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는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여 사용하는 협력적 소비로, 자원의 사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소비문화이자 경제방식이다(Lessig, 2008). 공유경제 서비스를 통해 대여...
공유경제는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여 사용하는 협력적 소비로, 자원의 사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소비문화이자 경제방식이다(Lessig, 2008). 공유경제 서비스를 통해 대여자는 자신이 소유한 유휴자원을 수입원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이용자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회전체로는 자원이 절약되고 이에 따른 환경문제를 줄여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부와 사회에서 주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2년에 서울시가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하고 관련 사업에 대하여 행정적, 재정적으로 지원을 시작하면서 공유경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져 가지만 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특히,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 시 알지 못하는 누군가와 나의 것을 나누어 쓴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유형자원의 경우 사용에 따른 감가상각을 정확하게 할 수 없다는 점, 물건을 공유하면서 개인 사생활이 공개될 소지가 있다는 점, 파손이나 도난 발생 시 책임문제가 불명확 하다는 점 등 공유경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거부감을 생기게 할 수 있는 요소가 많이 있어 서로 잘 알지 못하는 사람끼리 신뢰를 통해 거래하는 것이 공유경제의 핵심으로 언급되고 있지만(Botsman, 2011), 기존 연구에서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위험요소와 신뢰에 대하여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가치, 신뢰와 이용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공유경제 서비스에서 가장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인 카쉐어링 서비스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대상은 국내 카쉐어링 업체 웹페이지에 접속경험이 있어 카쉐어링 서비스에 대해 알고 있거나 실제 서비스를 이용해 본 이용자 중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잠재 이용대상자로 설정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공유경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가치(기능적,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유경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은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경제 서비스의 경제적가치, 사회적가치는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기능적 가치는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공유경제 서비스의 기능적가치, 경제적가치는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가치는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신뢰는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국내 공유경제 서비스의 본격적인 활성화를 앞둔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공유경제 서비스의 잠재 이용자가 실질적으로 지각하는 위험과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신뢰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나아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As the cooperative consumption of products shared/used by many people, the sharing economy is a consumption culture and an economy method maximizing the use value of resources(Lessig, 2008). Through the sharing economy, lenders can connect their idle ...
As the cooperative consumption of products shared/used by many people, the sharing economy is a consumption culture and an economy method maximizing the use value of resources(Lessig, 2008). Through the sharing economy, lenders can connect their idle resource to the source of income while users can reduce cost and the society itself can save resource, so that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reduced. That is why it grabs the attention of both government and society. In Korea, it has more and more interest as Seoul declared 'the sharing city, Seoul' in 2012 and then started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relevant businesses.
In spite of much interest in sharing economy service, its relevant research is in the initial stage yet. Since there are lots of elements of causing resistance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 like sharing my goods with others, impossible to have accurate depreciation of use, possible to violate privacy, and unclear responsibility in case of damage or robbery, it is mentioned that 'dealing with strangers based on trust is the core of sharing economy'(Botsman, 2011). The existing researches have not yet dealt with the risk factors and trust of sharing economy service. Thu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isks, perceived values, trust, and intention to use for sharing economy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car sharing service which has been noticeably growing in the domestic sharing economy service. The survey targets were the potential users who did not own cars, but knew about the service by accessing to the web-pages of domestic car sharing businesses or actually used the service.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perceived risks of sharing economy service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s. Second, the perceived risks had negative(-) influence on trust. Third, the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rust while the functional value had no influence on trust. Fourth, the functional value and economic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use while the social value had no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Lastly, trus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his study provided a chance to understand the risks and values actually perceived by potential users before the full-scale vitalization of domestic sharing economy service, and also to see the importance of trust. Moreover, it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vitalization of servic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