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선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lect borrowed words for those wh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review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uch students. Unlike students who learn Korean for general reasons, those who do so for academic 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lect borrowed words for those wh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review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uch students. Unlike students who learn Korean for general reasons, those who do so for academic purposes are required to learn academic terms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their vocabulary. Words for academic purposes are different from general word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at. Such words need to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introduced to students, and then taught in a systematic and step-by-step manner. The teaching of borrowed words has recently come under the spotlight, particularly with the increase in Chinese students. Yet, as a list of Korean words for academic purposes on a national level is lacking, borrowed words need to be selected when targeting students who lear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erefore, the concept of borrowed words for academic purposes was defin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borrowed words for students who lear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borrowed words for academic purposes refers to “words that need to be learn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n college scholastic tests,” and is broadly defined as including practical borrowed words that are actually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raw corpus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14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for academic purposes by college institutions, and “Standard Korean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 list of “integrated borrowed words” was selected, excluding words that did not fit the detailed standards. Additional words were included based on comparison with lists of borrowed words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words’ frequency of occurrence in the textbooks was considered in finalizing the list of borrowed words.
Analysis of the borrowed words finally selected showed that the variety of academic borrowed words was greater when considered in terms of textual subject than of frequency. Therefore, rather than introducing borrowed words on such a list in terms of frequency, introducing them by topic or borrowed word learning type wa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Thus, this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In light of the insufficient research on selecting borrowed words for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benefits of teaching borrowed wor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를 선정하고 학문 목적 상황에서 학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학문 목적 외래어의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목적...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를 선정하고 학문 목적 상황에서 학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학문 목적 외래어의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 과정과 다른 어휘 확장을 위한 학문 목적 어휘 학습이 요구된다. 학문 목적 어휘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일반 어휘와는 구별되며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문 목적 어휘를 선정하여 제시한 후,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어휘 교육 중에서도 특히 중국인 유학생의 증가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외래어 교육이다. 그런데 아직 국가적인 차원에서 구축된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목록이 정리되지 않은 실정이므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목록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를 선정하고자 먼저 학문 목적 외래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문 목적 외래어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대학 수학 시 이해 및 표현을 위해 학습해야 하는 외래어 어휘’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외래어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정의하였다. 그리고 대학 기관에서 출판된 일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14권과 국립국어원의 ‘초·중·고 표준한국어’교재 6권을 선정하여 원시 말뭉치 자료를 구축하였다. 형태소 분석 및 주석과 오류 수정을 마친 후 교재 말뭉치에서 외래어만을 추출한 다음 세부 기준에 의거하여 세부 기준에 맞지 않는 외래어는 제외하여 ‘통합 외래어’목록을 정리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외래어 목록과 비교하여 학문 목적 상황에 적합한 외래어 중에서 교재 말뭉치와 일치하지 않는 외래어는 추가하였다.
한편 교재별 외래어의 일치율을 확인하는 것 외에 선행연구 목록 어휘의 빈도수와 난이도를 참고하여 학문 목적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외래어 목록은 제외시킨 후 최종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외래어 목록을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 외래어는 교재별 일치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 내 출현 빈도가 2회 이상 나타난 외래어 수보다 1회만 나타난 외래어 수가 훨씬 많은 것을 볼 때 학문 목적 외래어는 빈도수보다 내용의 주제나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어휘의 편차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빈도수로 외래어 목록을 제시하기보다는 주제별로 혹은 외래어 학습 유형별로 제시하는 것이 학문 목적 외래어 학습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되어 이를 교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외래어 교육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문 목적 외래어 선정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선정 연구는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