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와 중국어 '목술관계' 연어의 문법적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연어의 개념과 범위, 유형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
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와 중국어 '목술관계' 연어의 문법적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연어의 개념과 범위, 유형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어의 정의에 대해 초점을 두었는데, 그 정의는 학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본고는 성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를 분석한 임근석 (2010)의 정의에 따라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어와 자유결합, 관용표현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다루었다. 3.1에서는 '세종연어사전'에서 추출한 '목술관계' 연어 500개와 역시 '세종명사사전'에서 추출한 'X를 하-' 연어 100개를 대상으로 그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제시하였다. 3.2.에서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대응 표현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3.2.1.에서는 'X를 하-'이외의 '목술관계'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은 연어, 자유결합, 단어, 관용표현(사자성어) 등 예를 하나씩 들어서 살펴보았다. 3.2.2.에서는 한국어 연어 'X를 하-'는 대응하는 중국어 대응 표현은 서로 대응 표현이랑 서로 대응 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중국어 대응 표현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4.1.에서는 'X를 하-'이외의 '목술관계' 연어에 대한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4.1.1.에서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 500개중에 중국어 대응 표현이 연어인 경우는 총 466개다. 연어핵과 연어변을 대상으로 할 때 완전 대응인 경우와 부분 대응인 경우를 살펴보았다. 4.1.2.에서는 중국어 대응 표현이 연어가 아닌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단어인 경우가 16개, 자유결합인 경우는 5개, 관용표현인 경우는 11개, 단순한 구가 아닌 그보다 큰 통사 단위인 경우는 1개, 중국어 대응 표현 부재인 경우는 1개'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4.2.에서는 '세종연어사전'에서 추출한 한국어 연어 'X를 하-' 100개를 대상으로 해서 중국어로는 어떻게 대응되는지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1장부터 4장까지 살펴본 내용과 같이 정리하면서 마무리를 하였다.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는 연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이다. 이러한 점을 중시하여 본고에서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를 중심에 두고 중국어 대응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목술관계' 이외의 연어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에 대한 연구는 차후를 기약해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