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고유어 요소와 결합한 한자어 요소 연구
왕단단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어 요소와 고유어 요소 결합형 단어의 결합양상과 그 구조를 밝히는 데에 ...
<국문초록>
고유어 요소와 결합한 한자어 요소 연구
왕단단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어 요소와 고유어 요소 결합형 단어의 결합양상과 그 구조를 밝히는 데에 있다. 한자어 요소는 한국어에서 다양한 요소(고유어 요소: 산(山)기슭, 외래어: 네트워크화)와 결합해 단어를 형성한다. 한자어끼리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순수 한자어 조어법은 기존의 한자어 관련 연구에서 많이 다루었지만, 한자어 요소가 한자어 요소 이외의 다른 요소와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 빈칸을 채우는 작업이 될 것이다.
한자어 요소는 현대 한국어에서 여러 의미로 쓰인 경우(병(病), 도(道))도 있지만 하나의 의미로 쓰인 경우(산(山), 강(江))가 대부분이다. 여러 의미로 쓰일 때에도 그 의미간에는 유연성이 있음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같은 한자어 요소를 내포한 결합형들을 하나의 단어군(單語群)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는 한자어 요소의 고유어화 정도가 높을수록 한자어 요소가 고유어 요소와 직접 결합하는 직접 결합형이 많고, 직접 결합형이 없는 한자어 요소는 고유어화가 덜 된 것이라는 가정(假定) 아래 한자어 요소와 고유어 요소의 결합방식을 직접 결합과 간접 결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직접 결합형은 ‘마른강(江)’과 같이 한자어 요소 ‘강(江)’이 직접 고유어 요소 ‘마른’과 결합하는 것이고 간접 결합형은 ‘모래강변(江邊)’의 ‘강(江)’과 같이 한자어 요소 ‘변(邊)’과 결합한 다음에 고유어 요소 ‘모래’와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직접 결합형이 있는 한자어 요소를 주간(主幹) 한자어 요소로 설정하였다. 한 품사 범주에서 직접 결합형만 있는 한자어 요소는 주간 한자어 요소I로, 직접 결합형과 간접 결합형을 모두 가진 한자어 요소는 주간 결합형II로 정하였다. 그리고 관찰 대상인 품사에서 직접 결합형이 있는 한자어 요소는 제1유형 주간 한자어 요소이고, 관찰 대상인 품사에서는 직접 결합형이 없지만 다른 품사에서 직접 결합형이 있는 한자어 요소는 주간 한자어 요소II로 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개념들을 도구로 하여 본 연구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한자어 요소와 고유어 요소의 결합형 단어들을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로 나누어 각 품사별로 주간 한자어 요소를 중심으로 한자어 요소들이 고유어 요소와 결합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미리 예상했던 바와 같이 고유어 요소와의 직접 결합형이 많은 한자어 요소일수록 고유어화가 많이 이루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어: 주간 한자어 요소, 제1유형 주간 한자어 요소, 제2유형 주간 한자어 요소, 직접 결합형, 간접 결합형
학 번: 2008-30691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