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화제 구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비평문의 처음쓰기와 다시쓰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쓰기의 담화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화제 구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비평문의 처음쓰기와 다시쓰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쓰기의 담화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처음쓰기와 다시쓰기의 비교를 통해 문장 화제와 화제 구조에 대한 교육과 교사의 피드백에 대한 효용성을 검토하였고, 장르별, 집단별 비교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비평문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학습자들은 비평문의 처음쓰기를 수행하였고, 문장 화제 및 화제 구조에 대한 교육과 자신의 글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하여 다시쓰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처음쓰기와 다시쓰기의 각 40편이 가지는 문장 화제의 구조와 글의 조직 긴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처음쓰기에서 나타난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은 하나의 문장 화제를 일관되게 유지하며 해당 화제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기보다는 문장 화제를 잦게 교체하여 산만한 글의 구조를 보여주었다. 또한 문장 화제를 점차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심도 있는 전개를 보이기보다 많은 문장 화제를 나열함으로써 담화 화제로의 응집성을 떨어뜨렸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다시쓰기에서 발전적인 모습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화제 구조를 보다 응집성 있고 깊이 있게 변화시켰다. 즉, 문장 화제의 산만한 나열을 줄이고 일관된 문장 화제를 유지하였다. 또 문장 화제 중에서 논리적 연결에 실패하여 글의 일관성을 파괴하는 유형을 수정 및 삭제하여 담화 화제로의 응집성을 확보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장 화제를 구체적이고 심화적으로 전개하여 담화의 깊이를 더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작성한 서사문(경험적 글쓰기)과 비평문의 비교 결과, 이들은 반대되는 특성을 보였다. 비평문의 경우, 문장 화제의 전개가 담화 화제를 향해 긴밀하게 진행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산만한 화제 구조를 보였다. 그러나 서사문의 경우, 학습자들은 대다수의 문장 화제를 ‘나’로 두고 서술하는 특정 서술 형태를 지나치게 반복하였다. 그 결과, 담화의 응집성과 조직의 긴밀성은 높아졌으나 전체적으로 글이 단조로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것을 통해 비평문과 서사문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문장 화제의 전개 양상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더 나은 글쓰기를 수행하기 위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분석 결과를 이윤빈(2014)에서 연구된 한국어 모어 필자 집단의 화제 구조와 비교하였다. 일관적이고 심화적인 문장 화제의 전개는 화제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에서 모어 전문 필자가 가장 우수한 화제 구조를 지니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상위 수준의 모어 대학생, 하위 수준의 모어 대학생이 뒤따랐다. 한국어 학습자의 처음쓰기는 모어 필자 집단에 비하여 긍정적인 화제 전개 유형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화제 구조에 부정적인 문장 화제의 전개 유형에서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의 다시쓰기와 모어 필자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학습자는 모어 대학생의 수준과 비슷할 정도로 긍정적인 발달 양상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처음쓰기와의 비교에서 본고의 연구 결과는 앞선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즉, 미숙한 필자일수록, 잦은 화제 교체를 통해 산만하고 일관적이지 못한 문장 화제의 전개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는 모어 대학생들과 비슷할 정도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 교육과 피드백의 효용성을 증명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에 한국어 모어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만 사용되었던 화제 구조 분석 방법의 대상을 한국어 학습자로 확장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적인 관점과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학습자 쓰기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처음쓰기와 다시쓰기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 피드백의 효용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다시쓰기 과정에서 발전적인 양상을 보였고,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라고 해도 적절한 교육과 피드백이 주어진다면 한국어 모어 학습자만큼 숙달된 화제 구조를 보여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장르별,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학습자 쓰기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비평문과 서사문의 장르적 차이와 한국어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집단의 차이는 학습자의 비평문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