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미술교과서 용어의 학년별 이해도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thesis is focused on finding solution-even if this is not enough through “analysis on how the student of each school year understand terms of art textbook in middle school in Korea”. Namely, I diagnose how the student of each school year under...

The thesis is focused on finding solution-even if this is not enough through “analysis on how the student of each school year understand terms of art textbook in middle school in Korea”. Namely, I diagnose how the student of each school year understand terms of art textbook in middle school in Korea, then analyze the cause about the lack to understand, approach systematically on education environment and sociological factor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he research was done to 793 students of 18 classes, 6 schools in Seoul and Kyounggi-do. This thesis analyzed the variables to influence in understanding terms of art as well as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art terms in each area.
In chapter 2, the current status of terms expression of school year and area in art text of middle school was arranged into publishing companies. The classification of terms are divided into 4 groups, which are “how to express and technique”, “formative factors and principles”,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and “art history and the trends of art”.
In order to dispose without an omission of art terms, most of all terms including purely Korean words,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of foreign origin are put in sequence of art textbook.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most of all terms are composed of word of foreign origin and Chinese characters. Even the frequency ratio is overconcentrated on 1st school year.
In chapter 3, ‘analysis on how the student understands according to school year’ is purposed on examining and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n art terms of each area by questionnaire survey. I classified into 4 areas, which are “how to express and technique”, “formative factors and principles”,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and “art history and the trends of art”.
The terms in questionnaire survey were screened by the below standards. Firstly, frequent terms to see and listen in art class and everyday life. Secondly,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of foreign origin. Thirdly, newly-made words, or terms not to be suitable to student’s understanding. Fourthly, an origin of terms, namely things to make the meaning of terms even confused.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ration of correct answer was below 30 percent, except a couple of classes. Averagely, the classes below 10 percent were a lot.
This means that the explanation by teachers in art class have been not enough, including oil painting, Indian ink, sketch, composition and feel of material.
The interest of art activity and the necessity of art class in school showed medium. The negative opinions on art and class were big. The reason was the non relevancy to their future and unnecessaries to social life. Especially, the importance was little to enter the university exam.
The biggest outcom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n art terms make the students feel more positive interest on art activ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thesis tried to find the way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rt terms.
First of all, the problems are as follows: policy of art education and terms selection, editing, specialty of teacher and study ability, acceptance and usage without filtering Chinese character and words of foreign origin.
The improvement methods are development of Korean-centered art terms and active usage. In order to do this, I emphasis on effective usage of purely Korean words, development of new terms, and re-classification of terms due to school year’s standards.

본 논문은 ‘중학교 미술교과용어의 학년별 이해도 분석’이라는 주제를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미술용어 이해도를 진단해 보고, 진단과정에서 도출되는 용어의 이해도 결여에 ...

본 논문은 ‘중학교 미술교과서 용어의 학년별 이해도 분석’이라는 주제를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미술용어 이해도를 진단해 보고, 진단과정에서 도출되는 용어의 이해도 결여에 대한 학습적 원인을 규명하는 한편 교육 환경적, 사회적 요인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접근해 보고, 미흡하나마 그 대안점을 모색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6개 학교, 총 18개 학급 7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역별 미술용어 이해도를 측정하는 한편 용어를 이해하는데 작용하는 변인들을 분석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2장에서는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의 학년 및 영역별 용어 표기 실태’를 교과서 출판사별로 정리하였다. 용어의 분류영역을 ‘표현방법 및 기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 및 용구’, ‘미술사 및 미술사조’로 구분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술용어를 빼놓지 않고 배열하기 위해 순 우리말 용어와 한자어, 외래어 등 가능한 모든 미술 용어들을 교과서에 기술된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술용어들 대부분이 외래어와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어의 수적 비율도 1학년 교재에 집중적으로 편재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학년 및 영역별 용어 이해도 분석’에서는 현재 중학교 학생들의 각 영역별 미술 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설문형식으로 조사하고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가 설정한 분류형식을 그대로 접목해 용어의 분류영역을 ‘표현방법 및 기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 및 용구’, ‘미술사 및 미술사조’로 구분하였다.
설문에 들어갈 미술용어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선별하였다.
첫째, 미술시간 및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둘째, 한자어 및 외래어, 셋째, 신조어, 또는 학생들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용어, 넷째, 용어의 어원·의미가 용어이해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용어로 기준을 삼았다.
이러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용어 이해도를 분석해 본 결과 1-2개 학급을 제외한 대다수 학급 및 학생들의 미술용어 이해도는 이미 예상했던 대로 정답 분포율 30%대를 밑도는 현저히 낮은 상황이었으며, 평균 10%미만대에 머물고 있는 학급도 상당수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채’, ‘수묵’, ‘소묘’, ‘구도’, ‘질감’ 등 미술수업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수업시간 중 미술교과서와 미술수업시의 용어에 대한 교사의 설명이 실제적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도와 학교수업에서의 미술과 수업의 필요성에서는 대부분 ‘보통이다’라는 견해를 밝혔으며, 미술과 수업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견해도 많은 편에 속했는데, 그 이유로는 진로와의 비관련성, 사회적 불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들었다. 이와 함께 ‘대학입시에 필요한 내신비중이 작기 때문’이라는 이유와 ‘미술이 재미없기도 하고 어렵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상당수 차지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용어이해도 및 변인 설문·분석을 통해 얻은 가장 큰 성과라고 한다면 미술용어 이해도의 향상이 학생들의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과의 도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용어 이해력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보고자 했다.
먼저 문제점으로는, 현행 미술교육 정책과 용어 선정 및 편집상의 문제점, 교사의 전문성 및 연구 능력에 대한 문제점, 한자용어와 외래용어의 여과 없는 수용 등의 문제점을 발견했다.
개선방안으로는 한국적 미술용어의 개발 및 효과적 활용, 미술사 용어의 재분류를 제안 했다. 이를 위해 기존에 개발됐지만 미술인들의 관심 부족으로 사장되고 있는 순 우리말 용어의 효과적 활용과 새로운 용어 개발의 중요성 강조와 함께 용어 이해도 향상을 위한 각 학년의 수준별 미술사 용어의 재분류도 필요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