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자·타동 양용 동사와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2음절 한자어 / 하-’ 동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한국어 ‘2음절 한자어 / 하-’ 자·타 양용 동사를 기준으로 삼아,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우선 기존 선행 연구자들의 ...

본고는 한국어 ‘2음절 한자어 / 하-’ 자·타 양용 동사를 기준으로 삼아,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우선 기존 선행 연구자들의 자·타 양용 동사의 개념과 범위, 유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자동성 및 타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동사를 자·타 양용 동사로 보고 기존의 선행 연구자들이 논의한 양용 동사의 판별 준거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2음절 한자어 / 하-’ 양용 동사에도 적용이 되며 양용 동사로 성립 가능한 구문 유형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고려대 한국어 대사전』(全)3권을 기반으로 추출한 1,605개 어휘를 다시『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2』(2005)에서 대상 어휘 553개를 추출하고 양용 동사의 검정과정을 통해 서 양용 동사 129개를 추출하였다.
3장에서는 우선 본고에서 판정한 ‘2음절 한자어 / 하-’ 양용 동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의 선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를 자·타 양용 동사, 자동사, 타동사, 기타 유형으로 나눠서 그 내용들을 대표적인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특징들을 밝혔다. 분석한 결과 대응하는 중국어는 자·타 양용동사의 경우에 전체 어 휘의 59.7%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 한자어와 중국어는 대부분 동형동의어이다. 한국어에서는 이들 어휘가 병렬구조에 속하고 중국어에서는 대응하는 구조가 ‘動結詞組’이다. 이들 어휘가 중국어에서 양용 동사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양용 동사로 쓰인 자·타 구문에 피동 및 사동의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대응하는 중국어는 자동사로 쓰인 어휘의 비율이 전체 어휘의 약 29.5%를 차지하고, 한자어 구조는 술목주조나 수식구조이다. 중국어에서 이들 어휘 자체에 목적어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목적어를 수반할 수 없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대응하는 중국어는 타동사로만 쓰인 경우에 약 3.1%로 제일 낮은 비율 로 나타난다. 그 구문의 동작행위가 주체 자신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못 하고 다른 대상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대응하는 중국어가 기타 유형에 속한 것은 2음절 한자어가 아닌 경우이다. 이들 어휘는 전체 어휘의 7.7%를 차지하며, 한·중 언어 사용에서의 특수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4장은 결론 부분으로 1장부터 3장까지 살펴본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및 말뭉치에 의거하여 한국어 ‘2음절 한자어 / 하다’ 양용 동사를 중심에 두고 새로운 시점에서 한자어의 내부구조의 분석을 통해서 중국어 대응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의미가 있다. 이런 작업은 추후의 한·중 언어의 비교나 한자어 동사의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aspects of Chinese vocabularies that are equivalent to Korean intransitive verb ‘Disyllabic Sino-Korean / ha-’. The concept, range and category of intransitive verbs are discussed in chapter2. This thesis has propos...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aspects of Chinese vocabularies that are equivalent to Korean intransitive verb ‘Disyllabic Sino-Korean / ha-’.
The concept, range and category of intransitive verbs are discussed in chapter2. This thesis has proposed the criteria for distinction of ambitransitive verbs that carry both intransitivity and transitivity comprehensively. There are five types of phrases are suggested that could be applied to ambitransitive verbs ‘Disyllabic Sino-Korean / ha-’. There are 1,605 vocabularies that are extracted from『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and 553 vocabularies that are extracted from 『Investigation on the Frequency of the modern Korean usage 2』(2005), 129 of ambitransitive verbs were also extracted through the test procedure on intransitive verbs.
In chapter3, the method of intransitive verb ‘Disyllabic Sino-Korean / ha-’ and its equivalent vocabularies are determined is proposed. Then the equivalent Chinese vocabularies are specifically examined categorized as ambitransitive verb, intransitive verb, and transitive verb and other. The distinctions of the equivalent Chinese vocabularies are also suggested.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he ambitransitive verbs have occupies 59.7% of the equivalent Chinese vocabularies. These vocabularies are included in the group of parallel structure and ‘Freeze phrase’ in Chinese. There is a high chance that these vocabularies are used as intransitive verbs in Chinese. Furthermore, transitive and intransitive meaning of the ambitransitive phrases that are written by alternative verbs is also certified. The equivalent Chinese vocabularies that are written as intransitive verbs have occupied 29.5% of the situations. The vocabularies themselves in Chinese since the object is not implied, the feature of the object that it’s not able to be implied is shown again. The possibility of equivalent Chinese vocabulary is written as transitive verb is 3.1%, which is the lowest. The operation action in the phrase is interpreted a it does not affect itself and only affects other objects. The equivalent Chinese vocabularies that are categorized as other are not disyllabic Sino-Korean. These vocabularies have occupied 7.7% of the situations, which indicates the uniqueness usage o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The conclusion of the previous chapters is made in chapter4.
This research is targeted on ‘disyllabic Sino-Korean / ha-’ and based on pre and corpus.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internal structure of Sino-Korean vocabularies from a new perspective and also examined the aspects of the equivalent Chinese expressions. This study shall be helpful to the researches on ‘Disyllabic Sino-Korean / ha-’ and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Vocabularies in the future.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