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언어의 이질화와 동질성 회복에 관한 고찰 : 언어정책과 언어 순화 과정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하나의 국가에서 하나의 언어언어생활을 한다는 것은 민족을 결속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하나의 활(弓)로 동시에 쏜 두 개의 화살’처럼 ...

하나의 국가에서 하나의 언어로 언어생활을 한다는 것은 민족을 결속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하나의 활(弓)로 동시에 쏜 두 개의 화살’처럼 서로 다른 체재와 이념 아래 다른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언어관 또한 남북한은 각각 유물론적 언어관과 이성주의적 언어관을 견지한다. 서로 다른 언어관 아래에서 어휘의 차이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1989년 문익환 목사의 평양방문 이후 언어적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이 시작하여 현재 남북한 공동 사전편찬을 위해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분단 이후 남북의 언어정책의 변천과 우리말 다듬기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언어적 동질성 회복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관용법에 따른 언어정책으로 언어의 자율적 흐름을 중시한 남한과 언어를 주체사상에 유착시켜 인위적으로 강력한 통제를 한 북한의 언어정책을 시기 별로 나누어 비교한다.
그리고 광복이후 일제의 침략으로 더럽혀진 말을 깨끗하고 순수하게 회복시킬 목적으로 시행된 국어순화운동 역시 한반도가 분단되면서 서로 다른 국어순화 기준과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 인해 언어의 이질화는 더욱 가속화되었고, 동질성 회복을 위한 첫 걸음은 남북한이 공동으로 아름다운 우리말을 찾고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남한의 국어순화 과정과 북한의 말다듬기 과정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시기별로 알아본다.
3장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의 일환으로 제작된 <2003 한민족 언어 정보화>프로그램 안에 있는 ‘남북한 언어 비교 사전 검색 프로그램’에 등재된 3000여 어휘 중 실생활에 자주 쓰이는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필자 나름의 기준인 ‘남북한 언어 동질성 회복안(案)’에 적용시켜 용례를 들어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남북한 언어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남북 언어학자들이 활발하게 교류하고, 편지 교환이나 방송(언론매체) 청취 등을 자유롭게 하고 학교에서 서로의 언어를 교육하여 대중이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하며, 남한은 범람하는 외국어, 외래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일관성 있고 효과적인 언어정비사업을 펼치고 북한은 사상교육의 수단으로 언어를 도구화 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동의 언어순화 기준을 마련하여 언어순화과정에서 더 이상 언어가 이질화되는 것을 막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가꾸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Speaking a single language in a nation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uniting its people. For the last half-century, however, two peoples of the same nation went separate ways in terms of system and ideology, as if two arrows had been shot ...

Speaking a single language in a nation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uniting its people. For the last half-century, however, two peoples of the same nation went separate ways in terms of system and ideology, as if two arrows had been shot from a single bow simultaneously. North Korea aims at the linguistic standpoint based on the socialist materialism, while that of South Korea being based on the liberal rationalism.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different linguistic standpoint yields a different type of vocabulary. Since the Reverend Mun visited Pyeongyang in 1989, an effort had been made to make the languages of both Koreas homogeneous. And many exchanges have been ongoing actively in order to publish a common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his thesis, is suggested a plan to recover the linguistic homogeneity of all Koreans, by examining the language policy history of both Koreas and their linguistic purification process.
In Chapter 2, are compared the language policies of both Koreas according to each period; in the South, a free flow of the language was emphasized, based on the rule of the established usage, while, in the north, a hard control was artificially exercised over its language policy, based on its own ideological philosophy of "Juche" or self-reliance.
Although the linguistic purification movement had been implemented on the entire Korean Peninsula since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ivision of two Koreas induced each to pursue a different standard and method. And this triggered the increasing linguistic heterogeneity of both Koreas. The very first step towards the recovery of their linguistic homogeneity should be, thus, to find out some lost words of the Korean language and restore them with the common efforts of both Koreas. The linguistic purification processes of two Koreas are compared, from the period of the Independence to the present time.
In Chapter 3, a "plan for the recovery of Korean linguistic homogeneity", drawn up by me, was applied with some examples, based on the practical vocabulary of daily life that amounts up to 3000 words which appear in the 'comparative search program of North and South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This also appears in the program of <Linguistic Information of the Korean People 2003>, which was produced as part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All things considered, the following steps are to be taken to recover the linguistic homogeneity of two Koreas: Firstly, the linguists of both Korean should have many opportunities of exchange, while it should be legalized to send and receive letters or to watch TV and listen to radio between two Koreas. And the language differences of both Koreas should be taught at school, so that their public can understand each other. Secondly, South Korea should exercise more control on its overflowing number of foreign words with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while North Korea should put an end to the use of its language as a means of ideological education. Finally, a common effort is to be made to keep the language of two Koreas from becoming heterogeneous through their linguistic purification processes and to cultivate the Korean language by coming up with the same standards as each other.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