하였다. 전통보문을 기반으로 제작된 헤어피스와 장신구를 통해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한편, 혼례 및 파티 등의 특별한 날에 상서로운 의미를 가진 전통보문을 활용한 헤어피스 및 장신구를 이용하여 업스타일을 연출함으로써 길상의 의미와 더욱 복된 날이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자 한다. 또한 헤어 전문가들이 짧은머리를 대상으로 업스타일을 연출할 때 모발 길이의 한계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헤어피스나 장신구를 이용하여 보완함으로써 이전보다 더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소비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자는 여기에 더하여 뷰티 산업화의 비전 가능성을 보고 특허출원과 디자인 등록을 시도하여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었으며, 작품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통보문에 대한 헤어피스 및 장신구 이미지의 요인분석을 형용사 및 반대어로 두 가지 요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제 1요인(디자인 요인)과 제 2요인(실용성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분석한 결과 디자인 요인에서는 ‘우아한’ .6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용성 요인에서는 ‘좋아하는’ .7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른 헤어피스 및 장신구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헤어피스 및 장신구 이미지 요인 간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보문(黼紋)이 디자인 요인 3.87, 실용성 요인 4.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른 헤어피스 및 장신구 연출에 따른 이미지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으로 실시한 결과 30~40대에서는 보주문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60대에서는 연화문 4.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피스 및 장신구 연출에 따른 관능도 분석 결과는 헤어피스 및 장신구를 개별로 보는 만족도보다 업스타일에 활용되었을 때 관능정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 설문을 통해 전통보문을 응용한 헤어피스 및 장신구의 실용성이 확인된 바, 전통보문의 이미지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나아가 전통보문을 헤어 분야에 응용한 제품을 실용화함으로써 학문적 가치를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우리 전통문화의 활성화가 되길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