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신어에 사용된 명사 파생 접미사의 비교 연구 : 한자어·외래어 접미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한·중 신어에 사용한자어 및 외래어 명사 파생 접미사를 중심으로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그 변별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신...

본고는 한·중 신어에 사용한자어 및 외래어 명사 파생 접미사를 중심으로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그 변별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신어에 관한 기본적 논의로서 신어의 정의와 범위, 한·중 신어의 조어 방식을 논의한다. 신어란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의 표시를 위해서 일정한 기간 동안에 사회의 인정을 받고 널리 사용되되, 아직 사전에 등재되지 않는 어휘이다. 신어의 범위는 임시어, 유행어, 전문어, 은어 등과의 구별을 통해서 정한다. 신어의 조어 방식을 관찰함으로써 파생의 조어 방식과 접미사의 중요성을 확인한다.
제3장에서는 한·중 한자어·외래어 접미사의 판별 기준을 논의하여 본고의 신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접미사의 목록을 제시한다. 접미사의 판별 기준은 일반적으로 접미사들이 갖춰야 된 판별 기준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어휘적 의미의 약화를 제일 중요한 기준으로 간주한다. 이런 판별 기준에 의해서 본고의 신어 자료에서 ‘-家, -男, -女, -盲’ 등 17개의 한국어 한자어 접미사들이 발견되고 ‘-族, -姊, -嫂, -壇’ 등 33개의 중국어 원어 접미사가 발견된다. 그리고 한국어 외래어 접미사는 ‘-이즘, -테크, -파라치, -티즌, -팅, -이스트, -텔, -깡, -바, -맨, -룩, -이언, -어’ 등이 있고 중국어 외래어 접미사는 ‘-吧, -門, -領, -客, -秀, -的’ 등이 있다.
제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중 신어에 사용된 한자어·외래어 접미사를 비교한다. 한자어 접미사의 비교는 의미 기능 분류의 비교, 어기 양상의 비교, 개별 접미사의 비교 등을 다루고, 외래어 접미사의 비교는 의미 기능 분류의 비교, 어기 양상의 비교, 차용방식의 비교 등을 다룬다.
한·중 신어에 사용된 한자어 접미사는 의미 기능 분류에서 서로 다른 의미 기능이 있지만 대부분의 의미 기능은 일치한다. 그 중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의 수량이 제일 많고 생산성이 제일 강하다. 어기의 어종에서 한국어 한자어 접미사들은 외래어 어기와 잘 결합되는 반면에, 중국어 원어 접미사들은 외래어 어기와 결합되는 예가 많지 않다. 어기의 품사에서 서술성 명사 어기와의 결합은 중국어 원어 접미사보다 한국어 한자어 접미사가 더 활발하며 동사 어기, 형용사 어기와의 결합은 중국어 원어 접미사가 더 활발하다. 그리고 부사 어기와의 결합은 한국어에서만 발견된다. 음절수에서 한국어에서는 2음절 어기가 일반적이지만 중국어에서는 주로 1음절어기나나 2음절 어기이다. 한국어에서 다음절 어기가 많이 쓰여 있지만 중국어에서는 다음절의 사용이 아주 제한적이다. 개별 접미사의 비교는 한·중 신어에 공통적으로 있는 접미사를 비교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의미 기능, 생산성, 어기 양상 등 면에서 다룬다.
외래어 접미사의 의미 기능 분류에서 ‘사람, 사물, 행위나 사건, 장소’를 나타내는 외래어 접미사가 한·중어에서 공통적으로 있지만, ‘사상’을 나타내는 외래어 접미사는 한국어에만 있다. 어기 양상에서 한국어 외래어 접미사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 어기와 잘 결합되고 외래어 어기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에, 중국어 외래어 접미사는 외래어와의 결합이 아주 제한적이다. 한·중 외래어 접미사 어기의 품사는 주로 명사이다. 음절수에서 중국어 외래어 접미사 어기의 음절수가 강한 규칙성을 보인다. 한국어 외래어 접미사들 중에는 규칙성을 보이는 접미사가 몇 개 있지만 전체 어기의 음절수가 수의적인 것으로 보인다. 차용 방식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차용 방식은 음역 방식이다. 의역과 반의역반음역의 차용방식은 중국어에만 있고 영어의 접미사를 직접 음역해서 본국 언어의 접미사로 쓰이는 방식은 한국어에만 있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결론으로서 논의를 정리하고 요약한다.

本文以韓中新語中使用的漢字詞及外來詞後綴為中心,通過觀察研究他們的相同點和不同點,得出了韓中新語後綴各自的特性。 在第二章中先論述了關于新語的基本內容,包括新詞...

本文以韓中新語中使用的漢字詞及外來詞後綴為中心,通過觀察研究他們的相同點和不同點,得出了韓中新語後綴各自的特性。
在第二章中先論述了關于新語的基本內容,包括新詞語的定義和範圍以及新詞語的造詞方式。新詞語是指為了反映新事物、新概念而出現的,在一定時期內受到社會的認證並被廣泛使用,但還未被收錄到字典中的詞語。通過與臨時語,流行語,專業術語以及隱語的對比確定了新詞語的範圍。通過觀察新詞語的造詞方式確認了派生造詞方式和後綴在造詞過程中的重要性。
第三章中論述了韓中漢字詞後綴及外來詞後綴的判斷標准,按照論述的標准列出了本文選定的新詞語詞典中出現的後綴目錄。本論文遵循一般後綴必須具備的標准外,將詞義的虛化作為最重要的判斷標准。按照這一標准,在韓語新詞語詞典中出現的漢字詞後綴有‘-家, -男, -女, -盲’等,共17個;外來詞後綴有‘-ism, -tech, -parazzi, -tizen, -ting, -ist, -tall, -, -bar, -man, -look, -ian, -er’等。漢語新詞語詞典中出現的原語後綴有‘-族, -姐, -嫂, -壇’等,共33個;外來詞後綴有‘-吧, -門, -領, -客, -秀, -的’等。
第四章正式展開對韓中新詞語漢字詞及外來詞後綴的比較。漢字詞後綴主要對意義功能的分類,詞根樣相,以及個別後綴的相同點及不同點進行了比較;外來詞後綴主要對意義功能的分類,詞根樣相,以及借用方式進行了比較。
從意義功能分類上來看,韓中新詞後綴中雖然存在相異的意義功能種類,但大部分意義功能種類是相同的。並且其中表示人物的後綴數量最多,能産性也最強。從詞根的語種來看,韓語後綴與外來詞詞根頻繁地結合,但是漢語後綴很少與外來詞詞根結合。從詞根的詞性來看,與漢語後綴相比韓語後綴更容易與敘述性名詞詞根結合;與動詞詞根及形容詞詞根的結合漢語後綴顯得更為活躍;韓語新詞語中存在副詞詞根跟漢字詞後綴相結合的現象,漢語中未發現這種現象。從詞根的音節數來看,韓語漢字詞後綴的詞根一般是雙音節,漢語原語後綴的詞根主要是單音節和雙音節;同時,韓語漢字詞後綴與多音節詞根結合的情況及其普遍,但是漢語這種情況極少。對個別後綴的比較,韩语论文题目,以韓中共同存在的後綴為重點,主要從意義功能,能産性,詞根樣相方面做了詳細比較。
外來詞後綴從意義功能分類來看,韓中新詞語中共同存在表示人物,事物,行為及事件,場所等後綴,韩语论文题目,表示思想的後綴僅出現在韓語外來詞後綴中。從詞根的語種來看,韓語外來詞後綴能與固有詞、漢字詞、外來詞、混合詞詞根相結合,並且與外來詞詞根的結合占有極大比例,但是漢語外來詞後綴主要與原語詞根結合,極少與外來詞詞根結合。從詞根的詞性來看,韓中外來詞後綴主要與名詞性詞綴結合。從詞根的音節數來看,漢語外來詞詞根音節呈現出一定的整齊性,韓語外來詞後綴中僅僅有個別後綴的詞根呈現出整齊性,從整體來看詞根的音節長短不一。從借用方式來看,韓中外來詞詞綴共同使用音譯方式,但是意譯及半音譯半意譯方式僅存在于漢語中,音譯英語中的詞綴直接作為本國語言後綴的方式僅存在于韓語中。
作為本論文的最後部分,第五章中主要總結梳理了前面所論述的內容。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