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의식 척도의 타당화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자의식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밀접한 관계가 성인 대상의 연구에서 밝혀졌지만, 청소년의 자의식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척도는 부족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의식을 신뢰롭...

자의식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밀접한 관계가 성인 대상의 연구에서 밝혀졌지만, 청소년의 자의식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척도는 부족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의식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최근 미국에서 개발된 Takishima-Lacasa 등(2014)의 아동․청소년 자의식 척도 개정판(Revised Self-Consciousness Scale for Children: R-SCS-C)을 번안하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척도 원저자에게 아동․청소년 자의식 척도 개정판(R-SCS-C)의 한국어 번안 및 사용에 관한 허락을 받았으며, 척도를 번안하여 3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예비적으로 실시하고 전문가 3명(학교심리전문가, 초등학교 교사, 중학교 영어교사)의 감수를 받아 문항을 수정하였다. 둘째, 최종 번안본을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1,150명(남학생 542명, 여학생 608명)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청소년 자의식의 3요인(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 사회불안)이 구분되었고, 이러한 요인구분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세 요인에 교차적재된 한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적으로 총 28개 문항의 청소년 자의식 척도를 구성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3요인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자의식 척도의 내적일관성지수, 반분검사신뢰도, 수렴타당도가 양호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청소년 자의식에 관한 국내외 연구에서 사용된 바 있는 Fenigstein 등(1975)의 자의식 척도 하위요인들과 청소년 자의식 척도 하위요인들 간 정적 상관이 대체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자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사회불안, 우울, 삶의 만족도, 정적 정서, 부적 정서와 청소년 자의식 척도 하위요인들 간 상관 역시 대체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자의식 척도가 양호한 공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산분석의 결과, 청소년 자의식의 수준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의식 총점, 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 사회불안 각각에서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 자의식 척도가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하며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의식을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s well established among adult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liable and valid measures of adolescents’ self-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s well established among adult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liable and valid measures of adolescents’ self-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akishima-Lacasa et al.’s Revised Self-Consciousness Scale for Children (R-SCS-C) in Korean adolescents. First, the R-SCS-C was translated into Korean, pilot items were administered to three 7th graders, and items were modified with the help of three experts (a school psychologist,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a middle school teacher). Second, the final form of the R-SCS-C was administered to 1,150 students in Grades 5 to 9 (542 boys, 608 girls).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al analyses, and analyses of variance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three factors (public self-consciousness,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hich were also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fter one cross-loaded item was removed,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was composed of 28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has a resonable fit to the observed data. Also,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ies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were found high. Support for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was obtained. The concurrent validity evidence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was supported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ts subscales and the subscales of Fenigstein et al.’s Self-Consciousness Scale. In addition, the three factors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pubic self-consciousness,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depression,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Grade-related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overall self-consciousness and the three subscales were all significant. Self-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girls ed higher self-consciousness than did boys. Such findings imply that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an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Korean adolescents’ self-consciousn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