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적응은 방언권 간 이주민이 겪는 언어 적응으로서 ‘제2방언 습득(second dialect acquisition)’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서울 지역 북한이탈주민은 ‘북한 문화어...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적응은 방언권 간 이주민이 겪는 언어 적응으로서 ‘제2방언 습득(second dialect acquisition)’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서울 지역 북한이탈주민은 ‘북한 문화어의 영향권 안에 있는 북한 지역 방언’(Dialect 1, D1) 화자가 ‘남한 표준어의 영향권 안에 있는 서울 방언’(Dialect 2, D2)을 습득해 가는 과정 중에 있다. 이들은 타 분단 방언 화자로서 의사소통의 불편과 심리적 타자화, 북한어 교정 요구라는 직·간접적 언어 동화 압력 속에서 주류 사회의 방언인 남한어에 다양한 모습으로 적응해 간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 북한이탈주민 20대~50대의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청취 평가 및 발화 분석을 실시하여 주관적·객관적 언어 적응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적응 지원 체계를 보다 세분화·구체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먼저 설문을 통해 조사한 주관적 언어 적응 실태 결과이다. 북한이탈주민 내에는 언어 태도, 습득, 사용에 있어서 뚜렷한 남한어 지향성을 보이는 ‘동화 유형’과 좀 더 자유로운 ‘통합 유형’이 공존하고 있었다. 언어 태도 면에서 북한어의 부정적 영향과 남한어 유용성은 인식하지만, 자신들의 언어적 정체성을 완전히 부인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남한어 습득 과정에서 상당수가 의사소통의 불편, 심리적 타자화, 북한어 교정 요구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남한어 동화 압력 때문에 의도적으로 남한어를 학습하는 비율이 높았다. 남한어 습득의 목적은 남한 사회로의 통합을 지향하는 통합적 동기보다 남한어의 유용성을 취하는 도구적 동기가 주가 되고 있었다.
현재, 응답자의 50%는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 불편을 겪고 있으며 26%는 낙인을 예상하여 남한 사람들과 대화를 기피하고 있었다. 남한 단어 사용 시 72%, 남한 발음·억양 사용 시 84%가 의식적 노력을 하는 편이다. 자신의 남한어 능력에 만족하는 편인 대상자가 44%, 만족하지 않는 편인 대상자가 56%였다. 대상자의 88%는 개선하고픈 남한어 능력이 있다고 하였으며, 발음·억양, 단어, 화법의 순서로 개선을 희망하고 있었다.
다음은 청취 평가와 발화 분석을 통해 조사한 객관적 언어 적응 실태 결과이다. 실제 남한어 능력(표현 언어면)은 연령, 거주 기간, 남한 교육 경험, 사회관계망, 직업 경력에 따라 변이를 보였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언어 부적응 정도·남한어 능력 만족도와 실제 남한어 능력 간에는 예상했던 것보다는 높은 상관이 없었다. 언어 부적응 정도·만족도는 실제 남한어 능력이 어떤 수준인가보다 개인에 따른 기대치, 직종이나 사회관계망 내에서 받는 남한어 동화 압력의 정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국어 정책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북한이탈주민의 언어권(linguistic right)을 기본적으로 존중하면서 이들의 사회 적응, 통합에 기여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여야 하며, 특히 자연적 습득의 연령 효과가 떨어지는 30대 이상,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을 최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이 때 언어 지향성이 다른 하위 집단별(동화 유형과 통합 유형)로 교육 방향을 차별화해야 한다. 동시에 남한 사회의 의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북한이탈주민들을 자주 상대하는 남한 사람들에게 북한어 어휘, 운율, 화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도 같이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덧붙여 북한이탈주민의 말뭉치 분석을 통한 북한 일상어 연구의 필요성도 제안하였다.
Linguistic accommod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can pertain to ‘second dialect acquisition’ for it involves the linguistic accommodation of migrants between dialect areas. This study is targeted at North Korean refugees in Seoul, namely speakers...
Linguistic accommod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can pertain to ‘second dialect acquisition’ for it involves the linguistic accommodation of migrants between dialect areas. This study is targeted at North Korean refugees in Seoul, namely speakers of ‘North Korean dialects under the influence of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Dialect 1, D1) who go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Seoul dialect under the influence of South Korean standard language’(Dialect 2, D2). As part of division variety speakers, they diversely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variety, variety of the mainstream society,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pressure of linguistic assimilation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communication, psychological otherness, and direct demand for correcting the North Korean variety.
The study conducts questionnaire survey, perceptual assessment, and spontaneous speech analysis of 50 male and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ir 20s〜50s living in Seoul, thereby analyzing subjective and objective conditions of linguistic accommodation. It tries to contribute to itemizing and materializing a support system for linguistic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According to survey findings, North Korean refugees show the coexistence of ‘assimilation type’ clearly oriented toward the South Korean variety and ‘integration type’ with freer mindset in terms of linguistic attitude, acquisition, and use.
On the part of linguistic attitude, more respondents think they don't need to completely deny their linguistic identity even though they perceive the North Korean variety's negative influence and the South Korean variety's usefulnes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South Korean variety, many experience the inconvenience of communication, psychological otherness, and demand for correcting the North Korean variety. Such pressure of assimilation into the South Korean variety makes a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intentionally learn the South Korean variety under. Their linguistic acquisition goal revolves around an instrumental motive for the South Korean variety's usefulness instead of an integrative motive geared towards integration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As for current linguistic use, the South Korean variety used in every situation is prevalent in ‘vocabulary’ th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50% of respondents now face the inconvenience of communication due to linguistic gap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26% avoid talking with South Koreans for fear of stigma. 72% and 84% make conscious efforts to use South Korean vocabularies and South Korea'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respectively. 44% are satisfied with their South Korean variety ability, but 56% show dissatisfaction. 88% hope to improve the South Korean variety ability: pronunciation・intonation, vocabulary, and speech act in order.
Perceptual assessment and spontaneous speech analysis confirm that their actual South Korean variety ability (in terms of expressive language) vary according to age, residence period, experience of South Korean education, social network, and occupational career. There isn't a higher correlation than expected between subjective feeling of linguistic maladaptation/satisfaction with the South Korean variety ability and actual South Korean variety ability. Linguistic maladaptation and satisfaction degrees depend mainly on individual expectation, occupation type, and pressure of assimilation into the South Korean variety within the social network rather than actual South Korean variety ability.
Based on such findings,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to support North Korean refugees. Basically respecting the linguistic right of North Korean refugees, we should render education services for their soci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 particular, our top priority is to support those in their 30s or above who detract from the age effect of natural acquisition and those without educational experience. Here, educational direc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towards subgroups with different linguistic orientation(‘assimilation type’ and ‘integration type’). At the same time, the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outh Korean society's mentality, thereby proposing educating South Koreans in close contact with North Korean refugees on North Korean vocabulary, prosody, and speech act. It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studying North Korea's daily language via analysis of corpus of North Korean refugees.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