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인의 색채에 대한 인식 수준, 초점색인 기본 색채어 즉, 원형의 인지 정도, 상·하위 색채어의 배열 순서에 대한 인지 조사를 하여,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인의 색채에 대한 인식 수준, 초점색인 기본 색채어 즉, 원형의 인지 정도, 상·하위 색채어의 배열 순서에 대한 인지 조사를 하여,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상·하위 색채어의 범주 구조 체계를 밝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어 '검정(黑), 하양(白), 빨강(赤), 노랑(黃), 파랑(靑)의 5색 색채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각 색채어 어휘의 범주 내적 구조 층위를 탐색하고, 그 의미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색채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 기본 색채어의 범주 내적 구조 층위의 변화 양상도 검토하고, 아울러 한국인의 색채어 범주에 대한 개념적 사고 체계도 살펴보았다.
색채어 인지 조사결과 기존의 기본 색채어였던 ‘검다, 희다, 붉다, 누르다, 푸르다’의 색채어가 ‘까맣다, 하얗다, 빨갛다, 노랗다, 파랗다’로 기존의 상위 색채어가 새로운 기본 색채어의 층위로 변동된 양상이 나타났다.
이는 현대 색채어에서 12가지 기본 색채어의 선정과 교육 학습이 이루어졌고, 명사화된 색채어의 일반적 사용 그리고 스마트폰, HD T.V 등 2000년대 이후 새로운 매체의 단기간 보급으로 언중들이 색채에 대한 미세한 차이의 변화까지 인식할 수 있었던 시대적 환경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앟-/-엏-’의 색채어 형용사의 형태소에 초기 동사 ‘-하다’의 ‘상태 지속성’의 의미 자질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색채의 지속적인 상태 변화의 속성 자질을 지닌 ‘-앟-/-엏-’형이 중심적의 기본 색채어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의 색채어 범주 개념에서 상태 지속성이 중심적인 자질임을 의미한다.
한국어의 색채어는 기본 층위인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상위층으로 1차, 2차 상위 색채어로 확대되고, 하위 층위의 1차 하위 색채어로 확대된다. 이때, 색채의 속성인 명도나 채도의 높낮이 정도는 수직선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미 자질에 의해 범주화되었다.
하위 층위의 2차 하위 색채어는 배경 영역에 전경 영역이 윤곽 부여되는 방식으로 공간상의 배열 분포 모양, 시간상의 배열 분포 모양, 색 자체의 농도 분포 모양과 이미지 분포 모양으로 범주화되었다.
하위 층위의 3차 하위 색채어는 합성어의 구성 방식을 통하여, 색채의 명도나 채도의 위치 정도를 다른 사물의 속성과의 유사성에 의해 투사하는 은유적 방식으로 색채의 배열 순서로 범주화되었다.
1차, 2차 상위 층위 색채어로의 확대와 1차, 2차, 3차 하위 층위로 확대되는 색채어들은 기본 층위인 즉, ‘검다, 희다, 붉다, 누르다, 푸르다’의 기본 색채어 의미 속성 자질을 중심으로 가족적 유사성에 의해 개념이 확대 범주화되었다.
이와 같은 한국의 색채어에 대한 범주 체계를 통해서 볼 때, 한국인은 대상물인 색채의 명도나 채도를 수직선 상의 상하 층위의 위치 차원에서 세분되어 개념이 범주화되고, 색채를 대상 물체의 관계에 의해 모양의 형태나 이미지로 범주화되며, 다른 사물과의 유사성에 의해 투사되는 방식으로 색채의 범주가 개념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establish the structure of color category of border-top and border-bottom color terms, particularly basic color terms, by conducting a survey on color perception of the Korean people with respect to the cognition of ter...
The purpose of this is to establish the structure of color category of border-top and border-bottom color terms, particularly basic color terms, by conducting a survey on color perception of the Korean people with respect to the cognition of terms of basic colors, that is, focal colors or prototype, and the order of array of border-top and border-bottom color terms.
By applying cognitive linguistic theory, research on five color words – black, white, red, yellow, blue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ternal hierarchical category structure of each color word and establ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a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on color terms, I examined changes to the internal hierarchical category structure of each basic color term, and looked at the conceptual thinking of the Koreans about the category of color terms as well. The survey on cognition of color terms revealed that a change in the hierarchical order had occurred to the basic color words from ‘geom-da (is black), hui-da (is white), buk-da (is red), nureu-da (is yellow), and pureu-da (is blue)’ to ‘kka-matta (is deep black), ha-yatta (is deep white), ppal-gatta (is deep red), no-ratta (is deep yellow) and pa-ratta (is deep blue),’ which previously were border-top colors.
This seems to be ascribable to the new environment of the times. In other words, twelve basic color terms were selected, education on them was provided, nominalized color terms came into everyday use, and new media such as smartphones and HD TVs rapidly proliferated, which allowed consumers to perceive delicate differences in color changes. In particular, in that ‘-at-/-eot-,‘ which is a morpheme of the adjective of color term, has ‘-da-,’ the verb 'to be,' which indicates ‘continuity of state,’ the form of ‘-at-/-eot-‘is seen to have been established as basic color words. This means that the continuity of state is the primary quality in the conception of color term category at present.
Color terms in Korean language expand to primary and secondary border-top color terms and primary border-bottom color terms with focus on basic color terms, that is, the basic hierarchy. Here, color properties - brightness and saturation, which indicate the intensity of a specific color – were categorized by semantic features which denote location on the vertical line.
Secondary border-bottom color terms were categorized by giving contours of foreground to background areas, and were categorized by spatial distribution of array, temporal distribution of array, density distribution inherent to color, and image distribution.
Tertiary border-bottom color terms were categorized by constructing compounds. The order of color array was made by metaphorically projecting the location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color by the similarity with properties of other objects.
The concept of color terms, which expands to primary and secondary border-top color terms and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border-bottom color terms, was expanded and categorized by family resemblance with respect to semantic features of basic color terms, that is, the basic hierarchic level of ‘black, white, red, yellow, and blue.’
Looking at the category structure of color terms in Korean language,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s categorized the concept by subdividing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color of the object on the hierarchic location of the vertical line, categorized color into shape or image by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and conceptualized the color category by projecting resemblance with other object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