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문법 교과서의 변천에 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from the flowering time to nowadays; it focuses on two aspects. One is the effort for unity within the frames of the contents in school grammar. The other is the shift from conv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from the flowering time to nowadays; it focuses on two aspects. One is the effort for unity within the frames of the contents in school grammar. The other is the shift from conventional grammar viewpoint to pragmatic grammar viewpoint.
After liberation of Korea, Korean Grammar education had not been taught systematically and formally until the era of U.S. military government but only a few Korean scholars used their individual works as textbooks for Korean grammar.
The first textbook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not used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n, the Korean Grammar appeared.
But many problems has emerged in the uses of grammatic terminology because many Korean grammarian had their own system of grammar and terminology. As time goes by, the military government announced "Proposition for the unity of school grammar", which constituted nine part of speech and 252 grammatical terms. Textbook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made by using this proposition. However, the disagreement between Korean grammarians in grammatical components and terms had not resolved. So, the unity of the Korean grammar textbook had not completed.
The Ministry of Education committed the research for School grammar unity to Daedong Social Institute attached to Sung Kyun Kwan Univ. in 1982 during National 4th curriculum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fter that, Unitary Korean grammar textbook approved by the government published. Up to now, the state grammatical textbook of total four times has been published corresponding to the reform of succeeding four National curriculum.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rames of the contents of the grammar textbook through succeeding 4 curriculum reforms beginning from the National 4th curriculum era featuring the unity of the frames of the contents in the Korean School grammar.
First, it classifies four volumes of textbooks approved by the government with the relation of the each curriculum. It looks for the key features of the system of the contents in the grammar textbook. Next, it classifies the each unit of the "High School Grammar"(2002), the textbook in the era of National 7th curriculum and compared the one with the rest of the textbooks being published in other curriculum era. Finally, it suggests the direction for innovation and the future task in the field of grammar education on the basis of analyses of these textbook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like as follows. The true unity of the school grammar field in the frames of the contents began from the publishment of the textbook approved by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xtbook during National 4th curriculum had same features owned by the previous textbook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it had the limits relating to too much focuses on the language knowledge area comprising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cond, the textbook during National 5th curriculum had been reformed according to the 'Korean Orthography' and ' Standard Korean Regulations' released in 1988; it was partially revised and made up for the previous one. But, it strengthened its content area by supplementing such units as Unit: Meaning and Unit:Old Korean Grammar. Third, textbook during the National 6th curriculum emphasized pragmatic syntax.

연구는 개화기 이후 100여년의 문법 교육의 역사 속에서 해방 이후의 문법 교육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두 가지 초점에 맞추어 연구하였다. 첫째는 학교 문법이 갖는 규범 문법으로서의 ...

본 연구는 개화기 이후 100여년의 문법 교육의 역사 속에서 해방 이후의 문법 교육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두 가지 초점에 맞추어 연구하였다. 첫째는 학교 문법이 갖는 규범 문법으로서의 내용체계상의 통일을 위한 노력이고, 둘째는 전통주의 문법관에서 실용주의적 문법관으로의 문법 교육 성격상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개화기부터 해방 후 미군정시기까지 우리 나라 문법 교육은 공식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부 국어학자들의 연구서적이 문법 교과서로 사용되는 시기였다.
대한 민국 정부 수립 후 최초로 검인정 교과서 체제가 실시되어 학교 문법이 공식적으로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특별한 규제 없이 문법가들이 자신의 문법 용어나 체계를 문법서에 제시하였기 때문에 학교 문법 용어의 불일치로 인해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후 군사정권이 들어서고 1963년 ‘학교문법통일안’이 만들어져 9품사와 252개의 문법용어를 제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검인정 문법 교과서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문교부 검인정 교과서 역시 품사 분류와 용어면에서는 어느 정도 정비된 듯하였으나, 세부적인 면에서는 문법서 저자들의 개인적인 학설이나 견해가 여전히 남아 있어 문법교과서의 통일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 문법 내용체계에 대한 통일은 시대적 요구였기에 문교부는 4차 교육과정 시기인 1982년에 성균관대학교 부설 대동문화연구원에 ‘학교 문법 체계 통일을 위한 연구’를 위탁하였고, 1985년 3월 단일 국정 문법 교과서를 발행하게 되었다.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총 네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국정 문법교과서가 발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문법의 내용체계상의 통일이 이루어진 4차 교육과정 시기를 그 연구의 출발점으로 해서 현재까지 네 차례의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문법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 먼저 연구 대상인 4권의 국정 문법 교과서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국정 문법 교과서의 내용체계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인 「고등학교 문법」(2002)을 기준으로 하여 각 단원별로 영역화하고 네 권의 국정 문법 교과서 내용체계를 단원별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하여 문법 교과서와 문법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교 문법의 내용체계상의 진정한 통일은 국정 문법 교과서의 발행으로 출발하였다. 각 시기별로 간행된 국정 문법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시기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차 교육과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는 종전 검인정 교과서가 가지는 용어 및 체계상의 통일을 가져 왔으나 음운론, 형태론, 문장론 중심의 언어 지식 영역이 문법 교과서의 주된 내용체계를 이루는 한계를 지녔다. 5차 교육과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는 1988년 개정 공포된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에 따라 종전 문법 교과서를 부분 개고와 보완 형식으로 집필한 개정판 형식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의미’단원과 ‘옛말의 문법’ 단원을 보강하여 내용면에서 좀 더 확장된 면을 보인다. 6차 교유과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는 실용성에 바탕을 둔 통사론을 강조하였고, 화용론적 측면에서의 ‘이야기’ 단원과 국어 사용의 실제에 해당하는 ‘바른 언어 생활’ 단원을 설정하여 기존의 전통주의적 문법관에서 벗어난 실용주의적 문법관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국어와 국자에 대한 태도에 대한 부분은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7차 교육과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는 종전의 규범적인 주입식 교육보다는 학생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탐구학습 방향으로 문법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종전 문법 교과서에는 없는 ‘어휘’ 단원을 추가하였고, 태도 영역에 대한 강조를 위해 대단원 마무리 부분에 ‘가꾸기’ 영역을 설정하였다. 또한 종전 문법 교과서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추가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어문 규정을 모두 교과서에 기술하였다.
이상으로 국정 문법 교과서 시기를 종합해 볼 때, 학교 문법은 그 내용체계면에서 시대 변화에 부응하여 규범 문법으로서의 통일성을 위해 문법 이론을 규정해왔고, 영역면에서 ‘국어지식’ 부분의 확대와 ‘언어 사용의 실제’ 그리고 ‘태도’면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여 전통주의적 문법관에서 실용주의적 문법관으로 그 성격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런 변화 속에서도 문법 교과서가 가지는 세 가지 내용체계 즉, ‘국어지식’, ‘언어 사용’, ‘태도’ 면 중에서 ‘국어지식’ 측면만이 여전히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앞으로 문법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학교 문법이 가지는 규범 문법으로서의 내용체계상의 통일 노력과 전통주의적 문법에서 벗어나 실용주의적 문법으로의 이행을 위한 ‘국어지식’, ‘언어 사용’, ‘태도’ 면에서 내용체계상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