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분절음 간의 구분이 분명한 영어자음과 달리 영어모음은 조음의 연속선상에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각 모음의 미세한 차이를 구분하여 발음하기 어렵고, 또한 비슷한 ...
비교적 분절음 간의 구분이 분명한 영어자음과 달리 영어모음은 조음의 연속선상에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각 모음의 미세한 차이를 구분하여 발음하기 어렵고, 또한 비슷한 한국어 모음으로 대체하여 습득하는 성향에 의해 올바른 모음발음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서로 구분하여 발음하기 어려운 영어 모음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음성학적 지식을 사용하여 각 모음 간의 차이를 설명 할 수 있는 최소대립쌍 활동이 모음발음에 효과적인 활동으로 판단하여, 최소대립쌍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발음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3명의 여학생과 7명의 남학생 등 총 20명의 고등학생들이 최소대립쌍 활동 이후 모음 최소대립쌍이 포함된 문장을 읽고 녹음한 후, 녹음된 발화의 음성적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원어민이 발화된 모음을 듣고 학생의 의도대로 들었는지 이해가능성을 알아보는 발음 식별 실험을 시행하였다.
최소대립쌍 활동에 쓰인 영어 모음은 8개([i], [ɪ], [ɛ], [æ], [ɑ], [ɔ], [ʊ], [u])의 단모음이다.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4쌍의 최소대립쌍([i]와 [ɪ], [ɛ]와 [æ], [ɑ]와 [ɔ], [ʊ]와 [u])은 모음의 연속선상(continuum)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모음이다. 활동은 12차시로 3주간 진행하였고 활동 후 학생들의 모음 발음을 음성적 측면과 인지적 이해가능성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음성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학생들이 발화한 모음의 F1값과 F2값을 측정하여 활동 전후를 비교하였다. 인지적 이해가능성의 측면에서는 원어민 청자가 참여한 발음 식별 실험을 진행하였다.
음성적 측면에서 활동 이후 학생들의 모음 발화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인접 모음인 [i]와 [ɪ], [ɛ]와 [æ], [ɑ]와 [ɔ], [ʊ]와 [u]에서 각 모음의 F1, F2 값이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할 만큼의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최소대립쌍 활동은 학생들이 인접 모음들을 음성적으로 차이가 나게 발음하는데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이해가능성 점수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원어민이 듣고 식별한 이해가능성 점수에서 여학생 발화의 경우 [ɪ], [ɛ], [æ], [ɑ], [ʊ], [u]의 이해가능성 점수는 활동 이후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i]와 [ʊ]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i]와 [ɔ]를 제외하고 모든 발음에서 활동 이후 이해가능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원어민이 여학생과 남학생의 발화에서 모두 식별에 어려움을 겪는 발음은 [i]와 [ʊ]로 나타났다.
음성적 특성에 큰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해가능성 점수에 변화가 생긴 것은 조음기관의 높낮이와 전후방성을 나타내는 F1, F2보다는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길이의 차이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소대립쌍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영어 발음의 음성적 변화를 가져 오는 데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지만, 영어 원어민이 인접 모음을 듣고 의도대로 식별하는 이해 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inimal pair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vowels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enty high school students (13 female and 7 male students) recorded the carrier-phr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inimal pair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vowels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enty high school students (13 female and 7 male students) recorded the carrier-phrase sentences which contain minimal pairs of English vowels after minimal pair activities and the acoustic change and the intelligibility of the vowels were analyzed.
Eight vowels, [i], [ɪ], [ɛ], [æ], [ɑ], [ɔ], [ʊ] and [u],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owel continuum, were included in the activities. The minimal pair activities were conducted over the time span of twelve periods in three weeks. Students' vowel pronunciations were then separately analyzed in the aspect of acoustic change and perceptual intelligibility of vowels. In respect to acoustic change, the F1 and F2 values of the students’ vowel produc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In terms of perceptual intelligibility, sound identification tests were conducted by a native listener with the students’ recordings of the vowels in carrier-phrase sent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re were slight changes acoustically in students’ vowel production after the activities, the changes did not lead to differentiating the adjacent vowels, between [i] and [ɪ], between [ɛ] and [æ], between [ɑ] and [ɔ], and between [ʊ] and [u]. This reveals that minimal pair activities were not effective in acoustical differentiation of adjacent English vowels.
Nevertheles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intelligibility scores. Th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lligibility scores by the native listener in [ɪ], [ɛ], [æ], [ɑ], [ʊ], [u],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i] and [ʊ]. [i] and [ʊ] were most difficult vowels for the native listener to identify in the sound identification tests. The reason for this improvement can be attributed to length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ctivities.
In conclusion, even though minimal pair activities were not effective in changing the quality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y can at leas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ntelligibility of some vowels, possibly as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adjacent vowels was improved.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