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국어 교육용 초급 명사 어휘를 대상으로 하는 『한·중 명사 대역사전』의 실제적인 모델을 구축하는 ...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국어 교육용 초급 명사 어휘를 대상으로 하는 『한·중 명사 대역사전』의 실제적인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한·중 대역사전의 모델은 한국인이 사용하는 국어사전을 단순히 중국어로 번역한 형태의 사전이 아니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이자 대역사전으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한·중 대역사전의 성패는 한국어 표제어의 내용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전달하면서도 각각의 표제어에 부합하는 중국어 대역어를 제공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본고에서 구축하는 『한·중 명사 대역사전』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어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시하되 모국어인 중국어로 의미, 문법, 화용, 기능적 정보를 추가로 제시하여 이해를 돕고, 나아가 한국어 표제어와 중국어 대역어가 포함된 용례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표제어를 적절히 사용하여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명사 대역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용 초급 어휘들을 포함하고 있는 국립국어원(2017)의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 명사(자립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어휘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고유어와 외래어만을 대상으로 표제어 목록을 구성하였다. 본고에서 구성한 체언류 어휘들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습득하게 되는 어휘들이며, 전체 한국어 교육용 초급 어휘 목록에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자를 통해 대략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자어 명사에 비해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고유어나 수용 방식이 전혀 다른 외래어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어려움이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의 외래어 수용 방식을 비교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의 품사별 오류를 분석하여 어휘의 유형과 품사에 따른 사전 기술 방향을 확립하였다. 또한 기존에 출간된 사전 중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용 사전임이 명시된 한·중 사전 3종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형식 정보와 내용 정보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한·중 사전이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국어사전을 기반으로 번역을 시도한 것과 달리, 본고의 『한·중 명사 대역사전』은 외국인을 위한 최초의 한국어 통합 사전인 국립국어원(2017)의 『한국어기초사전』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부분을 구성하였다. 사전의 미시적 구조 항목은 원어 정보, 발음 정보, 활용 정보, 품사 정보, 뜻풀이 정보, 용례 정보, 참고 정보 등으로 구성되었다. 표제어에 대한 원어를 밝혀 학습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외래어에 대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표제어에 대한 발음과 활용형에 대한 발음을 모두 제시하였다. 특히 그간 기존 사전에서는 제시되지 않았던 외래어의 실제 발음을 표기함으로써 표기와는 다른 실제 발음 파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명사, 대명사, 수사 등의 품사를 지닌 한국어 표제어에 각각 대응하는 중국어 대역어를 제시하는 데에 있어 품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 대역어에 대한 품사를 새롭게 밝히고, 그에 따른 용법적 차이를 중국어로 제시하여 오류를 방지하였다. 한국어 뜻풀이는 『한국어기초사전』에 제시된 바를 따라 쉽고 간단하게 나타냈으며, 이를 다시 중국어로 번역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어 뜻풀이와 가장 잘 부합하는 뜻풀이를 지닌 중국어 단어를 대역어로 설정하였으며, 중국어 대역어 역시 『现代汉语词典』을 이용하여 발음과 뜻풀이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표제어와 중국어 대역어의 뜻풀이 간에 의미적 차이가 있는 경우, 부호를 통해 표시하고 일치하는 의미 범주를 제한하여 혼란을 막았다. 한국어 용례는 『한국어기초사전』에서 인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로 제시했으며, 중국어 대역어가 포함된 용례는『现代汉语词典』,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중한사전』,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구축한 말뭉치 코퍼스(CCL语料库检索系统网络版), 인터넷 사이트 '바이두()'의 뉴스 자료 등에서 추출하여 중국어와 한국어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참고 정보는 관련어 정보, 의미 정보, 형식 정보 등으로 나누어 어휘의 의미를 확장하고 문법적, 화용적 지식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용 초급 명사 어휘들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인 『한국어기초사전』을 기반으로 대역하여 중국인 학습자 중심의 『한·중 명사 대역사전』을 편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의미의 등가성을 고려하여 한국어 표제어의 뜻풀이에 가장 잘 부합하는 중국어 대역어를 중국어 사전 내 뜻풀이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표제어와 대역어 간의 의미적, 문법적, 화용적 차이가 있을 경우 중국어로 설명을 덧붙여 학습자들의 혼란을 막았다. 또한 한국어 표제어의 의미로 사용된 중국어 대역어의 예문을 보여주기 위해 사전과 말뭉치 코퍼스 등에서 중국어 대역어의 용례를 찾아 한국어와 중국어로 제시한 점 역시 본고에서 구축한 『한·중 명사 대역사전』이 갖는 큰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