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감정어휘를 추출, 범주화한 뒤 그 제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먼저 서론에서 41명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감정어휘를 추출, 범주화한 뒤 그 제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먼저 서론에서 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감정어휘의 사용능력을 살펴보고 요구조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있어 감정어휘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확인한 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감정의 범주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나눈 감정의 범주는 크게 긍정, 부정, 중성이며 이때 긍정의 범주에는 기쁨과 선호, 부정의 범주에는 슬픔, 화, 비선호, 두려움이 있으며 중성의 범주에는 놀람과 부끄러움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본 설정을 바탕으로 대학기관에서 출판한 5종의 한국어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에 나타난 감정어휘를 추출하고 범주화한 뒤 그 제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교육에서 감정어휘의 적절한 등급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감정어휘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며 특히 일차감정어휘의 제시 역시 매우 달랐다. 또한 대부분의 교재에서 제한된 형식으로 어휘를 제시해 충분한 의미학습을 돕고 있지 못하며 특히 복수의 범주를 지닌 어휘에 대한 적절한 제시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4장에서는 감정어휘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어휘의 범주 활용, 등급별 제시의 예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한국어교육에서의 감정관련 연구와 다르게 감정어휘의 복수 범주를 인정하고 목록화한 뒤 어휘의 사용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는 한국어 감정어휘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motion vocabulary suggest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 categorize it, and examine that presentation aspect for the learner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first step is to decide emotion categories b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motion vocabulary suggest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 categorize it, and examine that presentation aspect for the learner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first step is to decide emotion categori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fter checking the using ability for emotion vocabulary of 41 students and checking if they need the feeling vocabulary for their Korean study through demand survey. This study has divided emotion categories into affirmation, negation, neutrality, and affirmation includes happiness and preference, negation has sadness, anger, nonpreference, fear and neutrality has surprisal and shynes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feeling vocabularies from Korean ability test and fiv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published by university organization based on this basic setting, categorizing it, and checking the presentation aspect concretely, could find that emotion vocabulary was not being classified properly and every textbook has different presenting order of it and the primary feeling vocabulary especially. Moreover, most of textbook were suggesting words of limited form and not helping students’ semantic learning, and particularly not providing proper words which have double categories.
On the basis of this problem, chapter four is suggesting word category use and suggestion by levels that students can use for their emotion vocabulary cla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admitting the plural categories of feeling vocabulary in contrast with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categorizing it, and suggesting those words. This will be used for basic educational data of Korean emotion vocabulary.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