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beok(1920/2001)에 의하면, 커뮤니케이션에서 화자와 청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명료하게 조합된「코드」들에 의해 구성된다고 하였다. 여기서 코드 란, 기호와 기호의 체계가「고유의 의미...
Sebeok(1920/2001)에 의하면, 커뮤니케이션에서 화자와 청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명료하게 조합된「코드」들에 의해 구성된다고 하였다. 여기서 코드 란, 기호와 기호의 체계가「고유의 의미」를 갖도록 허용하는 일련의 규칙들을 말한다. 또한 Jakobson(1956)은「코드」를 사회적 혹은 개인적인 여러 가지 변수를 하위코드로 하여 그것들이 계층적인 체계를 이루는 총체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Jakobson의「코드」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화자가 완전한 문장을 구사하지 않더라도 화자가 의도하는 바가 청자에게 올바르게 전달 · 해석 되는 것을「코드」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 그 특성과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본어의「どうぞ」및 한국과 일본의 직접적 · 간접적 발화 상황 분석을 통해「코드의 기능」과「코드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대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어의「どうぞ」를 사용한 커뮤니케이션 용례 분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상에서「코드」는, 화자와 청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의 뜻을 콘텍스트 및 상황, 화자와 청자의 관계 등에 따라 이해하고 해석하는「사회적 코드」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과 일본의 직접적 · 간접적 발화의 용례 분석을 통해 한 · 일 양국에서 화자가 의도하는 바가 올바르게 전달되지 않아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이 있음에도 화자가 청자에게 간접적 발화행위로 코드 연결을 더 많이 시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코드를 통해 화자와 청자가 잘 모르는 관계이더라도,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청자에게 부드럽게 전달할 수 있고, 화자의 부탁을 절대적으로 수락해야한다는 청자의 부담을 없애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코드」는 화자와 청자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사물에 대해 이야기할 때, 서로 다른 표현(혹은 다른 언어로 표현)을 사용하거나 어휘를 생략하여 사용하더라도 화자와 청자가 의도하는 바가 올바르게 전달 · 해석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코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친소관계 · 상하관계 · 시간흐름에 따른 정보공유의 양(量) 등 그들이 속한 사회 · 문화적 코드의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