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문장성분의 대조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the components of sentence construc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and Chinese (as an isolating Language), especially i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which cause the learners many difficulties w...

In the components of sentence construc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and Chinese (as an isolating Language), especially i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which cause the learners many difficulties while studying. The word order of Korean and Chinese are quite different, therefore to both Chinese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neither language’s acquisition of components of sentence can be easily attained.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as well as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Based on that, we can help both the Chinese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understand the components of sentence better.
This research will accomplish this purpose in 4 steps.
Chapter1: explain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Chapter2: simple observation on the sentence components of both Korean and Chinese. Among all the sentence component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following as main components: subject, predicate, object, complement, and obligatory adverbial of Korean; subject, predicate, and object of Chinese. The subsidiary components: voluntary adverbial and adnominal of Korean; adverbial, complement and adnominal of Chinese. Independent components: orthotone of both languages.
Chapter3: find out the corresponding sentence components of the two languages (among main components, subsidiary components, and independent components); study on them through specific analysis and comparison; observ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oth languages.
In main components, the subject and predicate of both languages, which correspond to each other,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a sentence, and hav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sides, because the object of Chinese corresponds with the object, complement, and obligatory adverbial of Korean, this research tries to make a new definition of Chinese object (based on the existing definition of object, and oriented in function of components), and compares i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Korean that we have mentioned before. In addition, this research finds out that the adverbial of Korean not only corresponds to the object of Chinese, but also corresponds to some of the adverbial of Chinese, which we define as obligatory adverbial.
In subsidiary components, the Chinese components of sentences that equivalent to the voluntary adverbial of Korean are adverbial and complement, and the voluntary adverbial of Korean is quite similar to adverbial of Chinese, just with very subtle differences. The degree complement, modal complement and quantity complement of Chinese correspond to the voluntary adverbial of Korean, and compare to voluntary adverbial, the differences of adnominal between this two languages are more obvious.
In independent components, the orthotone of both languages correspond to each other. Through analysis and discussion, this article clar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m, and reveals the tot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languages which belong to different typological theories.
Chapter4: summarize by organizing the previous content and pointing out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n analyzing the sentence components of both languages, this research puts emphasis on grasping the essence of sentence components, 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the minor differences between them. If the Chinese and Korean learners can analyze the main components, subsidiary components, and independent components of a sentence correctly, they can easily understand the sentence, and have higher efficiency in both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all the researches in history, there was no research totally dedicated to the comparison of all Korean-Chinese sentence components before, s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apply to the education of Chinese or Korean, hoping that we can help the learners of both languages.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는 문장성분, 특히 형태 및 통사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각 언어의 문장성분을 습득하는 데 많...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는 문장성분, 특히 형태 및 통사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각 언어의 문장성분을 습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나 중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는 한국어나 중국어 문장을 정확하게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장성분에 대해 형태‧통사적으로 대조 분석하여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고 두 언어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나 중국어의 문장성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는 이상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장성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필수적 부사어와 중국어의 주어, 위어, 빈어를 주성분으로, 한국어의 수의적 부사어, 관형어와 중국어의 상어, 보어, 정어를 부속성분으로, 양 언어의 독립어를 독립성분으로 다루기로 하였다.
3장에서는 양 언어의 주성분, 부속성분과 독립성분을 나누어서 서로 대응하는 문장성분을 찾아내어 구체적으로 대조 분석하여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고 두 언어의 특징을 밝혔다.
주성분 중 한국어의 주어와 중국어의 주어, 한국어의 서술어와 중국어의 위어는 각각 서로 대응하고, 문장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이며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의 빈어는 한국어의 목적어, 필수적 부사어, 보어와 모두 대응한다. 이에 중국어 빈어에 대한 기존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능에 입각한 새로운 정의를 도출하고, 이러한 재정의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목적어, 필수적 부사어, 보어와 대조하였다. 한편, 한국어의 필수적 부사어는 빈어와 대응할 뿐만 아니라 일부 상어와 대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런 상어는 본고에서 필수적 상어라고 정의하였다.
부속성분으로는 한국어의 수의적 부사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문장성분인 상어와 보어가 있다. 한국어의 수의적 부사어와 중국어 상어는 유사하지만 미세한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어의 수의적 부사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보어에는 정도보어, 정태보어, 수량보어가 있다. 양 언어의 부속성분인 수식어 중에 수의적 부사어와 상어보다는 관형어와 정어 사이에 더 많은 차이가 보인다.
독립성분인 양 언어의 독립어도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보인다. 이들에 대해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유형론적으로 서로 다른 두 언어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서 그 한계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양 언어의 문장성분을 분석할 때 문장성분의 본질을 파악하여 미세한 차이점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만약 문장의 주성분, 부속성분, 독립성분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면 문장을 이해함에 있어서 많이 쉬워질 것이고 언어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인 교수․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나 한‧중 문장성분 전체에 대해 대조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문장성분을 구체적으로 대조 분석하여 이 결과를 한국어교육과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는 양 언어의 학습자의 언어 문장성분 습득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