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친족어의 의미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A Semantic Analysis of Korean Kinship Term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the use and meaning of Korean Kinship Terms. Korean Kinship Terms have not been discussed actively compared with the frequency of their use and their impor...

ABSTRACT A Semantic Analysis of Korean Kinship Term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the use and meaning of Korean Kinship Terms. Korean Kinship Terms have not been discussed actively compared with the frequency of their use and their importance presumably because Korean Kinship Terms are the lexical units that indicate family relations and clearly have the subjects they are identified with, and therefore, the need for discussion was not greatly recognized. However, Korean Kinship Terms exist in a variety of lexical forms that can indicate the subject such as {abeoji (honorific term for one's own father)}, {abeonim (honorific term for someone else's father}, {abba (dad)}, {abi (humble term for father} {bu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for father)} and show complex aspects for these lexical units have different meanings. Also, the fact that the use of {abba} is natural in ordinary language life whereas the use of {abeoji} or {abeonim} is more natural in official situations such as on TV or news demonstrates that the use of Korean Kinship Terms. can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use of Korean Kinship Terms that can vary depending on various attribut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Kinship Terms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original form of these words and the principles applied in extending and using the extended lexical units. For this,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focused from the lexical meaning of each lexical meaning which became the subject of discussion up to various use and meaning. The subject of study included the family relations starting from {nampyeon (husband)} and {anae (wife)} which start from the marriage of a man and a woman and extending to their {adeul (son)} and {ddal (daughter)}, and siblings {hyeong (elder brother, used by younger brother)}, {eonni (elder sister, used by younger sister)}, {nuna (elder sister, used by younger brother)}, {obba (elder brother, used by young sister)}, and {dongsaeng (young brother or sister)}, and their parents such as {abeoji (father)}, {eomeoni (mother)}, {halmeoni (grandmother)}, and {harabeoji (grandfather)}. In chapter 2, I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er and referent when Korean Kinship Terms is used as an address term and reference term and arrange the usage of Korean Kinship Terms reflecting the feature of language in everyday life that is actually used in various situations by considering background in which a conversation is going on and the surrounding people. Also I discuss the different attributes that can be used to same object and various Korean Kinship Terms have. In chapter 3, I check the meaning of lexeme that each form of cognate language is expanded and discuss the form of Korean Kinship Terms and the meaning expansion aspect. All lexemes have typical meaning that is an ideal attribute. I am going to arrange the aspects and features that all of Korean Kinship Terms or individual lexemes that have typical meaning and—based on it—the lexemes are variously and extendedly used. For this, I will discuss form expansion based on lexemes that can be searched in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and identify meaning expansion through corpus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at provides if meaning attribute checked by form expansion is not enough. In chapter 4, I discuss the meaning relationship of Korean Kinship Terms. And I arrange the meaning relationship of lexemes based on form and meaning expansion aspect of lexemes checked in chapter 3. While opposition of Korean Kinship Terms has considered only [gender(性別)] as the object of discussion in existing study, However, this study looked at whether there are lexical units that form antagonistic relationship or lexical units that form other semantic relations centering on the attributes such as [honorification] and [informalization], [positive] and [negative] other than the attributes of [sex]. I will examine the validity statement based on the result of chapter 3 and see if it can be explained with other relationship other than opposition of [gender(性別)].

국 문 요 약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연구연구한국어 친족어의 용법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친족어는 그 사용빈도와 중요성에 비해 활발히 논의되어 오지 못했다. ...

국 문 요 약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연구 이 연구는 한국어 친족어의 용법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친족어는 그 사용빈도와 중요성에 비해 활발히 논의되어 오지 못했다. 이는 친족어가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소로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대상이 명확히 존재하며 그로 인해 논의의 필요성을 크게 인지하지 않은 탓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한국어 친족어는 {아버지}, {아버님}, {아빠}, {아비} {부(父)}처럼 같은 대상을 가리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어휘소로 존재하며 이들 어휘소가 가지는 의미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복잡한 양상을 가진다. 또한 일상 언어생활에서 {아빠}의 사용이 자연스러운 반면 TV나 신문과 같은 공식적인 상황에서 {아버지}나 {아버님}의 사용이 더 자연스러운 것은 한국어 친족어의 용법이 상황에 따라 달라 질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다양한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한국어 친족어의 용법을 확인하고 각각의 어휘소가 가지는 원형 의미와 그를 바탕으로 형식 확장된 어휘소가 어떻게 확장‧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논의의 대상이 되는 각각의 어휘소가 가지는 사전 의미에서부터 한국어 모어화자의 다양한 사용 양상과 의미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연구 대상은 [남성]과 [여성]의 [혼인]으로 시작되는 {남편}과 {아내}에서 시작하여 그들의 {아들}과 {딸}, {형제}에게 사용하는 {형}, {언니}, {누나}, {오빠}, {동생}과 그들의 부모에게 사용하는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할머니}, {할아버지}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 친족어의 용법을 정리한다. 친족어는 호칭어와 지칭어로 사용된다. 이때 언어 사용자와 지시 대상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대화가 진행되는 배경과 주변 인물을 고려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생활의 모습을 반영한 한국어 친족어의 용법을 정리한다. 또한 동일한 대상에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친족어가 가지는 속성의 차이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3장에서는 각각의 친족어가 형식 확장된 어휘소와 그 의미를 확인하여 친족어의 형식‧의미 확장 양상을 논의한다. 모든 어휘소는 이상적인 속성인 원형의미를 가진다. 친족어 또한 개별 어휘소가 모두 원형의미를 가지고 그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확장‧사용되는데 이에 대한 양상과 특징을 정리할 것이다. 이때 형식 확장은「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이 가능한 어휘소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며 의미 확장은 형식 확장을 통해서 확인한 의미 속성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말뭉치 자료를 통해 확인한다. 4장에서는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이때 3장에서 확인한 어휘소의 형식‧의미 확장 양상을 바탕으로 이들 어휘소의 의미 관계를 정리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친족어의 대립은 [성별(性別)]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하지만 [성별(性別)]의 속성 외에 [높임]과 [낮춤], [긍정]과 [부정]과 같은 속성을 중심으로 대립 관계를 이루는 어휘소는 없는지 그리고 대립 관계가 아닌 또 다른 의미 관계를 형성하는 어휘소는 없는지 확인하여 기존의 한국어 친족어를 [성별(性別)]의 대립으로 설정한 내용이 타당했는지를 3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