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래어의 대조 연구 : 의미 조어 방식 연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oanwords in Korean and Japanese through contrast analysis in semantic, word formation, lexical collocation perspectives. Difficultie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in learning and using the Korean...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oanwords in Korean and Japanese through contrast analysis in semantic, word formation, lexical collocation perspectives. Difficultie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in learning and using the Korean loanwords and the possible errors that can be caus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Japanese as a native language are examined. First, research purpose, subjects, procedures and methods were discussed in the introduction. Chapter 2 investigates hypothesis of contrastive analysis and reviews previous literature on Korean linguist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rastive linguistics related to the topic. Chapter 3 uses 284 Korean loanwords extracted from the List of Development Research of Korean Lexical Contents and corresponded Japanese loanwords to compare analysis in semantic, word formation, lexical collocation perspectives. The result shows that the largest portion of loanwords in Korean and Japanese were completely corresponded while the rest were not. Therefore, learners’ errors can be expected when using loanwords. The result of contrasting abbreviation of Korean-Japanese loanwords and ‘하다/する combination’shows that way of abbreviation is either the same or different and that there are more abbreviation in Japanese than Korean. ‘Korean loanword / 하다’ and ‘Japanese loanword / する’are not always corresponded so errors can be expected especially when there is no matching pair. 4 types of Korean-Japanese loanword lexical collocations including [V/loanword], [N/loanword], [loanword/V], [loanword/N] were contraste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mother tongue transfer was expected to occur in all types. The last chapter summarizes the result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meaningful data in order to reduce Korean loanwords’ errors caused by Japanese negative transfer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and the ability to use Korean loanwords.

본고는 한국어 외래어와 일본어 외래어를 의미, 조어 방식, 연어의 세 영역에서 대조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면서 일본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외래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때 어떠...

본고는 한국어 외래어와 일본어 외래어를 의미, 조어 방식, 연어의 세 영역에서 대조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면서 일본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외래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때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지, 모국어인 일본어의 간섭으로 인하여 어떠한 오류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예측함으로써 연구의 결과가 학습자들의 한국어 외래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함께 연구 대상 및 자료, 연구 절차 및 방법을 밝혔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대조분석 가설에 대하여 살펴보고 외래어 연구에 관련된 국어학, 한국어교육학, 대조언어학에서의 선행 연구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어휘 내용 개발 연구 목록에서 추출한 284개의 한국어 외래어와 함께 그와 동일한 원어를 가지는 일본어 외래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일 외래어의 의미, 조어 방식, 연어에 대한 대조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우선 의미 대조에서는 의미항목이 완전히 일치하는 한일 외래어가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모두 상이한 의미항목을 가지는 경우에 해당되었는데 결코 작은 비중이 아니었으며 그만큼 학습자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일 외래어의 ‘축약형’과 ‘접사(하다/する)와의 결합’에 대하여 대조한 결과, 준말의 축약 방식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한일 외래어가 모두 존재하였고 준말의 유무에서는 일본어 외래어에만 준말이 있는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외래어/하다’와 ‘일본어 외래어/する’는 서로 대응되는 경우와 대응짝이 없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특히 대응짝이 없는 경우에 많은 오류가 예상되었다. 마지막으로 [V/외래어], [N/외래어], [외래어/V], [외래어/N]의 네 가지 유형의 한일 외래어 연어에 대하여 상이점을 중심으로 대조한 결과, 모든 유형에서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 현상이 예측되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본고의 연구 결과가 일본어 학습자의 부정적 전이(간섭)로 인한 한국어 외래어의 오류를 줄이고 학습자의 한국어 외래어에 대한 이해 및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