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싱할라어의 단모음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Sinhala monophtho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ri Lankan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of the Korean language recognize the difference of phoneme between Korean and Sinhala and to help develop efficient ed...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Sinhala monophtho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ri Lankan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of the Korean language recognize the difference of phoneme between Korean and Sinhala and to help develop efficient educational methods for teaching pronunciation by comparing monophthong of the two languages phonologically and phonetically.
First, I compared between Korean and Sinhala monophthong systems phonologically. As a result, there are 8 monophthongs in Korean, and 6 monophthongs in Sinhala. There are no phonemes of ‘ㅡ/?/’ and ‘ㅓ/Λ/’ in Sinhala. Also, Korean ‘ㅐ/ε/’ is pronounced at a higher place than Sinhala ‘ㅐ/æ/’, and Korean ‘ㅏ/a/’ is pronounced at much back than Sinhala ‘ㅏ/a/'.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correct soun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phonological system, also it is hard to use it in th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o I did acoustic analysis using Praat.
Before starting the test, I conducted a listening recognition test of Korean monophthongs to Sri Lankan learners to check whether they recogniz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monophthongs correctly or not. As a result, the vowels which Sri Lankan learners recognized well were ‘ㅏ, ㅜ, ㅡ, ㅣ', and the vowels which they felt difficult to listen were ‘ㅓ’ and ‘ㅗ’. This is an error which was not found through the comparison of phonologic system.
The test was conducted targeting 20 people each of Korean and Sri Lankan men. First, I let them pronounce 8 monophthongs of Korean and 6 monophthongs of Sinhala in an isolated environment. As a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ㅐ/ε/’ and ‘ㅔ/e/’ which is distinguished phonologically in Korean monophthong system. It is a contrasting result that Sinhala ‘ㅐ/æ/’ and ‘ㅔ/e/’ are distinguished clearly. Also,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Sinhala ‘ㅏ’ and ‘ㅜ’ based on the height of the tongue. However, except in the case of the vowel ‘ㅐ’,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ased on the place of the tongue. In other words, Sinhala monophthongs are generally pronounced at a much front side than Korean monophthongs. But Sri Lankan learners pronounce Korean and Sinhala monophthongs at the same position. So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und of the Korean and Sinhala monophthongs which are pronounced by Sri Lankan learners, except the ‘ㅐ’ sound. But the sound ‘ㅡ’ which does not exist in Sinhala is pronounced a lower front place than Korean, and ‘ㅓ’ is pronounced at the same place with Korean ‘ㅗ’. Confusion of the sound ‘ㅓ’ and ‘ㅗ’ gave a similar result with the former test result. It is understood that Sri Lanka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canno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ㅓ’ and ‘ㅗ’.
However, the test errors do match with the difference of Korean listening recognition test. Thus, a test about Koreans' perception of Korean vowels pronounced by Sri Lankan students needs to be conducted. It needs to carry out a test about women's pronunciation, too. Test materials also need to be expanded not only monophthongs in an isolated environment but also monophthongs in vocabulary or sentences.
In spite of the limitation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Sinhala monophthong targeting Sri Lankan learners which has not been done ever before.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he Sri Lankan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한국어와 싱할라어의 단모대조 연구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싱할라어의 단모음을 음운적 측면과 음성적 측면에서 대조하여, 스리랑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 모두에게 두 언어의 음소 차...

한국어와 싱할라어의 단모음 대조 연구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싱할라어의 단모음을 음운적 측면과 음성적 측면에서 대조하여, 스리랑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 모두에게 두 언어의 음소 차이를 인지시키고 발음교육에 있어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초석을 다지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와 싱할라어의 단모음 체계를 음운적으로 대조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의 단모음은 8개인데 반해 싱할라어의 단모음은 6개로, 싱할라어의 단모음에는 ‘ㅡ’와 ‘ㅓ’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 한국어의 단모음 ‘ㅐ/ε/’는 음운 체계를 통해 살펴볼 때, 싱할라어의 ‘ㅐ/æ/’보다 높은 곳에서 발음되며 ‘ㅏ/a/’는 싱할라어의 ‘ㅏ/a/’보다 뒤쪽에서 발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음운 체계의 대조만으로는 정확한 음가를 알기가 어렵고 실제 한국어 발음교육에도 활용하기가 어렵다. 이에 음운 체계의 대조에서 더 나아가 Praat을 이용한 음성 산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산출 실험에 앞서, 스리랑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단모음 발음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청취 인지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스리랑카 학습자들이 가장 잘 인지하고 있는 모음은 ‘ㅏ, ㅡ, ㅣ, ㅜ’였고 가장 어려워하는 모음은 ‘ㅓ’와 ‘ㅗ’였다. 이는 음운 체계의 대조를 통해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오류였다.
산출 실험은 한국인과 스리랑카인 남성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에게 고립 환경에서의 한국어 단모음 8개와 싱할라어 단모음 6개를 발음하도록 하였다. 먼저, 한국인의 한국어 단모음과 스리랑카인의 싱할라어 단모음의 음성 산출 결과를 대조해 보면,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에서 음운적으로 구별되던 ‘ㅐ’와 ‘ㅔ’는 현실 발음에서는 구별되지 않았다. 이는 싱할라어의 ‘ㅐ’와 ‘ㅔ’가 확실하게 구별되어 발음되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결과였다. 또 통계 결과, 한국어와 싱할라어의 ‘ㅏ’와 ‘ㅜ’는 혀의 높낮이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ㅐ’를 제외한 모든 모음이 혀의 전후 위치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싱할라어의 단모음은 전체적으로 한국어의 단모음보다 앞쪽에서 발음되고 있었다. 한편, 스리랑카 학습자는 한국어의 단모음을 발음할 때에 싱할라어의 단모음과 동일하게 발음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스리랑카 학습자들이 발음하는 싱할라어의 단모음과 한국어의 단모음은 ‘ㅐ’를 제외한 모든 모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한국인이 발음한 한국어의 단모음과 스리랑카인이 발음한 한국어의 단모음 산출 결과를 대조해 보면, 앞서 한국어의 단모음과 싱할라어의 단모음 산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갖는다. 다만 싱할라어의 단모음 체계에는 없는 ‘ㅡ’의 경우에는 한국인보다 낮게, 앞쪽에서 발음하고 있으며 ‘ㅓ’의 경우에는 한국어의 ‘ㅗ’와 동일한 위치에서 발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ㅓ’와 ‘ㅗ’의 혼동은 앞서 청취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며, 이는 학습자들이 ‘ㅓ’와 ‘ㅗ’의 차이를 인지하지 못함에 따라 산출 시에도 오류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산출의 오류가 한국인의 청취 인지의 차이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한국인이 스리랑카 학습자가 산출한 단모음을 듣고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대한 실험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산출 실험의 대상을 남성만이 아닌 여성으로, 실험 자료 역시 고립 환경에서의 단모음이 아닌 어휘, 문장에서의 단모음으로, 좀 더 확장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스리랑카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음운·음성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스리랑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