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절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변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어 명사어절과 용언어절 재인에 영향미치어휘변인을 조사하여 두 종류의 어절에 관련된 변인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착어로서 다형태소적 ...

본 연구는 한국어 명사어절과 용언어절 재인에 영향미치어휘변인을 조사하여 두 종류의 어절에 관련된 변인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착어로서 다형태소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국어 어절은 단일 단어로서 문장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영어와는 다르게 한국어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국내의 한국어 어절 연구는 실험 방법이나 품사의 종류에 따라서 처리양상의 결과가 다르게 나왔으며, 절대적인 연구의 양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어근 뒤에 조사나 어미가 붙는 활용이 품사간에 다양한 차이를 보이므로 각 어절의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변인에 대한 조사 및 비교는 매우 흥미로운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어절과 용언어절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 1 에서는 명사어절과 용언어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어휘변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은 어절판단과제(Eojeol Decision Task, 이하 EDT)를 통해 특정된 반응시간을 회귀분석을 통해서 예측변인을 도출 하였다. 그 결과 명사어절에서는 ‘어절빈도’, ‘어근빈도’, ‘첫음절 빈도’의 순으로 어절 재인 시간을 가장 잘 예측하는 어휘변인으로 조사되었고, 용언어절에서는 ‘어절빈도’ 와 ‘주관적 의미의 수’ 변인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명사어절과 용언어절을 재인할 때 심성어휘집접근의 양상이 어절이 통째로 저장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 2 에서는 대뇌활성화 연구를 통해서 명사어절과 용언어절을 재인할 때 활성화가 되는 영역을 조사하였다. 영어의 사전연구와 한국어 사전연구들을 참고하여 명사어절과 용언어절의 처리시 나타나는 활성화 영역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 어절은 영어와는 다르게 품사간의 활성화 영역이 명확하게 다른 것이 아니라 주로 frontal area 의 세부 영역에서 활성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두 어절들을 직접적으로 대비한 조건에서 형태소 분석이 필요 없거나, 단일형태소처리 시 나타나는 left inferior frontal lobe의 활성화를 발견함으로써 실험 1의 결과인 한국어 어절 표상의 전체목록 가설 가능성을 지지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Korean Eojeol recognition. Two types of Eojeol were used for the research and their lexical factors were investigated from the given stimuli. The Korean Eojeol which has very important roles i...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Korean Eojeol recognition. Two types of Eojeol were used for the research and their lexical factors were investigated from the given stimuli. The Korean Eojeol which has very important roles in sentence processing is known as the polymorphemic and syntactic word.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are small numbers of the Korean Eojeol studies and their supporting theories are different from each of the experiment methods and the grammatical word classes. Also, the Korean Eojeol has variety of its form for each of the grammatical word classes. For instance, the separation of the stem and the postposition is clear in the noun Eojeol, but it is very complicated in the verb and the adjective Eojeol (there are insertion and desertion of phoneme). Therefore studying the lexical factors of the Korean Eojeol is very important and interesting issue. Two main classes of this study are the noun Eojeol and the predicate (verb and adjective) Eojeol. The Eojeol decision task was performed for experiment 1-1, 1-2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both experiments. For the experiment 1-1(noun Eojeol) the lexical factors of ‘whole Eojeol frequency’, ‘root frequency’, and ‘first syllable sharing frequency’ were predicted as the most effective predictors. For experiment 1-2 (the predicate Eojeol), by contrast, the ‘whole Eojeol frequency’ and ‘number of subjective meaning’ factors were predicted for given reaction time of Eojeol recognition. Those two ‘whole Eojeol frequency’ factors support that the possibility of Eojeol representation is stored as the whole Eojeol form. In experiment 2,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ing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oun and the predicate Eojeol. The activated areas were found in adjacent area of frontal area for both noun and predicate Eojeol and this indicates that neural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noun and predicate Eojeols is not differentiated by its grammatical word classes. In addition, experiment 2 found the activation of left inferior frontal lobe which is detected when monomorphemic process is being preceded or when morphological process is not needed. This result supports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Eojeol follows full-list theory which is supported by experiment 1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