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착용동사의 의미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外语学习的过程中,由于母语的语言构造和外语常常存在着一定的差异。在母语的惯性思维影响下,初学者常常会在词语使用&...

外语学习的过程中,由于母语的语言构造和外语常常存在着一定的差异。在母语的惯性思维影响下,初学者常常会在词语使用时犯一些错误。 “衣食住行”与人类生活息息相关,是生活中使用频率最高的词。其中与“衣”相关的单词就是“穿戴动词”。韩语的穿戴动词体系比中文复杂,而且由于这类词语使用频率高,穿戴动词的错误使用可能对语言交流产生较大的影响。 本文通过对中韩两国穿戴动词的语义略论和对照研究,略论得出两种语言中穿戴动词的共同点和不同点,并以此为基础为学习韩语的中国人设计较为适合教育方案。 本文第一章为绪论部分,主要阐述了研究的目的与必要性,并列举了与此相关的先行研究。最后阐述了本文的研究措施和研究范围。 第二章作为本文的理论背景,主要叙述了穿着动词的概念与特征。第一部分列举了字典中给出的对于“穿着动词”的解释,以及中韩两国学者对于“穿着动词”的定义。第二部分阐述了穿着动词作为他动词,受到穿着对象以及穿着位置的制约的特征。 第三章重点阐述中韩两国穿着动词的语义略论。第一节列举了韩语15个穿着动词在字典中的含义,并根据其所对应的穿着位置的不同进行了分类及语义略论。并采用穿着方式、穿着位置两个标准制作分类表格。第二节列举中文中的主要穿着动词的字典释义,采用穿着对象作为标准,对中文穿着动词进行略论。为保证与韩语穿着动词比较的便利,中文穿着动词的分类表也采用了穿着方式、穿着位置两个标准。 第四章主要略论了中韩穿着动词的共同点的不同点。其中第一节主要略论中韩一对一对应的动词。一对一对应中又划分完全对应和部分对应。本节通过制表列举各个穿着动词的字典释义、穿着对象、穿着方式、穿着位置,详细略论了有着部分对应关系的中韩穿着动词之间的细微差异。第二节重点对比了“穿”、“戴”以及其对应的韩语穿着动词。通过略论这些词语的穿戴位置,略论了其中的对应关系。 第五章主要阐述教育方案。首先列举了Finnochiaro(1976)和Goldstein(1986)对于词汇教学的观点。第二节以首先提出了单词“链接网”的概念,韩语毕业论文,并以此为基础设计适合中国学生的教育方案。其中教育方案以教师为主导进行导入,并以学生为主导设计了各种巩固、整理练习。 本研究中提出的单词“链接网”概念是其他先行研究中没有出现过的。并采用“联想-理解-一般化”这种由浅入深的导入方式,韩语论文,对于韩语穿着动词的教学有一定的意义。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착용동사 사용 표현에 대한 대조연구가 그 목적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착용동사 언어 사용 표현을 대조 분석하고 둘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논문...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착용동사 사용 표현에 대한 대조연구가 그 목적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착용동사 언어 사용 표현을 대조 분석하고 둘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착용동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제1장의 마지막 부분에 분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착용동사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착용동사의 사전적 정의와 기존 한∙중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착용동사에 대한 정의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사전적 정의와 연구자들의 정의를 총괄하여 본 논문에서는 착용동사의 정의를 '어떤 동작을 통하여 자신을 보호하거나 예의를 갖추기 위한 의복, 장신구, 비장신구 등을 몸에 부착하는 동사'라고 정했다. 제2장 제2절에서는 착용동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착용동사는 착용의 위치, 대상, 방법 등 요소의 제약을 받는 특성을 밝혔다. 제3장은 한국어와 중국어 착용동사의 목록을 제시하여 의미 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 제3장 제1절은 주로 한국어 착용동사를 분석하였다. 먼저 국립국어원(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에서 나온 한국어 착용동사 ‘하다, 들다, 입다, 걸다, 쓰다, 신다, 달다, 끼다, 매다, 메다, 걸치다, 두르다, 꽂다, 차다, 감다' 총 15개의 사전의미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착용위치를 기준으로 한국어 착용동사의 의미를 분석하여 분류했다. 비교의 편리를 위하여 한국어 착용동사의 착용위치와 착용방법에 따라 분류표를 만들었다. 제3장 제2절은 주로 중국어 착용동사를 분석하였다. 먼저 국립국어원(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에서 나온 한국어 착용동사와 대응하는 중국어 착용동사 ‘穿, 戴, 披, 繫, 圍, 扎, 掛, 插, 裹, 打, 簪, 纏, 拎, 背'의 사전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다음에는 중국어 착용동사는 착용대상에 따라 제약을 받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착용대상을 기준으로 중국어 착용동사의 의미를 분석하여 분류했다. 그러나 한국어 착용동사와의 비교하기 위해서 중국어 착용동사도 착용위치와 착용방법에 따라 분류표를 만들었다. 제4장은 한국어와 중국어 착용동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제4장 제1절에서는 한∙중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는 착용동사를 제시하였다. 한∙중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는 착용동사도 완전 일대일 대응관계와 부분적 일대일 대응관계가 존재하다. 한∙중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는 착용동사의 사전의미, 착용방법, 착용대상, 착용위치를 대조하여 표로 제시하였으며 부분적 대응을 하는 한∙중 착용동사의 미세한 차이를 제시하였다. 제4장 제2절에서는 한∙중 다대일로 대응하는 착용동사를 제시하였다. 주로 중국어 착용동사 ‘穿'과 대응하는 한국어 착용동사 ‘입다'와 ‘신다', 그리고 중국어 착용동사 ‘戴'과 대응하는 다양하게 분화되는 한국어 착용동사를 대조하였다. 이 부분에는 표로 ‘穿', ‘戴'와 ‘입다', ‘신다', ‘쓰다' 등 단어가 결합하는 신체부위를 대조하여 그 대응관계를 제시하였다. 제5장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착용동사 교육방안을 설계하였다. 제5장 제1절에서는 피노치아로(Finnochiaro, 1976)와 골드스타인(Goldstein, 1986)의 효과적인 어휘 지도의 원리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착용동사 교육방안을 설계할 때 주의점을 제시하였다. 제5장 제2절은 단어의 ‘연결망'의 계념을 제시하여 ‘연결망'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착용동사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방안은 한국어 주요 착용동사와 각 착용동사가 결합하는 착용대상과 착용위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습 활동을 포함하였다. 연습활동을 통해 학생이 새로 배운 착용동사와 결합하는 착용대상과 착용위치를 파악하도록 학생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대표적인 착용동사를 선정하여 양국 착용동사의 사전적 의미, 착용방법, 착용대상, 착용위치를 분석하여 대조했다. 그리고 어휘교육원리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착용동사 교육방안을 설계하였다. 이 교육방안에서 ‘착용도구-착용위치-착용동사'의 ‘단어 연결망'부터 ‘착용방법-착용위치-착용동사'의 ‘의미 연결망'까지 학생이 참여하는 ‘연상하기 - 이해하기 - 일반화하기'의 교육과정은 기존 상관 연구에 비해 의의 있는 부분이다. 그렇지만 본 교육방안은 한국어 착용동사를 처음으로 배우는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이기 때문에 한국어 착용동사의 사동, 피동 등 더 깊은 층면의 표현을 설계에 반영하지 못하였고 초급 학습자의 문화 이해 능력을 고려해야 했기에 착용동사의 확장 의미를 제시하지 못한 것이 이 논문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