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 : 증거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 Study on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Focusing on Evidentiality This thesis investigates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focusing on evidentiality. Traditionally, conjecture expressions have been classified as epistemic modality. Analyzi...

A Study on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Focusing on Evidentiality

This thesis investigates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focusing on evidentiality. Traditionally, conjecture expressions have been classified as epistemic modality. Analyzing their grammatical properties, I propose that Korean conjecture expressions should be classified as evidential markers.

Though epistemic modality and evidentiality are close in their notions in some aspects, they belong to different grammatical categories. While epistemic modality expresses the degrees of commitment of the speaker to the proposition, evidentiality deals with a source of information - whether seen, heard, or inferred. Grammatical markers which were once classified as epistemic modality are reclassified as evidentiality in many languages, since evidentiality has been established as a new grammatical category. This assumes that Korean conjecture expressions also belong to this case.

In this we take two grammatical phenomena as diagnostics to separate indirect evidentials and epistemic modality: i) first person effect; ii) multiple marking. Indirect evidential markers show the ‘first person effect’. Though they are not usually used with first person subjects, they are allowed with first person subject when the speaker was not aware of the situation or the speaker has no intention or control of the situation. Evidential markers can appear more than once in a clause. The direct evidential markers can combine with an inferred or assumed evidential marker.

Korean has evidential markers: direct evidential markers ‘-teo-‘ and ‘-ney’, and indirect evidential markers ‘-gess-‘ and ‘-dae’.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show properties of indirect evidentials. In previous studies, semantic features of the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Th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of judgment can be better explained in terms of evidentiality rather than epistemic modality. They show the differences of ‘assumption’ evidential and ‘inference’ evidential among indirect evidentials.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also show subject constraints and the ‘first person effect’, which is the properties of indirect evidential. In addition to that, they can be used with direct evidential markers, which can be explained as double marking of evidentials. Therefore, I propose that conjecture expressions in Korean should be classified as evidentiality.

한국추측 표현관한 연구: 증거성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양태 범주에서 논의되어 온 한국추측 표현 구문들을 증거성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들을 기존의 양태 ...

한국어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 증거성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양태 범주에서 논의되어 온 한국어 추측 표현 구문들을 증거성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들을 기존의 양태 범주가 아닌 증거성의 범주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양태의 연구사가 오래 되었고 주로 연구 되어 온 언어들에서 추측 표현들이 인식 양태로 분류 되어 왔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추측 표현은 인식 양태 범주로 논의되었다. 하지만 증거성이 새로운 문법 범주로 인정 받으면서 기존에 인식 양태로 다루어진 문법 표지들이 증거성 표지로 재분석 되는 사례들이 관찰되었고, 추측 표현 또한 이에 해당한다. 증거성 체계를 가진 언어들에서 추측 표현은 간접 증거성 표지로 실현되어 나타나는데, 한국어 또한 증거성 체계를 가지는 언어로 한국어 추측 표현은 간접증거성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추측 표현을 증거성의 범주에서 논의하는 것이 이들 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확신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식 양태는 확실성, 개연성, 가능성을 중심 개념으로 두지만 정보의 출처, 획득 방식을 나타내는 증거성은 획득한 정보의 성격과 관련하여 논의가 이루어 진다. 증거성 체계를 가진 언어에서 추측 표현은 화자가 지각한 정보를 근거로 하는 추론 표지와 일반 배경 지식 등을 근거로 하는 추정 표지인 간접 증거성으로 실현되는데, 이는 획득한 정보의 특성과 관련된다. 그리고 간접 증거성 표지는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는 주어 제약과 함께 비자발적, 비의도적, 비통제적인 특정 상황에서는 주어 제약이 풀리는 1인칭 효과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추측 표현은 전통적으로 인식 양태 범주에서 다루어지긴 했지만 추측 표현의 의미 속성 연구, 추측 표현의 용법 차이에 있어서는 판단 근거의 정보 차이로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간접증거성의 속성이다. 또한 한국어 추측 표현에는 간접 증거성의 특성인 주어 제약과 함께 1인칭 효과도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추측 표현은 증거성의 범주에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