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용언의 문법화와 어휘화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of Auxiliary Verbs
국어국문학과 박 주 형
지 도 교 수 엄 정 호
본 연구는 한국어 보조용언의 분화 양상을 문법...
보조용언의 문법화와 어휘화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of Auxiliary Verbs
국어국문학과 박 주 형
지 도 교 수 엄 정 호
본 연구는 한국어 보조용언의 분화 양상을 문법화와 어휘화라는 두 가지 과정을 가정하여 살펴본 것이다. 보조용언은 그 성격이 본용언을 수식하거나 보조하는 것이라는 인식 하에 그 개념이 정해져 왔는데, 그 쓰임이 확대되면서 분화 현상을 겪게 된다. 특히 보조용언의 일반적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들은 그것의 분화 가능성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즉, 일반적 범주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다른 범주로의 이동을 암시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당장에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도 그 잠재성이 인정되는 것들이 해당된다.
지금까지는 보조용언의 분화 과정으로 문법화 현상 혹은 접어화 현상, 접사화 현상이라는 개념 하에 그 양상이 논의되어 왔다. 본 논의에서도 선행 연구 결과를 일부 수용하는 입장에서 보조용언의 문법화 양상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보조용언 중 본용언과의 결합이 긴밀한 탓에 합성용언과 같은 형태의 어휘화 현상을 나타내는 목록들을 따로 구성하여, 보조용언의 어휘화 현상의 가능성을 논의해 보았다.
이에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보조용언의 정의 문제를 다룬 후 범주 점검 기준이 될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점검해 보았다. 그리고 인접 범주와의 비교를 통해 보조용언의 특성을 확인한 후 논의에서 다룰 보조용언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3장에서는 2장에서 확립한 점검 기준을 바탕으로 개별 보조용언의 범주를 점검한 후 보조용언의 분화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보조용언의 문법화에 대해서, 5장에서는 어휘화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 논의의 내용들을 정리해 보고 앞으로 남아 있는 과제들에 대해 언급해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보조용언의 분화 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보조용언 구성에서 생겨나는 새로운 어휘들의 발생 단계와 그 의미적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주요어 : 보조용언, 분화, 문법화, 문법성, 어휘화, 어휘성, 단어화, 접어화, 선후행 빈도, 생산성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