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인식‧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d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perceived or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using 26 questionnaire items on obstacles and 24 items on supportive behaviors. A survey ...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d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perceived or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using 26 questionnaire items on obstacles and 24 items on supportive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28 RN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t medical-surgical general wards in on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2 general hospitals, and 1 convalescent hospital.
The items with the highest perceived obstacle while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re: ‘patients having pai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r alleviate’, ‘the nurse having to deal with angry family members’, and ‘the nurse having to deal with distraught family members while still providing care for the patient’ in descending order. The items with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obstacle were: ‘patients having pai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r alleviate’; ‘dealing with anxious family members’; and ‘the nurse having to deal with angry family members’ in descending order.
The items with the highest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s while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re: ‘allowing family members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patients after he or she has died’, ‘having family members accept that patients are dying’, and ‘having the family physically care for dying patients’ in descending order. The items with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upportive behavior were: ‘allowing family members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patients after he or she has died’; ‘allowing families unlimited access to dying patients even if it at times conflicts with nursing care’; and ‘having family members accept that patients are dying’ in descending order.
Perceptions and experience of RNs showed differences in 9 obstacles and 3 supportive behaviors according to types of the hospitals they work in, and in 6 obstacles and 5 supportive behaviors according to the career years.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rds they work in or the number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y care for were insignifica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 obstacles found in this research shall be improved immediately while actively strengthening the supportive behaviors. Especially efforts lik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an training program to promote pain management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re in need. Also, the RNs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great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anxious, distraught or angry family members, stressing the need for communication abilities of RNs and cooperative approaches with other healthcare team members for taking care of family memb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anwhile, factors relating to family members are significantly perceived or experienced in supportive behaviors as well. Thus, family members should be recognized and invit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caring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Education programs or clinical environments should be provided for RN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ospital types or RNs clinical careers years.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인식 또는 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Beckstrand(2009)의 ‘Obstacle and supportive behavior in EOL’ 도...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인식 또는 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Beckstrand(2009)의 ‘Obstacle and supportive behavior in EOL’ 도구를 우리나라 의료 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내용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문가 위원회 및 사전조사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 및 보완하였다. 원 도구에서 지지요인 항목 중에서 ‘환자 임종 후 가족들이 병동을 떠나기 전에 서명해야 할 서류를 모두 준비해주는 지원 인력이 있는 것’을 삭제 하였고, ‘병동에서 제공되는 완화의료 서비스가 의료보험 정책에 의해 지원되는 것’이라는 항목을 추가하여 장애요인 26문항, 지지요인 24문항을 완성하였다. 현장조사는 상급종합병원 1곳, 종합병원 2곳, 요양병원 1곳의 내·외과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최종 228명의 응답 자료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 하였다.
말기 암환자 간호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환자가 조절하거나 완화시키기 어려운 통증을 가진 것’, ‘간호사가 화가 난 가족들을 상대해야 하는 것’, ‘간호사가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흥분한 가족들을 상대해야 하는 것’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장애요인에 대한 경험에서는 ‘환자가 조절하거나 완화시키기 어려운 통증을 가진 것’, ‘간호사가 불안해하는 가족을 상대 하는 것’, ‘간호사가 화가 난 가족들을 상대해야 하는 것’ 순으로 가장 빈번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 암환자 간호의 지지요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환자의 임종 후에 가족이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적절히 허용하는 것’, ‘가족이 환자의 임종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 ‘임종이 가까워진 환자의 신체적 간호를 가족이 도와주는 것’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지요인에 대한 경험에서는 ‘환자의 임종 후에 가족이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적절히 허용하는 것’, ‘때로 간호 수행에 어려움을 주더라도 가족이 언제든지 말기 환자를 만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 ‘가족이 환자의 임종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 순으로 가장 빈번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인식 또는 경험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의 병원유형에 따라 장애요인 9개 문항, 지지요인 3개 문항에서, 근무경력에 따라 장애요인 6개 문항, 지지요인 5개 문항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내과와 외과 진료과목 간에 또는 간호사가 돌보는 말기 암환자 수에 따른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에 대한 인식이나 경험의 차이는 미미하거나 발견되지 않았다.
말기 암환자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발견된 장애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며 동시에 지지요인을 적극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가장 자주 경험하고 중요하게 인식하는 장애요인인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학제적 접근, 통증 간호 연구를 활성화 하는 동시에 임상 간호사들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불안, 분노, 흥분한 가족들을 대하는 어려움이 크다고 하였으므로 말기 암환자 가족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역량, 다른 의료진과의 협력 방안 등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한편 지지요인에서도 가족과 관련된 요소가 매우 중요하게 인식·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말기 암환자 간호에 있어서 가족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이 간호 수행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기능적 환경을 개선할 것을 제언한다. 이들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은 병원 유형과 간호사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간호 수행 지침이나 교육을 병원별, 경력별로 차별화할 필요가 있겠다. 오늘 날 말기 암환자 간호는 호스피스 병동에 국한되지 않고 급성기 병원의 간호사들에 의해서도 자주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도구를 활용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들이 인식·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겠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