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2 언어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교육에서 교재 내 문학작품의 위상에 비추어 현대작품의 위상을 비교하고, 시작품 교육의 현황을 진단한 후, 효율적인 시작품 ...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2 언어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재 내 문학작품의 위상에 비추어 현대시 작품의 위상을 비교하고, 시작품 교육의 현황을 진단한 후, 효율적인 시작품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래지향적인 방향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교재 소재 시작품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5편의 시작품을 선정한 후 어휘 및 정서 교육을 위한 시작품 분석을 실시하였고, 시 교육의 내실 있는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작업 가운데 하나인 현장의 문제점을 교재 중심으로 검토한 후 앞으로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 교육의 실천 국면을 드러내 주는 자료로서 17곳의 대학부설기관과 국립국어원에서 편찬된, 한국어 교육용 교재 총 23종 134권의 자료를 수집하여, 시작품의 유형ㆍ단원 구성ㆍ시작품 교육 요소ㆍ교수-학습 활동 등을 살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8곳의 기관 중 단 10곳의 기관 23권의 교재에서 현대시 작품을 ‘문학’ 또는 ‘예술’의 범위로 교육 자료에 포함시키고 있었으며, 그 중 현대시 작품을 독립된 단원으로 구성한 교재는 8권뿐이었고, 나머지 15권의 교재는 한국 문화교육의 일환으로 현대시 작품을 수록하고 있을 뿐 시작품 교육의 실천 국면을 드러내 주는 자료는 많지 않았다.
한 교재에서 다루는 시작품은 어휘 및 문법ㆍ목표 문화ㆍ학습 활동의 종류에 따라 교재 구성 방식이 달라지며, 교재의 구성은 교재 편찬 기관의 역량과 동떨어질 수 없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대학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군을 대상으로 편찬된 교재 내의 23편 시작품 중, 수록 및 논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4편의 시와 기타 주목할 만한 작가의 작품 1편을 포함한 총 5편의 시를 선정한 후, 시인의 생각이 반영되어 있는 몇몇 핵심 시어 속에 담긴 함축적 의미 이해가 효율적인 작품 감상에 도움이 되는 시작품 3편으로 어휘교육을 위한 시 분석을 실시하였고, 한국인의 정서 및 희로애락의 감정이 시작품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있는 시작품 2편으로 정서교육을 위한 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편의상 어휘와 정서 영역으로 갈라놓기는 하였지만 각각의 내용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하나의 영역만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시작품 1편씩을 추가로 선정하여 각각 어휘교육과 정서교육 부분에서 함께 살펴보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재에 시작품을 선정하는 기준이 시대별, 작가별, 장르별로 편중되어 있으며, 시작품을 분류하는 방법이 ‘학습자 단계’로 획일화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시 작품이 수록된 한국어 교육용 교재를 수집하여 검토하는 작업은 단원 구성, 시작품의 제목 및 유형, 어휘 및 문화 교육 요소, 학습 활동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한국어 시 교육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좋은 안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 교육에 임하는 한국어 교사들을 위해 어휘 및 정서교육을 위한 시작품 분석을 실시함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시 교육을 진단하여 문제점을 정리하고 반성한 후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status of modern poetry was compared with the literary works in textbooks on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n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oetry education, a future-oriented direction for effective poetry education wa...

In this study, the status of modern poetry was compared with the literary works in textbooks on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n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oetry education, a future-oriented direction for effective poetry education was propose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poems in Korea language textbooks, five poem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vocabulary and emotion education. And then, problems with the education field,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works for effec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were examined to find a practical solution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In this study, as data to reveal practices in poetry education, 134 volumes of 23 types of Korea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by 17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ions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ere collected to examine types of poems, unit composition, elements of poetr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wever, unfortunately, among 18 institutions, only 10 included modern poems as part of literature or art education in 23 textbooks, of which only eight included modern poetry as an independent unit, and the remaining 15 textbooks only included modern poems as par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out revealing practices of poetry education.
According to vocabulary and grammar, target culture, and learning activities, different textbooks structure poems in different ways, and the textbook structure is closely linked to competence of the publisher. Among 23 poems included in textbooks published for learners of Korea language at universities, based on frequency of inclusion and discussion, the author selected top four poems and one poem of a noteworthy poet, and conducted poetry analysis for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hree poems in which connotative meaning in some poetic words i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works, and two poems that effectively deliver Korean emotion and sentiment. However, although vocabulary and emotion were divided for convenience, these two contents do not exist independently and also education is not focused on only one area. Therefore, one additional poem was selected for each area, and examined in terms of vocabulary and emotion.
Above analysis showed that criteria for selecting poems for Korea language textbooks were focused on certain times, poets, and genres, and poems were classified mostly based on the ‘learning stage’.
Collecting and reviewing Korea language education that include modern poems provides information on unit composition, titles and types of poems, elements of vocabulary and culture educ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nd helpful guidance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of Korean poetry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n addition to analyzing poems for vocabulary and emotion education for Korea language teachers teaching poetry, it reviewed problems with current poetry education and proposed a solution.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