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부정적 자질 어휘의 형태·의미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언어생활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명하는 데 사용하는 어휘는 그 의미 특성에 따라 중립적인 의미, 긍정적인 의미, 부정적인 의미로 나뉜다. 본 연구는 그 중 화자의 의도나 감정을 반영하는 가...

언어생활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명하는 데 사용하는 어휘는 그 의미 특성에 따라 중립적인 의미, 긍정적인 의미, 부정적인 의미로 나뉜다. 본 연구는 그 중 화자의 의도나 감정을 반영하는 가치반영 어휘로 [/부정적] 자질의 의미 특성을 지닌 어휘들의 양상을 기본형이나 중심 의미 또는 감정 상태와 비교하여 그 의미와 쓰임 및 표현 양상과 형태 구조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특징을 의미론과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비교ㆍ설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람들은 언어를 통하여 상대방과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관계맺음 중에 종종 자신의 의도나 감정을 반영하는 어휘를 수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써 청자나 제3자에 대한 자신의 솔직한 의도나 감정을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화자의 감정 상태를 엿볼 수 있는 어휘들이 가치반영 어휘에 속하게 된다. 본고는 가치반영 어휘 중 사람이나 사물, 일에 대하여 나쁘게 보거나 비정의적인, 대중적으로 환영받지 못하는 행동, 표현 등에 해당되는 어휘를 [/부정적] 자질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로 처리하였다.
화자의 감정을 반영하는 [/부정적] 자질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와 기본형에 해당되는 어휘나 중심 의미 또는 감정 상태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중심 의미에 해당하는 기본형을 [무표항]으로, [무표항]에 덧붙는 화자의 감정이라는 의미자질을 [유표지]로, 새롭게 만들어진 [/부정적] 자질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를 [유표항]으로 설정하여 그 의미적인 특징과 쓰임 및 차이점을 논하고자 한다.
본고는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1999)에 수록된 화자의 의도나 감정 상태를 반영하는 [/부정적] 자질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의미 자질의 차이에 의하여 체계를 구축하여 [/속됨], [/비관], [/언짢음], [/비난], [/놀림], [/업신여김] 등 6개 부분으로 나누어 그 의미와 쓰임 및 기본형과 의미상 가지는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각 부분은 또 품사적 기준을 적용하여 체언, 용언, 수식언과 독립언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형식 형태소인 조사와 어미를 함께 묶어서 다루었고, 나머지는 형태소로 처리하였다. 이들을 또 형태론적인 특성에 따라 합성어, 파생어, 단일어로 나눌 수 있었으며 그 하위범주로 어원상의 특성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고유어와 한자어의 결합어, 외래어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기본형에 해당되는 어휘와 어원적ㆍ음운적으로 전혀 다른 양상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는 어휘 치환으로 처리하였다.
이처럼 기본형에 해당되는 어휘나 중심 의미, 감정 상태와 이를 기준으로 [/부정적] 자질 및 특수 의미자질이 덧붙어서 만들어진 어휘는 그 의미와 쓰임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부정적] 자질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는 청자가 화자의 감정이나 의도를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의미의 투명성과 불투명성으로 분류 가능하였다. 또한 형태 구조의 연구를 통하여 [/부정적] 자질을 가지는 가치반영 어휘만이 가지고 있는 형태ㆍ의미적 체계를 확립할 수 있었다.

In the language life, the vocabularies for expressing one's opinion can be divided into litmusless meaning, commendatory meaning and derogatory meaning. In this study,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ith [/derogatory] feature which reflect the speaker's...

In the language life, the vocabularies for expressing one's opinion can be divided into litmusless meaning, commendatory meaning and derogatory meaning. In this study,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ith [/derogatory] feature which reflect the speaker's intention or the feelings are compared with the basic form, central meaning and emotional state of these vocabularies. And the differ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usage, presentation aspect and morphological structures are compared and explained based on the aspect of semantics and morphology.
People communicate and build a relationship with others by using the language. When building a relationship, vocabularies which can reflect one's intention and feeling are selected voluntarily, so that one's intention and feeling are reflected to listeners or third party. These vocabularies are called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in this study, and vocabularies are considered as [/derogatory]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if it is relevant to the derogatory view of the people and things, or popularly disliked behaviors and expressions.
In this study,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ith [/derogatory] feature, and vocabularies, central meaning and emotional state of its basic forms, the central meaning corresponds to basic form is named as [unmarkedness], the semantic feature of speaker's feeling which is added to the [unmarkedness] is named as [marked feature], newly generated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ith [/derogatory] feature are names as [markedness], after tha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usage and difference are discussed.
This study included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hich have [/derogatory] feature selected from『standard national language dictionary』published by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in 1999. According to the semantic differences, the vocabularies are divided into 6 parts to study about the meanings, usages, basic forms and difference of meaning: earthliness, pessimism, peevishness, criticism, taunt, disdain. Each part also can be divided into uninflected word, predicate, modifier and interjection according to the part of speech. Formal morpheme like postposition and ending are treated as one and others are treated as morpheme. From the view of the morphologic, vocabularies can be divided into compound, derivative and simplex, and as subcategory, also can be divided into native tongue, Sino-Korean word, combination of native tongue and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according to etymological features of the language source. Then, basic forms and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hich etynologically and phonologically have big difference are considered as lexical substitution.
In summary, it can be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meaning and usage between vocabularies, central meaning, emotional state of basic forms and other vocabularies which is added [/derogatory] or special semantic features to the basic forms. And,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ith [/derogatory] feature can be divided into semantic transparency and opaquenes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degree of speaker and listener. In addition,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system of value reflected vocabularies with [/derogatory] featur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study of morphological structure.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