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에서의 어휘의 규범성에 대한 연구 : 일본식 어휘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교육’이라는 범위는 한국어교육이든 국어교육이든 모두 규범성과 표준성이라는 전제를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모어화자들이 한국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양상들을 보...

‘교육’이라는 범위는 한국어교육이든 국어교육이든 모두 규범성과 표준성이라는 전제를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모어화자들이 한국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양상들을 보면 늘 표준과 규범을 지키는 것은 아니다. 규칙이나 형태를 달리하여 사용하는 일이 빈번하다. 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에게는 몸에 배어 있는 언어습관과 직관 등으로 비규범적인 언어들의 사용이 의사소통 시에 아무런 제재 없이 진행된다. 그렇지만 규범적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만을 습득한 학습자들에게는 비규범적인 언어들을 교육기관에서는 접할 기회가 별로 없어서 비규범적인 어휘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의사소통에 무리가 따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규범적이고 표준적인 내용들만을 다루는 학교 교육 체제에서 사전이나, 교육용 교재에서는 사용하면 안 되는, 순화되어야 하는 어휘로 지정되고 누락되어 비규범적인 어휘를 접할 기회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규범적인 어휘들의 쓰임을 더 이상 개개인이 스스로 탐구하여 무차별하게 습득하도록 방치해 둘 수만은 없는 문제이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자에게 바른 규범적인 어휘를 교육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이지만 한국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유창성이 궁극적인 목표라면 규범어휘뿐만 아니라 그에 못지않게 한국 언중들 사이에서 통용되고 있는 현실 어휘들, 비규범에 속하는 어휘들까지 익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의 목적과 대상이 다름을 인지하여 국어교육차원에서의 규범적용이 아닌 한국어교육차원에서의 규범 지향적이면서 현실 언어에 충실한 언어규범을 정비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비단 어휘뿐만이 아니라 이른바 비규범에 속하지만 사회적, 문화적으로 의의가 있는 문법체계, 화법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이루어져 목록 및 자료화를 통해 한국어교육 내에서 규범의 범위 내에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에서 비규범성을 지니고 있는 순화 대상 어휘 중 일본식 어휘를 대상으로 삼고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실용어휘 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한국어교육적 시각으로 어휘의 가치를 판단할 기준을 마련하여 규범어휘로의 사용가치가 있음을 증명함과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기준에 따라 한국어교육 내의 규범어휘로 제시 가능한 어휘에 대한 중요도를 추출․목록화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의 진행 범위와 방법, 선행된 연구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요구 조사와 분석을 통한 실용어휘 학습에 대한 필요성 및 의의를, Ⅲ장에서는 일본식 어휘들이 한국어휘로 유입되는 과정, 현황과 유입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과」, 「일본어 투 생활 용어집」에서 일본식 어휘들을 추출하여 규범적 외래어로 인정한 일본식 어휘, 비규범성에 따른 일본식 어휘, 한국어교육 내에서의 규범성에 따른 일본식어휘로 분류를 해 보았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를 하였다.

In the scope of education, no mat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mother tongue education of a nation, they are carried out on the criterion and the standard. But aspect of Korean usage by native, the criterion and the standard are not always...

In the scope of education, no mat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mother tongue education of a nation, they are carried out on the criterion and the standard. But aspect of Korean usage by native, the criterion and the standard are not always conducted and used in irregular rule and form. For Koreans who had old habit for language are learning their language unadjusted language is used in the communication without intuition. However, for those who learned Korean as normative language and have less chance to learn unadjusted language at educational institution have a lack of understanding of unadjusted vocabulary and matter of communication are often occurred. In system of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formal and standard educational material and dictionary, the unadjusted language were selected to be filtered or omitted to limit chance for learner to obtain the unadjusted language. And it is not a right procedure for individual learner to learn them in their own way.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it is obligation to educate the standard vocabulary for learner, but when it com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 and fluency of speaking language, it is the learner's right to obtain daily vocabulary and unadjusted glossary which are used among the native to achieve bette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this,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 of education and the target for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recognized. Not only vocabulary but also structure of grammar and narration in social and culture of unadjusted vocabulary range requires various researches and needs to be adapted as normative Korean language.
In this research, Japanese vocabulary which is unadjusted was picked out of many other languages and listed for improving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e a worth of using unadjusted vocabulary as normative language by standard defined in this research.
By classification of this research, some vocabularies which need to be adapted as standard were listed and extracted for further stud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s follows :
In chapter I, object, range and process of this research and studying of pre-provoked researches.
In chapter II, survey of learner's needs and its analysis of necessity of practical vocabulary education and its value.
In chapter III, how Japanese vocabulary flows into Korean vocabulary and its state and aspect.
In chapter IV, listing normative Japanese vocabulary, unadjusted Japanese vocabulary and normative Japanese vocabulary in Korean educational range with extracted Japanese vocabularies from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Japanese daily vocabulary.
In chapter V, the arguments discussed in former chapters are arranged as a conclusion of this thesis.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