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경제나 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교류가 많아지고 한국어는 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까... 요즘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경제나 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교류가 많아지고 한국어는 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많은 생소한 단어들을 접하게 되는데, 이때 사전은 학습의 도구로서 학습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판된 한중사전들은 그 수가 적지 않지만 학습자의 필요를 고려하지 못한 점이 많다. 이뿐만 아니라 사전에서 발견되는 오류도 많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고 다른 사전과 달리 한국어 예문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중국어 예문도 한국어로 번역해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전을 새롭게 구축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구축하는 사전은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초급 한자어 명사 어휘 사전으로서, 어휘의 이해와 표현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의 표제어로 삼은 한자어 어휘는 국립국어원(2012)의 '한국어교육 내용 개발(1단계)'에서 추출하였다. 즉, 한자어 명사 어휘들에 대해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의미와 쓰임을 제시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의미 대조 사전을 편찬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국어 어휘를 더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목적을 두려고 한다. 본고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먼저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한다. 그 다음으로 연구 방법에서 연구하는 대상 및 방식을 간략하게 언급하고 구성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할 것이다. 어휘 대상의 선정 부록을 제시할 것이고, 본고에서 한국어 교육용 초급 단계 한자어 명사 어휘를 표제어로 삼은 점에 기초하여 한국어 한자어 명사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3장에서는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구조를 제시할 것이다. 한·중 사전 개발에서 필요한 표제어의 배열과 제시 방법을 알아볼 것이며 표제어의 내용 기술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는 국립국어원(2012)의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 추출해 낸 한자어 명사 어휘의 내용 정보 기술에 대해 논의한다. 어원 정보, 발음 정보, 품사 정보, 문법 정포, 뜻풀이 정보, 용례 정보, 추가 정보로 나누어서 살펴볼 것이다. 제시한 한국어 표제어에 대해서 표로 제시하며 한국어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뜻풀이 정보와 용례 정보를 중국어로 번역할 것이고 용례를 다시 한국어로 번역할 것이다. 중국어 대역어와 중국어 번역을 함께 제시하여 한국어가 어떻게 중국어로 번역되고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보여줄 것이다. 마지막 4장에서는 본고에서 나타난 한계나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