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韓省略表現の比較硏究 (3)[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생략표현(省略表現)의 생성은 어느 언어에서나 예외 없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여러 분야에서 개방화,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도나 개념이 나날이 등장하고 있고 그것에 동반해 어휘수도 늘고 있다. 주지(周知)하고 있는 대로 언어생활 속에서 긴 말 사용은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경제의 원리’에 입각해서 언어 생략이 발생한다. 현재 일본과 한국에서도 세계화의 진전이나 IT?정보통신기기의 발달로 여러 가지 생략표현이 생성?소멸의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격식(格式)이 결여된 유치하고 속된 말로 간주되어 그다지 연구되어 오지 않았던 것인 현재 실정이다. 또 생략표현을 둘러싼 여러 연구도 생략표현의 어형성(語形成)에 초점을 맞추고 행해진 것이 대부분으로 복수의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하고 생략표현 전체의 모라(モ?ラ), 행(行), 어종(語種), 생략형(省略の型)등을 계량화(?量化)해서 수치로 제시한 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어느 언어의 특징은 타 언어와의 대조(?照) 및 비교(比較)를 통해 그 언어의 특징이 보다 명확해지는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략표현에 대한 일한(日韓) 비교연구는 본인의 견해로는 눈에 띄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현재 상태에 입각해 본 논문에서는 일한 생략표현의 특징을 국어사전(?語?典), 신문이라는 계량화가 가능한 인쇄물을 분석 자료로써 사용해 생략표현의 조어법(造語法) 및 일한 자료에 있어서의 특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고찰해 봤다. 고찰을 진행시킬 때는 생략표현의 역사나 발생요인, 작용, 자리매김(位置づけ)등에 대해서도 함께 정리해 봤다. 제3장과 제4장은 생략표현의 특징을 모라별(음절별), 행별(자음별), 어종별, 생략형별 이라는 네 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고찰해 봤는데 이하에 각 장의 고찰을 통해 밝혀진 것을 정리해 둔다. 제3장은 일본어 생략표현 특징을 고찰한 장으로, 구체적인 방법으로 ‘메이쿄국어사전?제2판(明鏡?語?典?第二版)’과 1년간의 ‘아사히신문(朝日新聞)’ 표제어(見出し語)에 나타난 생략표현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했다. ‘메이쿄국어사전?제2판’의 분석에서는 모라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생략표현이 2, 3, 4모라에 집중해 분포하고 있었고 5모라 이상의 생략표현은 소구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2모라를 음(音)의 기본단위로 하는 일본인의 음감각(音感?)에 기인(起因)하는 결과이고 일본어 오노마토페(オノマトペ), 국어사전에 실려 있는 단어의 모라, 하이쿠(俳句)나 와카(和歌)의 음률 등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별 분석에서는 ‘カ행’, ‘サ행’, ‘タ행’, ‘ハ행’에서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다른 행에서의 생략표현은 적었다. 또 ‘외래어’생략표현이 80.6%를 차지하고 있던 ‘ア행’, ‘ア행’과 마찬가지로 ‘외래어’나 ‘외래어/외래어’로 구성된 ‘외래어’ 생략표현이 전체의 75.4%를 차지하고 있던 ‘ハ행’, ‘고유어(和語)’ 생략표현이 거의 등장하지 않았던 ‘ラ행’, 어휘 자체의 빈약함에 기인해 생략표현이 네 단어밖에 등장하지 않았던 ‘ワ행’ 등 각 행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어종별 생략표현의 출현빈도는 ‘외래어>한어/한어>한어>고유어’ 순이었고 ‘외래어/한어’나 ‘고유어/한어’ 등의 ‘혼종복합어(混種複合語)’ 생략표현은 합계 14어로 전체의 비율로서는 4.0%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다지 용례가 실려 있지 않았던 ‘る 언어’와 ‘い 언어’도 어종에 따른 특징은 엿볼 수 있었다. 합계 5어가 나타난 ‘る 언어’는 전부가 ‘외래어’의 생략형에 활용어미 ‘る’를 붙여 동사화(動詞化)한 것이었다. 반면 11어가 나타난 ‘い 언어’는 ‘る 언어’와는 달리 ‘외래어’ 생략에 ‘い’를 붙인 것, ‘한어’ 생략에 ‘い’를 붙인 것, 오노마토페 생략에 ‘い’를 붙인 것 등 여러 가지 어종과 결합되어 만들어진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단순어(?純語)’ 생략표현은 ‘외래어’의 생략표현이 145어로 가장 많고 다음은 ‘한어’, ‘고유어’생략표현 순이었다. 한편 ‘복합어’ 생략표현에서는 다른 어종끼리 생략되는 경우는 대단히 드물고 그 대부분이 동일 어종에 의해 생략되었다. 다만 ‘혼종복합어’ 생략표현이라도 그 모라는 대부분이 4모라가 된다는 제약이 있었다. 일본에 있어서의 생략표현의 특징을 조사하는 다음 단계로서 일본을 대표하는 신문의 하나인 ‘아사히신문’을 이용해 표제어에 나타난 생략표현에 대해서 고찰해 봤다. 모라별 분석 결과, 1모라에서 12모라까지 나타났는데 국어사전의 고찰결과처럼 4모라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게다가 짝수 모라 생략표현이 홀수 모라 생략표현보다 약 2배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어사전의 고찰과도 일치하는 결과였다. 행별 분석 결과, 어종이 편재(偏在)되어 있는 행, 즉 ‘ア행’, ‘カ행’처럼 ‘외래어’ 생략표현이 편재되어 있는 행이나 ‘カ행’처럼 ‘한어’ 생략표현이 편재되어 있는 행이 있었다. 또 「社(?)保(障)審(議?年金)部?」라는 용례의 ‘サ행’처럼 일본어 생략표현의 전형적인 모라인 2, 3, 4모라에서 다소 벗어난 생략표현이 많이 등장한 행, ‘ワ행’처럼 생략표현이 생성되기 힘든 행이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어종별 분석 결과, 출현 빈도는 ‘한어/한어>외래어>한어’ 순이었고 ‘단순어’ 생략표현에 있어서는 ‘외래어’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한어, ‘고유어’ 생략표현 순이었다. ‘복합어’ 생략표현의 경우에는 ‘한어/한어’로 구성된 ‘단종복합어’ 생략표현이 가장 많고 ‘혼종복합어’ 생략표현의 경우에는 세 개 이상의 어종으로 구성된 ‘그 외(その他)’ 생략표현이 ‘혼종복합어’ 생략표현의 용례가 가장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략형별 분석에서는 ‘단식생략(?式省略)’이 가장 많았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문의 표제어에 나타난 생략표현은 원래의 말의 한 군데만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단식생략’의 하위분류(下位分類)인 ‘하략(下略)’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상략(上略)’과 ‘중략(中略)’ 생략표현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복식생략’도 대부분이 ‘하략’인 것에서 ‘단종복합어’ 생략표현은 말의 뒷부분을 생략하는 ‘하략’형이 전형적인 생략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혼종복합어’에 있어서의 ‘단식생략’도 ‘단종복합어’처럼 ‘상략’과 ‘중략’은 적고 대부분이 ‘하략’ 생략표현이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혼종복합어’에 있어서도 그대로 지켜지고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생략표현의 특징을 일본과 동일하게 한국의 국어사전과 신문을 사용해 고찰해 봤다. 우선 ‘국어사전?제5판’에 실려 있는 생략표현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절(音節)별 분포는 자음 ‘ㄱ’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음 ‘ㅂ’, 자음 ‘ㅅ’, 자음 ‘ㅁ’순이었다. 음절별 분포에서는 한국어 생략표현은 1, 2, 3 음절에 집중해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2음절 생략표현이 177어로 가장 많다는 것이 이번 조사를 통해서 밝혀졌다. 다음으로 어종별?음절별 분석을 보면 ‘단순어’ 생략표현의 경우 ‘외래어’ 생략표현은 용례가 그다지 많지 않았고 가장 많았던 ‘한어’ 생략표현은 2음절 생략표현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고유어’ 생략표현도 역시 2, 3음절에 집중해서 나타나고 있었다. ‘단종복합어’ 생략표현에 있어서는 ‘고유어/고유어’, ‘외래어/외래어’로 구성된 생략표현은 이번 조사에서는 한 단어도 나타나지 않았고 전부 ‘한어/한어’로 구성된 생략표현이었다. 마지막으로 ‘혼종복합어’ 생략표현에서는 ‘고유어/한어’와 ‘외래어/한어’의 두 가지 패턴밖에 용례를 볼 수 없었다. 생략형별 분석에서는 ‘하략’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략’, ‘상략’의 순이었다. 한편 ‘복식생략’에서는 각 단어의 뒷 부분을 생략하는 패턴이 많았다. ‘혼종복합어’ 생략표현은 ‘중략’이 한 단어, ‘하략’이 한 단어 등장했다. 한국어 생략표현의 특징을 조사하는 다음 단계로서 1년간의 ‘조선일보’표제어에 나타난 생략표현에 대해서 분석해 봤다. 음절별 분석 결과, 대부분이 2, 3 음절에 집중되어 있고 7음절 이상의 생략표현은 극히 드물어 이번 조사에서는 한 단어도 나타나지 않았다. 자음별 분석에서는 자음 ‘ㄱ’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자음 ‘ㅅ’, ‘ㅇ’의 순이었다. 그리고 자음 ‘ㄹ’, ‘ㅊ’, ‘ㅋ’은 이번 조사에서는 한 단어씩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어종별 분석에서는 ‘조선일보’ 표제어에 나타난 생략표현은 ‘단순어’ 생략표현보다 ‘복합어’ 생략표현이 2배 이상 많이 나타났다. ‘단순어’ 생략표현에 있어서는 ‘한어’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외래어’ 생략표현, ‘고유어’ 생략표현 순이었다. ‘단종복합어’ 생략표현에서는 ‘한어/한어’로 구성된 생략표현이 가장 많았고 ‘고유어/고유어’로 구성된 생략표현은 이번 조사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한편 ‘혼종복합어’ 생략표현에 있어서는 ‘한어/한어/한어’, ‘외래어/외래어/외래어’처럼 세 개 이상의 어종으로 구성된 ‘그 외(その他)’ 생략표현이 가장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단식생략’은 ‘하략’이 가장 많았고 ‘중략’, ‘상략’ 순이었다. 한편 ‘복식생략’에서는 ‘단종복합어’가 ‘혼종복합어’보다 약 두 배가 많은 것이 밝혀졌다. 본 논문에서는 자료로서의 객관성 확보와 일본어와 한국어 생략표현 특징을 비교해 그것을 계량화(計量化)해서 정확한 수치로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일한 국어사전과 신문이라는 4종의 인쇄물을 분석 자료로서 사용해 고찰을 진행시켜 봤다. 언어라고 하는 것은 끊임없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것이고 그 변화과정을 인쇄물만으로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장감이 넘치는 영상물(映像物)을 사용한 한일 비교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기고 싶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