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속에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목포시민을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Japanese has been used in our daily life by different forms for more than 100 years since the end of Joseon Dynasty till today. There has been a different inflow process of Japanese each time by historical situations but it is also true that it is com...

Japanese has been used in our daily life by different forms for more than 100 years since the end of Joseon Dynasty till today. There has been a different inflow process of Japanese each time by historical situations but it is also true that it is coming constantly till now. Different from other foreign languages, the reality is that Japanese was actually used with an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without studying by the experience that we had to use Japanese language as native language during Japan’s colonial rule.
By above reason, there is a case that we misunderstand some Japanese words as Korean and use them in our daily life even though we never learned them b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nd from when Japanese is used widely in our daily life based on preceding literature in spite of Korean refinement movement since 1945 and conducted a survey research to see how much we still use it, and analyzed the results by age group and sex destination. The survey included 4 questions related to consciousness of using Japanese and 110 vocabularies. The vocabularies were extracted from " Korean refinement word book " and limited for non-technical words which has often use in our daily life excluding technical words in the area of construction art, politics, news and forestry.
To identify exact form in use of daily life and see the difference of use in ages, the researcher separated people into 4 different age groups :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ge of 20∼30, Age of 40 to 50 and Age of over 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a wide contact with 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by mass communication.
20∼30 are who learned Japanese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during their school years.
40∼50 are who were born after 1945 or spent their childhood at near time.
60 are who studied under Japan’s colonial rule)
The researcher took a survey for Mokpo citizen who never studied or learned Japanese with a sam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as each 70 people. This was to make a balance between distinction of sex to prevent the different use of vocabularies.
In the question for recognition of Japanese word in Korean, more than 65.6 % people answered that they think Japanese is included in our native language. More than 42.4% people answered aversion for using Japanese mixing up with Japanese. Especially, people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and in their forties to fifties showed 52.5% which is higher than average. In the question for the impact of using Japanese in communication, 32.5% people answered that it make them hard to understand. Next was a question for Japanese vocabularies which are used in daily life.
In consideration of age group, "Ohdang", "Jamboung", "Ohsami" and "Sasimi" were widely often used in all age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of frequently used words were related to food too.
In all ages, the Japanese vocabularies, "Jambong", "DaeungDaenghee", "Chuliring" and "Monbai" were commonly recognized as Korean language. It implies that these vocabularies were used too common, so alternative words were not educated well.
It already passed 100 years that Japanese came into Korea. Even though we have actively been worked for refinement movement for Korean since independence in 1945, it is true that we are still using Japanese words like Korean. I hope this study will help us to recognize the use of Japanese in daily life and actual situation, and use it properly.

일본어는 100년이 훨씬 넘는 1870년대인 조선조 말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그 시대의 역사적 상황에 따라 일본어의 유입 과...

일본어는 100년이 훨씬 넘는 1870년대인 조선조 말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그 시대의 역사적 상황에 따라 일본어의 유입 과정은 조금씩 다르겠지만 현재까지 끊임없이 들어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본어는 다른 외래어와는 달리 일제식민지 통치기간이라는 특수한 기간 동안 일본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해야했던 경험을 가진 이유로 학습에 의하지 않더라도 구전(口傳)에 의해서도 많이 사용되었던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일본어 중 특히 일본어를 배운 적이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본말을 순우리말로 착각하고 쓰는 경우도 적지 않은 듯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45년 이래 끊임없이 행해져오고 있는 국어순화운동에도 불구하고 우리말 속에서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는 일본어는 언제부터 어떻게 사용되게 되었는지를 선행문헌을 통해 알아보고, 아직도 우리들의 언어생활 속에 일본어가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연령과 성별을 요인으로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 항목은 일본어 사용에 관한 의식조사에 관한 설문 4문항과 어휘 110개를 선정하였고, 이 어휘는『국어 순화 용어 자료집』 문화체육부, 『국어 순화 용어 자료집』, 삼보사, 1997
에 실린 일본말 중 건설, 미술, 정치, 신문, 임업 용어 등 전문분야에서 쓰이는 말을 제외한 비전문적인 말 중에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말을 중심으로 고유 일본어를 대상으로 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형태를 정확하게 알아보고 연령에 따른 일본어 사용상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고등학생, 20∼30대, 40∼50대, 60대 이상의 네 그룹(대중문화 개방에 있어서 자연스럽게 일본문화나 일본어를 접하고 있는 중 · 고등학생, 학교에서 제 2 외국어로서 일본어를 접한 20 · 30대, 1945년 이후에 태어나거나 유년기 시절을 보낸 40 · 50대, 일제 강점기 시대에 강제적으로 일본어 교육을 받았던 60대 이상) 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의식의 정도나 어휘사용에 있어 한쪽의 성별로 쏠림현상을 우려하고 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남, 녀를 각각 같은 비율로 나누어 남자 70명, 여자 70명으로 하였고 일본어를 공부하지 않은 목포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말 속에 일본어의 포함정도를 알아보는 인식조사에서는 전체 평균이 65.6% 로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속에 일본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사람들이 일본어를 우리말과 섞어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의식조사에서는 전체 평균 42.4%가 거부감이 있다고 했다. 특히 20∼30대와 40∼50대에서 각각 52.5%로 평균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일본어를 우리말과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 의사전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의식 조사에서는 전체 평균 32.5%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일본어 어휘에 관한 질문이다.
연령별 요인으로 보는 자주 사용하는 일본어 어휘의 사용빈도를 보면 연령과 관계없이 모든 그룹에서 ‘오뎅’, ‘짬뽕’, ‘와사비’, ‘사시미’는 공통적으로 자주 쓰이고 있고, 또 1위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어 어휘도 모두 음식에 관한 것이다.
연령별 요인으로 보는 한국어로 인식하고 있는 일본어 어휘에서는 모든 연령층에서 한국어로 인식하고 있는 일본어 어휘 ‘짬뽕’, ‘뗑뗑이’ , ‘츄리닝’ , ‘몸빼’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한국어로 인식하고 사용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단어들로 일상생활 속에서 너무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어휘들로 대체어가 제대로 학습되지 않은데서 그러한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일본어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100년이라는 시간이 지나고 있다. 1945년 광복이후부터 적극적으로 국어 순화운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일본어를 우리나라 말처럼 사용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실태를 정확히 알아보고,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일본어를 제대로 인식하고 사용하였으면 하는 바람을 이 논문을 통해서 가져 본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