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어휘 학습이 다른 학습 영역보다 자가 학습의 필요성이 더 크게 요구된다는 문제에 기초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가 학습 상황에서 어휘를 학습하고자 할 때 학습을 진행하는 데... 이 연구는 어휘 학습이 다른 학습 영역보다 자가 학습의 필요성이 더 크게 요구된다는 문제에 기초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가 학습 상황에서 어휘를 학습하고자 할 때 학습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담은 자가 학습용 한국어 어휘 교재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교육 분야의 자가 학습용 어휘 교재 및 자가 학습용 교재 10종을 분석 대상 교재로 선정하여 전체적인 구성, 단원의 구성, 자가 학습용 교재로서의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의 전체적인 구성은 외적 구성과 본문을 제외한 내적 구성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교재별 단원의 구성을 살펴봄으로써 자가 학습용 교재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각 교재마다 자가 학습용 한국어 어휘 교재의 분석 기준과 세부 항목을 적용하여 자가 학습용 교재로서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가 학습용 한국어 어휘 교재의 구성 원리는 다음과 같다. 교사가 부재한 상황에서도 학습의 진행을 원활하게 하여 학습 목표를 이룰 수 있어야 하고 스스로 학습을 관리할 수 있으며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시키도록 한다. 특히,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어휘력을 최대한 도모하고 어휘 학습의 결과가 실제 언어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자가 점검의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적인 학습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자가 학습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휘 교재가 부재함을 인식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 학습용 한국어 어휘 교재의 구성 원리와 실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제시한 구성 원리 및 실례를 적용한 객관적인 효과를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초석으로 자가 학습용 어휘 교재뿐만 아니라 여러 학습 영역에서도 자가 학습 상황의 학습자를 배려한 교재 개발 및 구성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founded on the belief that vocabulary is the language part that requires self-study the most. Therefore, the study seeks composition of self-study Korean vocabulary textbooks that would cover the critical vocabulary required by Korean la... This study is founded on the belief that vocabulary is the language part that requires self-study the most. Therefore, the study seeks composition of self-study Korean vocabulary textbooks that would cover the critical vocabulary requir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hen studying the language on their own. Ten self-study general and vocabulary textbooks used i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overall composition, chapter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s a self-study textbook. Each textbook’s composition was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composition (excluding the body) and analyzed. Each chapter’s composition was also analyzed in order to grasp the overall construction of a self-study textbook. Next, each textbook was analyzed by its characteristics as a self-study textbook on the basis of self-study Korean vocabulary textbook analysis criteria and specifications. The analysis resulted in forming the following principles of self-study Korean vocabulary textbook composition. The learning objectives ought to be realized even without presence of a teacher. Learners should be able to control their study themselves and stay excited and interested in the study.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utiliz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vocabulary and extend it into real life use of the language. Furthermore, the learners ought to be given a chance to self-check their abilities and to self-check whether their study was successful.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that there was a lack of self-study Korean vocabulary textbooks. Therefore, it proposed principles and showed examples of self-study Korean vocabulary textbooks aimed at improving Korean language learners’ vocabulary. However, the study only proposed the principles and the examples of self-study textbook composition. The fact that the proposal was not yet objectively verified can be pointed out as its main limitation.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which should focus not only on self-study vocabulary textbooks but also on developing self-study textbooks on other language skills.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