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기구의 명칭과 용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ㆍ예비교사ㆍ현직교사의 이해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 5, 6학년의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기구의 빈도를 조사하여 빈도가 높은 실험기구의 명칭과 용도를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교육대학의 예비교...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 5, 6학년의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기구의 빈도를 조사하여 빈도가 높은 실험기구의 명칭과 용도를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교육대학의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3,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실험기구의 명칭과 용도에 대해 어떻게 표기하며 실험기구의 명칭에 대한 오기의 원인과 실험기구의 용도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검사도구는 13개의 실험기구(샬레, 증발접시, 막자와 막자사발, 비커, 삼각플라스크, 스포이트, 눈금실린더, 윗접시저울, 약숟가락, 시약병, 집기병, 깔대기, 알코올램프)를 선정하여 그림으로 제시하고 명칭과 용도를 적도록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기구의 명칭 표기에 있어서는 초등학생은 비커(80.5%), 스포이트(35.5%), 깔때기(31.0%)순으로 바르게 표기하였고, 예비교사는 비커(94.4%), 샬레(90.3%), 삼각플라스크(88.4%)의 순이고, 현직교사는 눈금실린더(93.3%), 삼각플라스크(89.9%), 막자와 막자사발(84.3%) 순으로 바르게 표기하였다. 그러나 윗접시저울은 초등학생의 1.0%, 예비교사 8.6%, 현직교사 18.5%로 바른 표기율이 모두 낮았다.
실험기구의 용도에 있어서는 초등학생은 알코올 램프(53.5%), 스포이트(42.8%), 비커(36.3%) 순으로 바르게 표기하였고, 예비교사는 알코올 램프(86.2%), 스포이트(85.8%), 눈금실린더(82.1%) 순이었으며, 현직교사는 막자와 막자사발(98.9%), 알코올 램프(98.3%), 스포이트(90.0%)순으로 바르게 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윗접시저울과 집기병, 시약병의 용도에 대한 이해는 세 집단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예비교사들은 실험기구 명칭에 대한 표기는 올바른 반면 그 용도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직교사들은 명칭뿐만아니라 이들의 용도에 대해서도 상당부분 올바르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실험기구 명칭에 대한 오기의 원인은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실험기구의 영문 표기가 변화하였으나 현직교사들의 실험기구 명칭에 대한 표기는 변하지 않고 있으며 응답자가 공부한 교육과정의 과학교과서에 표기된 실험기구의 명칭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많은 초등학생들이 과학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험기구의 올바른 명칭과 용도에 대하여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과학과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기구의 명칭이 외래어로 되어 있는 것이 많아서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과서에 많이 다루어지는 실험기구의 명칭을 무의미한 외래어 표기보다는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표기로 하여 바르게 인식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도록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의 직무연수나 교육내용에 새로운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frequency of experimental tools which mentioned in the 7th curriculum about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especially 3, 4, 5 and 6 academic years) and as a result of this survey, experimen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frequency of experimental tools which mentioned in the 7th curriculum about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especially 3, 4, 5 and 6 academic years) and as a result of this survey, experimental tools that highly mentioned above were studied on the understandings of correct vocabulary for them and their uses. To implement of this study, an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attended the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3 to 6 academic yea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ote a correct vocabulary for experimental tools in regular sequence: Beaker (80.5%), spuit(35.5%), funnel(31.0%),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rote a correct vocabulary for experimental tools in regular sequence: beaker (94.4%), Schale(90.3%), erlenmeyer flask(88.4%), and also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rote a correct vocabulary for experimental tools in regular sequence: graduated cylinder(93.3%), erlenmeyer flask(89.9%), mortar and medicine pestle(84.3%). However only 1.0%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8.6%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8.5%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actly wrote the name of 'balance'.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s of uses for 13 experimental too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ote an exact explanation about their uses in regular sequence: alcohol lamp(53.5%), spuit(42.8%), beaker(31.0%),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rote an exact explanation about their uses in regular sequence: alcohol lamp(86.2%), spuit(85.8%), graduated cylinder(82.1%), and also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rote an exact explanation about their uses in regular sequence: mortar and medicine pestle(98.9%), alcohol lamp(98.3%), spuit(90.0%). However most of them inexactly understood the use of 'bal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rote a correct vocabulary for experimental tools, nevertheless they were confused about their uses. However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rrectly understood not only vocabulary for experimental tools but also their uses.
They were strongly hold fast to their vocabulary for experimental tools. It is that their thought of the name for tools were always focused on the past: a name of their learned curriculum.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ith regarded to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urse were discussed. Moreover as a results of this study, using a mother tongue than meaningless foreign language as the name of experimental tools which mentioned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 books was suggested.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