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a comprehensive survey on and collate the studies related to the basic meanings and extended meanings of gustatory words in Chinese and South Korean, based on which to explore South Korean education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a comprehensive survey on and collate the studies related to the basic meanings and extended meanings of gustatory words in Chinese and South Korean, based on which to explore South Korean education and learning programs, especially for Chinese learners. Before the formal research, Chapter II surveys the basic theories related to contrastive analysis of gustatory adjectives in South Korean and masters the meaning of these words. In the meantime, Chapter II uses the classifications of gustatory adjectives to date as references and designates the gustatory adjectives covered in this contrastive research. An analysis is done in Chapter III by centering about the extended meanings of such gustatory adjectives designated in the previous chapter as "달다/sweet", "쓰다/bitter", "시다/sour ", "맵다/hot", "짜다/salty" and focusing on the corresponding meaning modals (양상) in Chinese and South Korean. And a survey on basic meanings is done by centering about existing researches of contrastive analysis on gustatory adjectiv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no big discrepancies in the basic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in South Korean; the discrepancies in different corresponding modals of extended meanings are identified, which can be made reference to Chinese learners studying this foreign language. For probing the programs of South Korean education, especially for Chinese learners, in Chapter IV, some basic researches are conducted firstly, to be specific, understanding the methods of South Korean education in education scenes. After analyzing the textbooks designated by the main South Korean education authorities, it was turned out that what appears frequently in South Korean textbooks is the basic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thus extended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are not actually delivered in systematic education. Meanwhile, a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mastery of the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The survey is targeted at finding out if the explanatory background information is provided in South Korean education with subjects of advanced Chinese learners who study South Korea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dvanced learners also make a lot of mistakes in terms of the extended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It will be more helpful if background information is provided during teaching the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This chapter, based on previous basic researches provides suggestions for teaching gustatory adjectives with the subjects of advanced Chinese learners who study South Korean. Finally Chapter V is the conclusion part, which concludes the argument of this research and points out the meaning and shortcomings of this research. An education proposal for Chinese learners who study South Korean is put forward in the appendix. This research realizes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will meet while learning gustatory adjectives in South Korean and tri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practical teaching. There are only contrasts of meanings of gustatory adjectives in South Korean and statements of modals in the researches to date.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 out the ways suitable for South Korean education scenes in the process of contrasting and collating. It has certain significance in exploring actual education programs. However, this research has shortcomings such as no extensive coverage of the gustatory adjectives studied, short of detailed descriptions of education program design and educational methods of providing background information, etc. which are expected to be studi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 형용사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정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수·학습 방안을 모...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 형용사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정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한중 미각 형용사의 의미 대조 분석에 기초가 되는 이론들을 살펴보았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미각 형용사의 개념을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그동안 이루어진 미각 형용사 분류 유형들을 참고하여 본고의 대조 연구에서 다룰 한중 미각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앞 장에서 선정된 ‘달다/甜’류, ‘쓰다/苦’류, ‘시다/酸’류, ‘짜다/醎’류, ‘맵다/辣’류의 확장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의 대응 양상에 주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에는 한중 미각 형용사를 대조 분석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본의미도 함께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 형용사의 기본의미들은 서로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확장의미들은 그 대응 양상에서 차이점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 형용사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보았다. 4장에서는 먼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 형용사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금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교육 방법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주요 한국어교육 기관의 교재를 선정·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지금의 한국어교재에서는 주로 기본의미 위주로 제시되어 있어서 실제 미각 형용사의 다양한 확장의미에 대한 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미각 형용사 의미 파악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황 맥락 제시 여부에 따른 한국어 미각 형용사 의미 파악 가능 여부까지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로는 고급 학습자들조차 미각 형용사의 확장의미 파악에는 오류를 일으키고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한국어 미각 형용사의 의미 교육에서 상황 맥락 제시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어 본 장에서는 앞의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 형용사 의미 교육에 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5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이어서 간략하게나마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 형용사 교육 방안을 부록의 형식으로 첨부하였다.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미각 형용사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인식하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시도된 연구이다. 그간의 연구들이 주로 한중 미각 형용사의 의미를 대조하여 양상을 밝힌 연구들이었다면, 본 연구는 그간의 연구들을 일목요연하게 비교·정리하는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해법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방안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실제 다양한 한국어 미각 형용사들을 모두 다루지 못한 점과 교육 방안 설계 부분에서 실제 상황맥락을 적용한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미흡했던 점은 한계로 남지만, 후일에 나올 연구를 기약하고자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