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학습장애아동들이 말하기와 쓰기에서 보이는 조사 사용의 능력과 그 사용 양상은 어떠한지, 어떤 종류의 오류를 범하고 그 특징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로...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학습장애아동들이 말하기와 쓰기에서 보이는 조사 사용의 능력과 그 사용 양상은 어떠한지, 어떤 종류의 오류를 범하고 그 특징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로써 언어학습장애아동들이 어려움을 겪는 조사 사용의 특성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아동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구문과 의미관계를 이해하고 표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 20명과 언어학습장애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언어학습장애아동 A그룹(20명), B그룹(20명)에게 말하기 및 쓰기 과제를 교차로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교육부에서 채택한 조사의 하위 부류방식을 따랐으며, 오류 유형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여섯 가지의 오류 판단 기준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과제 간 조사의 사용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 간 사용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과제유형별 집단 간 조사의 하위유형별 사용률을 비교한 결과, 쓰기과제에서는 주격조사, 관형격조사, 보조사, 복합조사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말하기과제에서는 복합조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과제 간 조사의 오류율에서는 과제 간 조사의 오류율과 집단 간 오류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제유형별 집단 간 조사의 오류유형별 오류율을 비교한 결과, 쓰기과제의 철자오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언어학습장애아동은 말하기과제에서는 일반아동과 비슷한 비율로 조사의 하위유형을 사용하였으나, 쓰기과제에서는 일반아동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사의 오류 산출에 있어서 언어학습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오류 산출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더 다양한 형태의 오류를 산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언어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한국어 조사의 사용에서 많은 제한점과 더불어 일반아동과는 다른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령기 아동에게는 구어뿐 아니라 문어로 적절한 표현을 해야 하는 과업이 많아짐에 따라 더 많은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y(LLD) demonstrate difficulties with the use of postpositions in speaking and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postpositions and the errors of postpositions in children with LLD by c...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y(LLD) demonstrate difficulties with the use of postpositions in speaking and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postpositions and the errors of postpositions in children with LLD by comparing with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This study intended to offer useful implication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o improve the accuracy of syntax and enrich semantics of children with LLD. Spoken and written language samples were collected and transcribed from 40 children in Grades 3, 20 LLD and 20 TD. The speaking and writing tasks were both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order of each task was counterbalanced across participants. Postpositions in speaking and writing task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subtype classification of the postposition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errors of postpositions were classified into 6 error type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rate of postpositions between two task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rate of postpositions between TD and LLD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rror rate of postpositions both tasks and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rate and error rate of postpositions, this study found out that children with LLD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e use of postpositions and more errors of postpositions compared with TD. Because the skills of speaking and writing become more important during the school-age years, the future research are needed to search for ways to identify and treat children with LLD.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