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생 건축 : 건축 재생으로서의 대안적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research is on concep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Epiphyte Architecture. Epiphyte Architecture is design method related to using outside of existing buildings and complementation of additional functions and space, which are not yet focused ...

This research is on concep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Epiphyte Architecture. Epiphyte Architecture is design method related to using outside of existing buildings and complementation of additional functions and space, which are not yet focused on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purposed to broaden the realm of architectural reuse design by the concept of Epiphyte Architecture.
Architectural reuse design is based on preservation of existing building. It begins with the physical design process such as repair, mending and so on. However, the genuine architecture regeneration is only realized when non-physical architectural values, such as permanent living after construction and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s, are applied to design process.
Epiphyte Architecture is design method which utilizes existing buildings and attaches new architectural object on it. It admits individuality of each architectural object, and plans organic coexistence among them. Moreover, it complements additional architectural functions and space for existing buildings, and, by epiphytic relationship of existing building and new architectural objects, it attempts social and cultural symbiosis with urban environments. In this regards, Epiphyte Architecture considers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parts of architectural reuse design, and pursues the genuine completion of architectural regeneration.
As above, Epiphyte Architecture shows four characteristics, ‘using existing buildings’,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objects’, 'functional complementation’ and ‘social, cultural symbioses’. These four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constructive maintenance’. Each of them represents the ‘basement’, ‘concept’, ‘realization’, and ‘sustainable completion’. Through this process, Epiphyte Architecture realizes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the 'genuine present’.
This research defined the concept of Epiphyte Architecture and suggested difference with precedent studies of architectural reuse design. Furthermore, it shows the process how Epiphyte Architecture accomplishes ‘constructive maintenance’ in architecture. This research will be the foundation stone of the continuous studies of Epiphyte Architecture.

연구는 자연계에서의 착생 개념을 건축에 적용한 ‘착생 건축’에 관한 연구이며, 착생 건축의 개념과 특성,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건축 재생 디자인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

본 연구는 자연계에서의 착생 개념을 건축에 적용한 ‘착생 건축’에 관한 연구이며, 착생 건축의 개념과 특성,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건축 재생 디자인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기존 건축물의 외부 영역과 새로운 기능공간의 추가적 보완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그럼으로써 건축 재생 디자인의 논의의 범주를 넓히고 지평을 넓히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건축 재생 디자인은 기존 건축물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려는 태도를 전제로 한다. 그 진행에 있어, 건축 재생 디자인은 기존 건축물에 대한 개보수 및 전용과 같은 물리적 개입에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물리적 개입 이후의 지속적인 쓰임이나 주변 환경과의 관계성과 같은 비물리적 요소까지 모두 고려했을 때 건축 재생 디자인은 진정한 완성을 이룬다.
착생 건축은 기존 건조 환경을 활용하여 그 위에 새로운 건축 개체를 접붙이는 건축 디자인 방법이다. 이때 각 건축 개체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이들의 유기적 공존을 계획한다. 그리고 착생 관계를 통해 기존 건조 환경에 대한 추가적인 기능적공간적 보완을 유도하며, 최종적으로 이들과 주변 환경과의 사회문화적 공생을 꾀한다. 이처럼 착생 건축은 디자인 과정에 있어 건축 재생 디자인의 물리적-비물리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며, 물리적 구축 행위 뿐 아니라 그 이후의 지속적 자생까지 디자인의 범주로 포함한다. 이는 착생 건축이 건축 재생의 진정한 완성을 추구하는 건축 디자인 방법론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착생 건축의 특성은 구축적 보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적용된다. 착생 건축의 네 가지 특성인 ‘기존 건조 환경의 활용’, ‘독자적 개체들의 유기적 공존’, ‘기능적 보완’, ‘사회문화적 공생’은 각각 시간성, 다원성, 보완성, 매개성의 성격을 가진다. 그리고 이는 각각 구축적 보존의 전제와 개념, 실현, 그리고 지속적 완성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착생 건축은 건축의 지속적인 구축을 이루며 ‘진정한 현재’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착생 건축의 개념을 정의하고 특성을 제시하며, 기존의 건축 디자인과 어떤 차별성을 가지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착생 건축이 건축 재생의 시작점부터 진정한 완성까지 모두 아우르는 디자인 방법론임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건축 재생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고, 추후 진행될 또 다른 착생 건축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