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학습자의 텍스트 응집성 양상을 주제적인 관점으로 분석한 데 있다. 이는 텍스트의 주제적 일관성을 의미하는 응집성을 주로 문법적 관점으로 연구했던 이전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학습자의 텍스트 응집성 양상을 주제적인 관점으로 분석한 데 있다. 이는 텍스트의 주제적 일관성을 의미하는 응집성을 주로 문법적 관점으로 연구했던 이전의 연구들과 다르다. 완벽한 하나의 문장을 생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문장 중심의 쓰기를 지양하고, 글의 내용과 의미에 초점을 둔 텍스트 중심의 쓰기를 지향하는 것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텍스트 분석 방향을 문장생성의 정확성보다, 자연스러운 의미 연결을 통한 주제적 일관성의 관점으로 학습자의 작문자료에 나타난 응집성을 분석하고 그 양상을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2장에서 이론적 배경이 되는 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응집성 그리고 텍스트 응집성의 여러 가지 분석 방법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중국어권 학습자의 급수별 작문 150부를 ‘주제부 재수용의 원리’와 ‘텍스트의 의미 구조’로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한편 ‘주제부 재수용의 원리’는 ‘재수용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따라서 위의 두 가지 분석 방법 외에도 ‘재수용 원리’의 기준인 ‘근접성 관계’와 고급학습자 텍스트의 장르인 논설문 분석을 위해 ‘텍스트 유형에 따른 구조’, 그리고 ‘논리적 전개’ 또한 분석 방법으로 삼았다. 이어지는 4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의 실제적인 분석 과정을 논의하였다. ‘주제부 재수용의 원리’는 주제부를 재수용하며 전개되는 ‘주제부 전개’의 양상을 중점으로 보았고, ‘텍스트의 의미 구조’는 ‘문장 배열, 의미 연결, 서술범위’ 세 가지의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응집성 저해 요인을 유형화 하였다. 학습자 텍스트를 분석하여 응집성을 저해하는 ‘주제부 전개’ 양상의 세부 유형으로는 ‘국부적 정보의 주제부 삽입 전개, 총체적 정보의 주제부 삽입 전개, 생략된 주제부 전개, 중의적 주제부 전개, 비맥락적 주제부 전개’로 나타났고, ‘텍스트의 의미 구조’의 ‘문장 배열, 의미 연결, 서술범위’ 각 양상의 세부 유형으로는 ‘의미 관계에 따른 배열, 정보 관계에 따른 배열’, ‘의미 관계가 요인이 되는 연결 오류, 비문이 요인이 되는 연결 오류, 유추가능 문맥 존재 여부’, 마지막 ‘국부적 정보 개입, 불의적인 총체적 정보 개입, 불의적인 국부적 정보 개입, 점차적인 총체적 정보 개입’으로 도출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주요 분석 방법의 결과는 아니지만 그 외의 발견한 유형은 ‘구조적 측면’의 ‘근접성 관계, 텍스트 구조’, ‘의미적 측면’의 ‘비논리적 전개’이다. 제2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이다. 구어의 의사소통은 직접적 관계로 이루어지지만 문어를 통한 의사소통은 간접적 관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말하고자하는 사람과 듣고자 하는 사람의 다리가 되어주는 것은 텍스트이다. 그런 의미에서 텍스트는 그 안에 담긴 의도를 명확히 전달해야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에 학습자의 텍스트를 문법과 형태가 아닌 문장 간의 의미 연결 관계와 주제적 일관성의 관점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가, 완벽한 문장 생산보다 의미를 가진 텍스트 생산이 중심이 되는 쓰기 교육의 단초가 될 것을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matic coherence in text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study presents a different approach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which dealt with cohesion, i.e. thematic consistency mai...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matic coherence in text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study presents a different approach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which dealt with cohesion, i.e. thematic consistency mainly in a grammatical sense. Effective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writing that places content and meaning first, rather than writing where focus is placed only on creating grammatically perfect sentences. Thus, this research analyzed and studied coherence in writing with focus on thematic consistency based on natural meaning relations instead of placing emphasis only on perfection in sentence creation. The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2 presents several different methods for analyzing textuality, coherence and textual coherence which for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Chapter 3 explains in details the method of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presented earlier and is used to analyze 150 writings of different level Chinese speaking learners by ‘principles of thematic re-acceptance’ and ‘text meaning structure.’ The ‘principles of thematic re-acceptance’ a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acceptance.’ Therefore, methods such as ‘relative proximity’ (a criterium for the ‘principles of re-acceptance’), ‘text type based structure’ (a method used to analyze s of advanced level students) and ‘logical development’ are used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to 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Chapter 4 discusses the actual process of analyzing the writings of the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The ‘principles of thematic re-acceptance’ were divided into theme re-acceptance and ‘theme development’ while ‘text meaning structure’ was divided into ‘sentence arrangement, meaning relation, narration scope’ and analyzed. Main factors responsible for hindering cohesion were then categorized. In case of ‘thematic development’, factors such as ‘local information thematic insertion, general information thematic insertion, omitted thematic development, ambiguous thematic development, non-contextual thematic development’ were distinguished. In case of ‘text meaning structure’ the factors divided into ‘sentence arrangement, meaning connection, narration scope’ categories were ‘meaning relation based arrangement, information relation based arrangement’, ‘connection errors caused by meaning relation, connection errors caused by ungrammatical sentences, existence of inferring context’, and ‘local information interference, sudden general information interference, sudden local information interference, gradual general information interference.’ Furthermore, minor other factors were identified, such as ‘proximity relation, text structure’ of ‘systemic aspect’ and ‘illogical development’ of ‘meaning aspect.’ Communication is the main goal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on in speech is direct. However, communication in writing is indirect. Therefore, text is a bridge between the one who speaks and the one who listens. The purpose of the text in such a context is to convey meaning in a clear and understandable manner. The analysis conducted in the study was focused on thematic consistency and meaning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sentences rather than grammar and form of the tex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meaningful texts instead of only creating grammatically perfect sentences.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