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 and Vietnam has been developed their relation in many areas. As a result of this, the number of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Korean has been increased. However, Korean-an agglutinative language is considered quite difficult to learn for Vi...
South Korea and Vietnam has been developed their relation in many areas. As a result of this, the number of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Korean has been increased. However, Korean-an agglutinative language is considered quite difficult to learn for Vietnamese learners because Vietnamese is an isolated language. On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for Vietnamese learners is time expression related grammar category- tense and aspect. Korean tense is divided into past and present, future tense, Korean aspect is divided into perfect, progressive, prospective. But Vietnamese tense and aspect existed or not is a controversy. This thesis will verify if Vietnamese aspect is real and then divide Vietnamese aspect into three categories- perfect, progressive and prospective. Also the thesis will discuss about da, vua, tung- the grammatical morpheme that express perfect; van, dang- the that express progressive, se,sap, chua- the one that express prospective. Through this, the thesis will show how these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t the end, this thesis will discuss how the time expression in Korean should be taught to Vietnamese learners.
First, I will explain what is grammatical category, tense and aspect- which are important definitions. And then I will discuss about Vietnamese tense and aspect's problems. Vietnamese tense and aspect study started in 1960' but still is controversy. Normally it is said that da expresses the past tense, dang expresses the present tesne and se express the future tense. But through many example we can see that da can be used in future, dang can be used in past, present, future as well. And se is used in future but as optional. This thesis will point out that Vietnamese aspect truly exists and discuss about da, vua, tung, dang, van, se, sap, chua and their grammatical meanings and how to use.
Next, this thesis will discuss how da, vua, tung, dang, van, se, sap, chua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 In the end as this thesis will example of how Korean -eoss-, -go it-, -a/eo it-, -gess-, -eul got- should be taught to Vietnamese learners.
This thesis discuss on time expression in Vietnamese and the difficult that Vietnamese learner meet when they study Korean. This thesis contributes to Korean language educcation. However this thesis couldn't discuss about complex combination among those grammatical morphemes. This leaves as an unsolved problem.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 관계가 다양한 분야에 이루어지는 가운데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어휘상으로 볼 때 베트남과 한국은 같은 한자어권이기 때문에 어휘 학습...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 관계가 다양한 분야에 이루어지는 가운데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어휘상으로 볼 때 베트남과 한국은 같은 한자어권이기 때문에 어휘 학습은 베트남 학습자에게 수월하다. 하지만 문법상으로는, 교착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고립어에 속하는 베트남어는 상당히 다르기에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어려운 언어로 평가한다. 한국어에는 수식어가 먼저 나오고 베트남어 문장에는 수식어가 뒤에 나온다. 그리고 한국어는 문장을 만들 때 용언을 활용하는 반면에 고립어인 베트남어는 용언을 활용하지 않고 허사는 앞에 놓이는 특성이 있다. 특히 한국어 문법 중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시간 표현과 관련된 상(相)과 시제(時制)이다. 학교 문법에서 한국어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지고, 상은 완료상, 진행상, 예정상으로 나눈다. 그러나 베트남어의 경우에는 시제 범주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고, 상 범주를 어떻게 분류하고 체계화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다양한 상황이다.
본고는 베트남어의 시간 표현이 시제가 아니라 상이라는 문법 범주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입증하고, 상을 표현하는 문법 형태소들을 완료상, 진행상, 전망상의 상 체계 안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나아가 베트남어 상 표현이 한국어의 시제와 상 표현에 어떻게 대응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시제와 상 표현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II장에서는 먼저 문법범주, 상(相), 시제(時制)라는 주요 개념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베트남어의 상과 시제에 대해 비판적인 검토를 할 것이다. 현재 베트남어의 경우 1960년대부터 상과 시제에 관현 연구가 계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체계가 확고하게 수립되어 있지 못한 상황인데, 이는 베트남어 시제 및 상 형태의 의미ㆍ기능적 복잡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보통 đã는 과거, đang은 진행 과거, sẽ는 미래로 보지만 여러 문장을 통해서 đã는 미래에 쓰고, đang은 과거, 현재, 미래에도 쓰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ẽ는 미래에 사용되지만 미래를 가리킨 문장에서 sẽ는 수의적으로 쓴 경우가 보인다. III장에서는 베트남어의 시간 표현이 상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주장에 바탕을 두고 그 체계를 완료상, 진행상, 전망상의 세 부류로 수립할 것이다. IV장에서는 완료상을 나타내는 đã, vừa, từng, 진행상을 나타내는 đang, vẫn, 전망상을 나타내는 sắp, sẽ, chưa의 의미 기능, 문법 범주 그리고 사용 제약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완료상, 진행상, 전망상의 하위 범주 구분을 통해 베트남어의 상 체계를 정밀화하고자 한다. V장에서는 베트남어의 상을 표현하는 각 형태 đã, vừa, từng, đang, vẫn, sắp, sẽ, chưa를 한국어의 어떤 표현으로 대응시킬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일반적으로 đã, vừa, từng는 ‘-았/었-’ 으로 하고, đang, vẫn은 ‘-고 있-’, ‘sắp, sẽ’는 ‘겠-’이나 ‘-을 것’, ‘chưa’는 ‘아직 안 했다’로 번역하는데 예외적인 경우가 있어 뒤에서 더 논의하겠다. VI장에서는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시간 표현 형태인 ‘-았/-었-’, ‘-고 있-’, ‘-아/어 있-’, ‘-을 것’, ‘-겠-’을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적절하고 효과적인지에 대해 검토하고 그 결과를 구체적인 수업 구성의 예시로 제시해 볼 것이다. 끝으로 VII장에서는 본고의 주요 검토 결과와 주장을 요약할 것이다.
본고가 베트남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한국어의 시간 표현을 교육하는 데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시간 표현과 관련하여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복합 형태에 대해서는 후고를 기약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