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어휘 표현 능력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다문화가정은 현재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출신국을 가진 부모로 인해 그들의 자녀들은 한자어, 외래어 사용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어느 말이나 어휘의 기원은 다양하며...

다문화가정은 현재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출신국을 가진 부모로 인해 그들의 자녀들은 한자어, 외래어 사용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어느 말이나 어휘의 기원은 다양하며 다문화가정 아동들도 기원에 따라 다른 수준의 어휘력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일반가정 아동이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어휘 표현 점수에서 차이가 있는지, 각 기원별 어휘점수는 전체 어휘점수와 어떤 상관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어휘 오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정상적인 언어발달을 보이는 만 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각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현어휘문항은 명사로 구성하였으며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각 20개씩 총 60개로 구성하였다. 각 어휘 당 맞는 문항은 1점, 틀린 문항은 0점으로 처리하고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들에 비하여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모두에서 기원에 관계없이 표현어휘능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외국인 어머니의 제한된 한국어 능력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어휘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두 집단의 어휘 합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점수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모두 한자어 점수가 높으면 다른 어휘의 점수와 상관이 높았다. 따라서 우리말 어휘 습득에서 한자어의 습득이 다른 어휘 습득 수준의 좋은 예측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두 집단의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오류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무반응(“몰라요”로 답한 경우 포함) 및 오반응이 많았으며, 두 집단 모두 목표어휘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어휘로 오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일상생활 대화에서 흔히 접하지 않는 어휘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목표 어휘와 모양이 비슷한 어휘로 대치하여 표현하는 경우(가재→‘새우’, 백조→‘오리’ 등)가 있었으며, 어휘를 설명하는 경우(수갑→‘경찰서에 가면 있는 거’, 립스틱→‘여자들이 하는 거’ 등)가 많았다. 또한 세부적인 어휘로 표현하기 보다는 포괄적인 어휘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코스모스→‘꽃’, 선글라스→‘안경’). 일반가정 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난 또 다른 특징은 ‘주사위’를 ‘주사기’로, ‘실로폰’을 ‘실리콘’, ‘고드름’을 ‘고등어’와 같이 목표 어휘를 음운적으로 비슷한 어휘로 대치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어휘력이 낮았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일반가정 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 간에 단어 기원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어휘 전체에서 모두 낮은 것을 보여주었으며, 단어 기원별 어휘 점수간의 상관분석과 오류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평가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With a continuous increas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them will be likely to be influenced by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In that sen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show different levels of their using vocabul...

With a continuous increas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them will be likely to be influenced by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In that sen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show different levels of their using vocabular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 abilit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from Korean parents show in their vocabulary expression for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word origin and total vocabulary. And along with this, vocabulary error characteristics of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are also studied.
For this, 26 children aged 5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from Korean parents are equally selected. Expression vocabulary question is comprised of noun, 20 for each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total 60. Each question has 1 point for right answer and 0 for wrong answer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ly, regardless of world orig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 significantly low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compared with children from Korean parents.
Second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m of vocabulary and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points,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parents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other vocabulary when their sino-Korean ability is superior.
Thirdly, in the study of error characteristics of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 relatively high no response(including "I don't know") and wrong response, and the two groups show wrong response in vocabulary related to target vocabular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 their difficulty in using rare vocabulary in daily life conversation.
Existing study of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most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same aged children of Korean parents or in terms of word class through standardized test. There has been little study for the expression of pure-Korean, sino-Korean and words of foreign origin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ny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 by word origin between children from Korean parent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they all show low performance in the whole vocabulary.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the showing of comprehensively low performa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use of vocabulary by word origin. And such result will help to encourag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use more wide range of vocabulary.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